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변장치

Search Result 855,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 Study on Input Unit Design using by Mouse and Digitizer (SBC에서 마우스와 디지털 입력장치를 이용한 입력유니트구현에 대한 연구)

  • Kim, Jea-Jin;Cho, Yo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239-24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싱글 보드컴퓨터(SBC)에서 마우스와 디지타이저를 이용한 입력장치설계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산업용 제어현장에서 사용되는 SBC는 아날로그 방식의 입력장치를 주로 사용하지만, 현재의 컴퓨터 주변장치를 직접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PC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주변장치를 SBC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변환하는 입력장치를 설계 제작하였다. PC 주변장치는 MCU를 이용하여 신호를 해석한 후, SBC 입력장치 신호형식으로 변환하여 제공하였다. 설계 제작된 입력장치는 마우스 디지타이져, 터치스크린 등 다양한 장치들을 SBC에서 사용이 가능함을 보였다.

  • PDF

Introduction to Data Flow of Telemetry for KOMPSAT-2 (다목적실용위성 2호에서의 Telemetry 데이터 흐름)

  • 이재승;최종욱;천이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337-339
    • /
    • 2002
  • 현재 군사적, 상업적 또는 과학적 목적의 많은 인공위성들이 개발되고 있고, 실제로 이러한 목적의 인공위성들이 우주공간에서 각각의 맡은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해양관측용 자료 및 10m급 해상도의 영상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는 다목적실용위성 1호의 경우, 자료 획득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많은 내부적인 준비작업과 주변장치들을 필요로 하게 된다. 주변장치들도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필요한 정보를 다른 장치로부터 받기도 하고 다른 장치에 필요한 정보를 주기도하는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위성의 전체적인 상태나 구성하고 있는 주변장치들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지상의 관제소에서 계속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그러나 궤도를 돌고있는 위성은 관제소와 항상 정보를 주고받을 수는 없으므로 위성의 상태 데이터를 정해진 형식으로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시 이를 지상에 보내줄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내부 장치들에 대한 하드웨어 데이터와 위성의 상태 데이터를 획득, 관리 및 저장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다목적실용위성 2호에 탑재될 수 있도록 위성탑재 소프트웨어의 상세설계가 이루어 겼다. 이 설계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목적실용위성 2호의 텔레메트리 데이터의 획득이 이루어질 것이며 현재 탑재 소프트웨어에 대한 검증이 수행되고 있다.

  • PDF

주변 정합장치

  • Lee, Yun-Ju
    • ETRI Journal
    • /
    • v.8 no.2
    • /
    • pp.53-64
    • /
    • 1986
  • 본고에서는 TDX-1의 주변정합장치로 구성되는 가입자 회로, 애널로그 중계회로, 디지틀 중계회로의 기능 및 설계에 대한 특성과 측정 결과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또한 TDX-1시스팀의 현장운용중 발생되는 가입자 서비스 및 운용자 불편사항을 수집 분석하여 현재의 정합장치에 대한 설계 검토 보완과 향후 TDX-10의 주변정합장치 개발에 활용토록 할 예정이다.

  • PDF

탐방 - 진성엔지니어링, PS판 핀 펀칭기로 명성

  • Park, Seong-Gwon
    • 프린팅코리아
    • /
    • v.9 no.3
    • /
    • pp.64-65
    • /
    • 2010
  • 인쇄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변화의 시대에 인쇄 주변기기를 개발, 보급함으로써 인쇄기술 발전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는 기업이 있다. PS판 핀 펀칭기 제조 전문업체인 진성엔지니어링(대표 이평진)이다. 최근 친환경 인쇄와 관련해 폐수처리장치 집진장치 등을 제작 널리 보급하고 있는데 힘을 쏟고 있는 이 회사는 인쇄 주변기기 분야의 강자라는 평가를 뛰어넘어 인쇄 주변 기기 종합 제조사로서의 비상을 준비하고 있다.

  • PDF

최신 무정전전원장치의 기술동향

  • 황용하
    • 전기의세계
    • /
    • v.44 no.11
    • /
    • pp.44-49
    • /
    • 1995
  • 간략하지만 최신 기술이 적용된 무정전전원장치에 대해 소개하였다. 전원 장치는 새로운 특성을 요구하는 부하가 지속적으로 출현함에 따라 지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고성능화, 고기능화, 저가격화, 소형화, 무소음화 등을 실현하기 위한 전력 전자 기술이 발전할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원격 감시, 원격 제어 기능은 물론 운전 DATA 기록 및 관리 기능이 탑재되어 신뢰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운용상 애로가 없도록 주변장치의 개발 및 보완 기술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SOFC stack module (SOFC 모듈평가장치 기술개발)

  • Choi, YoungJae;Lee, InSung;Jun, JoongHwa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81.2-81.2
    • /
    • 2010
  •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SOFC) 시스템은 스택과 기계적 주변 장치인 MBOP(Mechanical Balance of Plant), 그리고 전기적 주변장치인 EBOP(Electrical Balance of Plant)로 구성되어있다. SOFC는 일반적으로 $700^{\circ}C$ 이상의 고온에서 작동되기 때문에 효율적인 열 이용 및 열 관리가 중요하다. SOFC 시스템의 MBOP에는 상온의 연료가스들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스택에 유입 시기키 위한 열교환기 및 촉매연소기 등의 장치들이 필요하며, 효율적인 열관리를 위해서는 고온에서 작동하는 장치들을 한곳에 통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SOFC 시스템의 MBOP(Mechanical Balance of Pant) 중 고온부에 해당하는 촉매연소기, 열교환기 및 스택이 통합된 스택 모듈을 제작에 앞서 개념 검증을 위해 열교환기 및 촉매연소기로 이루어진 프로토타입(prototype)의 SOFC 모듈평가 장치를 제작하였다. 열교환기는 Plate형으로 총 6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료극과 공기극 가스라인에 각각 3개씩 배치하여 스택에 유입되는 연료 및 공기가 촉매연소기에서 나오는 고온의 배가스와 열교환되어 가열되도록 구성하였다. 촉매연소기는 honeycomb 타입의 촉매를 사용하였고, 촉매연소기로 유입되는 연료극 배가스와 공기의 균일혼합과 hot spot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삽입하여 제작하였다. 제작된 SOFC 모듈평가장치는 시운전을 통해 각 장치의 성능 확인 후 반응면적이 $20{\times}20cm^2$ 인 단전지를 적층하여 연계 운전을 수행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Context based Service Framework for Mobile Environment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상황정보 기반 서비스 프레임워크의 개발)

  • Jeong, Seong-Hun;Kang, Bum-Seok;Yoon, Hyung-Min;Han, Tack-D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1381-1384
    • /
    • 2005
  •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모바일 기기는 카메라, GPS, RFID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를 장착하고 Wi-Fi, WiMAX, WiBro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으로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주변의 컴퓨팅 자원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고 모바일 기기의 서비스는 주변의 센서 또는 임베디드 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집되는 다양한 주변 환경 정보와 시스템 상태정보, 네트워크 상황정보 등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상황인식(context awareness)이 가능한 스마트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 주변상황인식을 위하여 서비스는 주변에 존재하는 다양한 장치를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이질적인(Heterogeneous) 장치와 정보의 표현 및 전송에 대한 호환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는 규격화된 프레임워크의 사용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상황정보의 관리 기능을 추가하여 서비스 개발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컴퓨팅 환경에서 상황정보의 제공과 사용에 적합한 프레임워크로서 MoCE(Mobile Context Exploerer) 아키텍처를 설계하였다. MoCE 는 상황정보의 수집, 변환, 분류, 통합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모바일 환경의 특성에 기인한 상황정보 발견 및 전송 프로토콜을 설계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Surround multiCam 서비스 예제를 구현하여 제안한 아키텍처의 안정성 및 성능을 실험하였다.

  • PD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Modeling for High Efficiency Fuel Cell Balance of Plant (BOP) (연료전지용 고효율 주변장치 (BOP) 설계를 위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PEMFC) 스택 모델링)

  • Kim, Jong-Soo;Choe, Gyu-Yeong;Na, Jae-Hyeong;Kang, Hyun-Soo;Lee, Byoung-Kuk;Lee, Won-Y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201-20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기계적 주변장치 (MBOP)와 전기적 주변장치 (EBOP)의 최적 설계를 위해서 PEMFC 스택을 전기화학반응을 기초로 모델링한다. 모델링을 위해 기본적인 PEMFC의 구조와 동작 원리를 설명한다. 연료전지의 이론적 최고 전압인 평형전위를 깁스 자유에너지와 네른스트 방정식으로 유도한다. 전류밀도에 따른 전압 손실인 활성화, 저항, 농도 분극현상을 표현하기 위해서 수식을 유도한다. 수소가 이온화되지 못하고 산소극으로 넘어가서 발생되는 연료손실 및 내부전류와 지속적인 정역반응인 교환전류도 모델링된다. 평형전압에서 각 분극을 뺀 실제 운전 전압을 시뮬레이션하고, 유량과 압력에 따른 출력 특성을 시뮬레이션 한다. 부하변동 시 출력특성을 시뮬레이터와 실험결과로 비교한다.

  • PDF

A Study on input and display interface for industrial computer (산업용 컴퓨터용 입력 및 표시장치 인터페이스 구현에 대한 연구)

  • Cho, Young-Seok;Kim, Ja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7a
    • /
    • pp.196-19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산업용 컴퓨터에서 사용할 마우스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산업용 컴퓨터 인터페이스 장치 구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산업용 제어 현장에서 사용되는 제어용 컴퓨터의 입출력 장치는 확장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의 컴퓨터 주변장치를 직접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용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라이트펜과 모니터를 현재 주로 사용하는 마우스와 LCD모니터로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개발하여, 생산 공정에서 사용하는 산업용 컴퓨터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한다. 산업용 컴퓨터 인터페이스장치는 ARM 기반 MPU를 이용하여 영상 신호와 외부 입력장치의 자료를 처리하고, CPLD에서 생성된 신호를 제어용 컴퓨터로 입력하였다. 제어컴퓨터의 영상신호를 다양한 모니터와 인터페이스 할 수 있도록 비디오 스케일러(Video Scaler)를 사용하였다. 구현한 인터페이스 장치는 다양한 장치들을 산업용컴퓨터에서 사용이 가능함을 보였다.

  • PDF

4. 전자분야 동향 - PC카메라, CCTV 2003년까지 성장

  • 한국광학기기협회
    • The Optical Journal
    • /
    • v.13 no.1 s.71
    • /
    • pp.43-47
    • /
    • 2001
  • 최근 열린 첨단 컴퓨터 장치의 경연장인 컴덱스(2000년 11월 라스베이거스)에서는 PC 자체보다 PC와 연결해 이용하는 주변 이용장치 분야가 각광 받았다. PC카메라를 포함한 PC 주변기기의 세계시장규모는 2003년 1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을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는 2000년에 적어도 전해보다 5배 이상 성장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