• Title/Summary/Keyword: 주사전자현미경 평가

Search Result 367,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Nanotechnology and scanning microprobe microscopy (주사형 마이크로프로브 현미경과 나노테크놀로지)

  • ;Muramatsu, H.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9 no.6
    • /
    • pp.616-625
    • /
    • 1996
  • 본 고에서는 최첨단 주사형 마이크로프로브현미경의 최근동향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SNOAM의 관찰분야에의 응용이라는 관점에서 광학소자, 반도체재료, 유기박막등의 미소영역에의 광학특성의 관찰이외에 생물분야에서는 형광표식한 시료의 형상상과 형광상의 대비에서 세포나 생체고분자의 기능 해명에도 이용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광가공기술에의 응용이나 기억소자 기술에의 응용도 고려되어져 금후의 응용분야에의 발전이 기대된다. 다가오는 21세기 정보화사회에서는 분자.원자를 제어하는 기술이 중심기술이 될 것으로 확신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주변 기술로서 분자. 원자를 단위로 하는 평가, 분석 기술은 거의 찾을 수 없다. 따라서 주사형 마이크로 프로브 현미경은 Nano-technology로서 장래 정보화사회에 중요한 평가.분석기술의 하나로서 정착될것으로 생각된다.

  • PDF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lectric arc sprayed steel using sacrificial anodic wires (희생양극 선재로 아크 용사코팅된 강재의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

  • Park, Il-Cho;Han, Min-Su;Kim, Seong-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5.11a
    • /
    • pp.318-318
    • /
    • 2015
  • 해양환경 하에서 SS400강의 부식 방지를 위하여 Al과 Al-Mg합금 선재를 이용한 아크용사코팅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전기화학적 실험으로 내식성을 평가하였으며, 실험 후에는 주사전자현미경(SEM)과 3D 현미경을 이용하여 손상된 표면의 형상 및 손상깊이를 상호 비교하였다.

  • PDF

이온소스법에 의한 DLC막의 제작 및 기계적 특성

  • Kim, Mi-Seon;Hong, Seong-Pil;Kim, Hye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7.11a
    • /
    • pp.164-165
    • /
    • 2007
  • Si(중간층)/DLC(diamond-like carbon)막은 스퍼터와 이온소스(ion source)법에 의한 복합방식(hybrid method)을 이용하여 3mTorr의 반응가스 벤젠($C_6H_6$)분위기에서 Si wafer에 기판온도 $130^{\circ}C$로 180분간 증착하였다. 평가는 표면과 단면에 대해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과 투자전자현미경(trasmission electron microsope, TEM)으로 관찰하였다. 경도와 마찰계수는 나노인텐터(nanoindetor)와 마모시험기를 이용하였으며, 박막의 구조는 라만스펙트럼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박막의 두께는 약 $0.9{\mu}m$, 표면조도는 약 $0.34{\sim}1.64nm$로 평탄한 표면을 가지며 경도는 약 $35{\sim}37GPa$, 마찰계수는 약 $0.02{\sim}0.07$로 관찰되었다. 라만분광법과 전자회절패턴에 의해 IG/ID의 함량비는 $0.54{\sim}0.59$$sp^2$$sp^3$가 혼재된 전형적인 비정질 구조임을 확인하였다.

  • PDF

Properties of Charge Collection in ITO Nanowire-based Quantum Dot Sensitized Solar Cell

  • An, Yun-Jin;Kim, Byeong-Jo;Jeong, Hyeo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196-196
    • /
    • 2012
  •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해 단가가 낮고 반투명하며 친환경적 특성으로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을 받았으나 염료의 안정성의 문제와 특정 파장대의 빛만 흡수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양자구속 효과에 의해 크기에 따라 밴드갭 조절이 용이하여 다양한 파장대의 빛을 흡수 할 수 있는 양자점 감응태양전지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양자점 감응 태양 전지의 활성층으로 사용되는 반도체 산화물인 이산화티타늄의 두께는 $13{\sim}18{\mu}m$로 짧은 확산거리로 인해 전하수집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인듐 주석 산화물 나노선을 합성하여 전자가 광전극에 직접유입이 가능하도록 해 빠른 전하이동 및 전하수집을 가능하게 한다. 인듐 주석 산화물 나노선은 증기수송 방법(VTM)을 이용하여 인듐 주석 산화물 유리 기판 위에 $5{\sim}30{\mu}m$ 길이로 합성하였다. 전해질과 전자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원자층 증착법(ALD)을 이용하여 이산화 티타늄 차단층을 20 nm 두께로 코팅한 후 화학증착방법(CBD)을 이용하여 인듐 주석 산화물 나노선-이산화 티타늄 코어-쉘 구조를 만든다. 마지막으로 황화카드뮴, 카드늄셀레나이드, 황화아연을 증착시킨 후 다황화물 전해질을 이용하여 양자점 감응 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 특성 평가를 위해 전계방사 주사전자현미경, X-선 회절, 고분해능 투과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며 intensity modulated photocurrent spectroscopy (IMPS), intensity modulated voltage spectroscopy (IMVS)를 이용하여 전하수집 특성평가를 하였다.

  • PDF

Assessment of decontamination of gutta-percha cone and the change of surface texture after rapid chemical disinfection (화학소독제 처리 후 가타파차 콘의 멸균 효과 및 표면 성상의 변화 평가)

  • Pang, Nan-Sim;Jung, Il-Young;Yu, Yoon-Jung;Kum, Kee-Yeo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31 no.2
    • /
    • pp.133-139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firstly to identify the microbial species on gutta-percha (GP) cones exposed at outpatient clinics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secondly to evaluate the rapid sterilization effect of two chemical disinfectants at chair side. It also evaluated the alteration of surface texture of GP cones after 5-min soaking into two chemical disinfectants. A total of 100 GP cones from two endodontic departments were randomly selected for microbial detection using PCR assay with universal primer. After inoculation on the sterilized GP cones with the same microorganism identified by PCR assay, they were soaked in two chemical disinfectants: 5% NaOCl and 2% chlorhexidine for 1, 3, 5, and 10 minutes. The sterilization effect was evaluated by turbidity and subculture. The change of surface textures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was also examined after 5 min-soaking in two chemical disinfectants. Results showed that four bacterial species were detected in 17 GP cones, and all the species belonged to the genus Staphylococcus. Two chemical disinfectants were effective in sterilization with just 1 minute soaking. On the SEM picture of NaOCl-soaked GP cone, a cluster of cuboidal crystals was seen on the cone surface. Present data demonstrate that two chemical disinfectants are useful for rapid sterilization of GP cone just before obturation at chair side, while CHX-soaked GP cone has cleaner surface without crystal precipitation than that of NaOCl-treated cone.

ESTIMATION OF RELATION BETWEEN TECHNIQUES OF DYE PENETRATION FOR MICROLEA-KAGE AND SEM EVALUATION FOR MARGINAL ADAPTATION OF THE RESTORATION (수복물의 미세누출도와 변연적합도 측정에 사용되는 방법 사이의 상관 관계 평가)

  • Hwang, Soon-Joo;Shin, Dong-Hoo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31 no.5
    • /
    • pp.337-34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relation between techniques used for microleakage from dye penetration and for marginal adaptation from SEM evaluation of the restoration. Using high speed #330 bur class V cavities ($4{\times}3{\times}1.5 mm$ around CEJ) were prepared on the buccal surface of 20 extracted human molars. Six dimples as reference points for SEM and dye penetration evaluation were made with 1/2 round bur. Cavity was bulk filled with microhybrid composite resin (Esthet X) and all-in-one adhesive (Xeno III). Teeth were stored in saline solution for one day, after then, they were finished and polished using Sof-Lex system. Fifty percent silver nitrate dye solution was used for the evaluation of microleakage and resin replica was used for marginal adaptation. All of these were done after 1000 times thermocycling between 5 and $55^{\circ}C$. Vertical sections were made through three dimples of restoration to obtain samples for the evaluation of dye penetration and inner marginal adaptation. Outer adaptational estimation was done with an intact restoration before sectioning. Dye penetration was determined in three degrees and percentage of outer and inner leaky margin was estimated from SEM image The data were analysed statistically: Spearman's rho test were used to check relationships between two methods. The result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degree of dye penetration and inner and outer marginal adaptations each (p < 0.01). 2.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results or inner and outer marginal adaptation. Withi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ntage of marginal adaptation and microleakage shows significant relationship. However, inner and outer marginal adaptation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mutually.

SEM Study on the Anaerobic Bacterial Adhesion to the Dentin of Root Canal (혐기성 미생물의 근관내 상아질 부착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적 연구)

  • Sung-Eun Yang;Kwang-Shik Bae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6 no.4
    • /
    • pp.350-359
    • /
    • 2001
  • 목적 - 근관형성시 근관내 상아질벽에는 항상 도말층(smear layer)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아질, 치수조직 잔사, 조상아세포 돌기, 때로는 미생물 등으로 구성되며, 주사전자현미경상으로는 비규칙적이며, 무정형의 구상(granular)구조물로 관찰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말층의 유무에 따른 혐기성 미생물, Prevotella nigrescens의 근관내 상아질 부착정도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사용되었던 실험방법에 비하여 보다 임상적 환경에 가까운 실험방법을 고안, 신빙성 있는 연구결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방법 - 치주질환이나 외상 등의 원인으로 발거된 상, 하악 전치 18개를 사용하였다. 각 치아의 치관부를 백악법랑경계부위에서 절단하고, 1군(5개치아)은 10ml의 생리식 염수를, 2군(5개치아)과 3군(5개치아)은 10ml의 3.5% NaOCl을 근관관주용액으로 사용하여 근관형성을 하였다. 근관형성 완료후 1군과 2군은 10ml의 생리식염수로, 3군은 10ml의 0.5M EDTA용액으로 final flush를 시행하여, 3군의 도말층을 제거하였다. 치근수직절단과 ethylene oxide(EO) gas 소독후 1, 2, 3군의 시편(각군10개시편)을 Prevotella nigrescens가 부유된 Brain Heart Infusion with Yeast estract, Hemin and Menadione(BHIYHM) broth내에 37$^{\circ}C$에서 3시간 동안 incubation했다. 4, 5, 6군은 실험과정을 검증하기 위한 대조군으로써, 4군(1개치아)과 5군(1개치아)은 1군, 2군과 같이 각각 생리식염수와 NaOCl만을 이용한 근관형성으로 도말층을 잔존시키고, 6군(1개치아)은 3군과 같이 NaOCl과 EDTA를 적용하여 도말층을 제거한 후, 치근 수직절단과 EO gas 소독을 시행했다. 모든 시편(1, 2, 3, 4, 5, 6군)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처리한 후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하여 관찰, 근관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Prevotella nigrescens의 개수, 모양, 상아세관 및 도말층과의 관계 등을 관찰,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는 t-test와 one-way ANOVA를 통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결론 - 1. 근관형성 후 근관내 상아질 표면 전체는 도말층으로 덮여 있는 양상을 보였다. 2. 3.5% NaOCl과 0.5M EDTA를 적용하여 근관내 도말층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으며, 상아세관 개구부가 확연히 노출되어 있는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 3. 도말층이 덮인군에서 미생물의 부착이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5). 4. 근관 형성중 형성되어 근관 상아질을 덮고 있는 도말층이 미생물의 부착을 증가시켜, 근관 재감염의 기회를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optical properties of GZO and ZnO thin films deposited by RF magnetron sputtering (RF magnetron sputtering 법으로 증착된 GZO와 ZnO 박막의 광학적 특성)

  • HwangBoe, S.J.;Jeon, H.H.;Kim, G.C.;Lee, J.S.;Kim, D.H.;Choi, W.B.;Jeon, M.H.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16 no.6
    • /
    • pp.453-457
    • /
    • 2007
  • Zinc oxide (ZnO) and Ga doped zinc oxide (GZO) with different thickness in range of 10nm to 100nm are prepared on glass substrate by RF magnetron sputtering at room temperature. The structural and optical properties of the thin films is evaluated.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ZnO and GZO are investigated by Tunneling Electron Microscopy (TEM)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Optical properties are also investigated by UV-VIS-NIR spectrophotometer (200$\sim$1400nm). The much larger grain size of ZnO compared to GZO decreased the light scattering at the grain boundary and improved the transmittance. The transmittance of ZnO is higher than that of GZO through all of the ranges of wavelengths. In case of over 50nm, we found that the transmittance of ZnO is 20% higher than that of GZ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