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방설비

Search Result 6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주방기기

  • Korea Boiler Engineering Association
    • 보일러설비
    • /
    • no.11 s.142
    • /
    • pp.137-144
    • /
    • 2005
  • 과거 우리나라의 부엌은 주부의 노동공간으로 여겨져 왔지만 현대에 와서는 주방의 기능적 측면이 충분히 반영되어 적극적인 서비스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 핵가족 시대의 가족유대를 도모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한 가족이라 하더라도 각자 다른 생활패턴을 가지고 있어 가족구성원이 서로 얼굴을 대할 수 있는 시간은 식사시간 정도가 전부일 것이다. 따라서 주방은 조리 휴식 대화의 복합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성 편의성 안락함을 지닌 공간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주방이 식사와 더불어 가족들간의 자연스런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생활중심공간이라고 여겨지고 있으며, 아울러 주방을 하나의 '문화공간'으로 간주하기도 하여 주택의 내부와 조화를 이루는 주방인테리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 PDF

Energy Consumption and HVAC System in Commercial Kitchens (업무용 주방에서의 에너지소비량과 환기.공조시스템)

  • 이상렬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2 no.2
    • /
    • pp.40-50
    • /
    • 2003
  • 본고에서는, 업무용 주방에서 소비되는 에너지 실태에 대하여 논하고, 업무용 주방의 환기.공조설비에 관한 연구가 왕성한 유럽과 일본에 있어서의 기준을 비교하여 각각의 특징이나 차이점 등에 대해서 소개한다. 더욱이 유럽에서 채택되고 있는 쾌적성이나 에너지절약을 배려한 환기.공조시스템의 적용예와 유럽에 있어서의 최근의 연구동향을 소개한다. 또한 작업구역의 환기효율이나 공조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환기.공조시스템에 대해서 검토한 사례를 보고한다.

  • PDF

The Effect of Makeup Air on Kitchen Hoods (주방후드에서 보급공기의 영향)

  • 장경진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2 no.11
    • /
    • pp.63-68
    • /
    • 2003
  • 주방환기의 계획에 있어서 조리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적절히 배기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기구의 배치와 발열량을 평가하고 후드의 위치와 종류 그리고 덕트직경과 경로를 결정하며 적정한 풍량을 제거하기 위한 배기팬을 선정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실내 공기밸런스 계획을 시행함에도 불구하고 배기된 체적에 해당하는 풍량을 보충 공급하는 방식에 대한 고려는 현재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이다.

  • PDF

주방$\cdot$욕실등의 입상관을 공장제작하는 하나로 파이프 모듈시스템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0
    • /
    • pp.72-73
    • /
    • 1991
  • [ $\ulcorner$ ]하나로 파이프 모듈$\lrcorner$시스템은 급$\cdot$배수용 파이프와 냉$\cdot$난방용 파이프, 주방 및 화장실 배기용 스파이럴 덕트를 한데 모아 관주위에 폴리우레탄으로 둘러싼 후 집섬보드로 마감처리까지 끝낸 팩케이지형 시스템을 공장에서 생산, 현장에서는 조립$\cdot$시공만 하면 되는 시스템이다.

  • PDF

주방조리기에서 발생되는 화염전파의 수치적 해석

  • 조정훈;이동호;권용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419-424
    • /
    • 2002
  • 주방연소기의 사용 부주의로 인한 화재는 일반주택 및 다량의 열원을 사용하는 음식점 등에서 발생가능성이 가장 높다. 한편, 화재발생으로 인한 사망자의 80%는 연소가스에 의한 질식으로 사망하게 된다. 주방에 설치된 연소기 상부에는 일반적으로 배열, 제습 및 그리스제거 목적으로 주방후드를 설치되고 있으나 화재를 대비한 복합기능설비로 고안되어 있지 않다.(중략)

  • PDF

Evaluation for Cleanness of Kitchen and Hall of Restaurants in Seoul (서울지역 음식점 주방 및 식당의 청결도 평가)

  • 이애랑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6 no.4
    • /
    • pp.397-405
    • /
    • 2003
  • The cleanness of Korean(n=292), Chinese(n=46), Japanese(n=114) and Western(n=74) styles restaurants in 25 districts in Seoul was evaluated in terms of kitchen area(6 criteria), handling of raw materials(3 criteria), hygiene practice for cook(1 criteria), treatment of wastes(2 criteria) and hall(2 criteria). The western-style restaurants were scored the highest points in all criteria. The other three restaurants were poorly evaluated compared with western-style ones in kitchen area, including cleanness of inside of the kitchen, hygiene practice, ventilation and working environment, drainage, and storage of utensils. The most critical criterion which represents the overall evaluation was the ventilation and working environment of the kitchen for Chinese, Japanese and Western-style restaurants, and was the cleanness of inside the kitchen for Korean-style restaurants.

가스안전 - 빌트인 연소기 설치기준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68
    • /
    • pp.66-69
    • /
    • 2012
  • 최근 국민소득 증가와 주거환경의 변화로 주방의 편의성 및 미관을 위해 빌트인 연소기(주방가구 안에 일체로 설치된 연소기) 설치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빌트인 구조로 연소기를 설치할 경우 연소기와 호스의 접속부분은 은폐구조로 되어있어 일상점검이 불가능함에 따라 안전관리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가스안전공사는 지난 2011년 5월 연결부분 점검기준을 KGS코드로 제정 시행하고 있으나 점검구를 '연소기와 호스 연결부 부근'이 아닌 다른 곳에 뚫거나, 미관상의 이유로 막아버리는 경우가 있어 여전히 안전관리에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가스안전공사는 빌트인 연소기 내부 가스 체류로 인한 폭발사고 방지를 위해 '빌트인 연소기 설치기준'을 보급하고 있다.

  • PDF

주방 및 화장실 공용배기 수직덕트와 하이브리드배기장치의 기능

  • Gwon, Yong-Il;An, Jeong-Heon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8 no.9
    • /
    • pp.4-9
    • /
    • 2009
  • 초고층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주방 및 욕실의 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법은 공용유도관로인 수직덕트를 설치하고 그 상부말단에 하이브리드 루프팬의(hybrid roof fan)이 설치하는 것이다. 하이브리드 루프팬의 기능은 자연통풍력이 약한 하절기는 강제적으로 루프팬에 의해 구동하고 자연배기를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자연통풍력이 큰 동절기는 루프팬을 운전하지 않는 기능을 보유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본 고는 이러한 하이브리드 루프팬의 운전조건을 53층 높이의 임의 공동주택에 대해, 수직덕트의 선정한 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