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방가구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4초

주방 가구디자인 모듈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ular System for the Kitchen Furniture Design)

  • 최지영;박영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1-6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basic module of kitchen furniture design by considering the dimensions of work-surfaces, such as the size of worktable and the length of the kitchen furniture based on the physical size of a human scale and the behavior in the kitchen and the size of goods. In conclusion, this study develops a basic module of the kitchen furniture and suggests the new dimension for the kitchen based on the human scale and demand for the kitchen goods thus, it is expected to use it as a basic data for the kitchen space study and kitchen furniture industry.

  • PDF

가스안전 - 빌트인 연소기 설치기준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268호
    • /
    • pp.66-69
    • /
    • 2012
  • 최근 국민소득 증가와 주거환경의 변화로 주방의 편의성 및 미관을 위해 빌트인 연소기(주방가구 안에 일체로 설치된 연소기) 설치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빌트인 구조로 연소기를 설치할 경우 연소기와 호스의 접속부분은 은폐구조로 되어있어 일상점검이 불가능함에 따라 안전관리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가스안전공사는 지난 2011년 5월 연결부분 점검기준을 KGS코드로 제정 시행하고 있으나 점검구를 '연소기와 호스 연결부 부근'이 아닌 다른 곳에 뚫거나, 미관상의 이유로 막아버리는 경우가 있어 여전히 안전관리에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가스안전공사는 빌트인 연소기 내부 가스 체류로 인한 폭발사고 방지를 위해 '빌트인 연소기 설치기준'을 보급하고 있다.

  • PDF

현대 주방가구의 친환경디자인 사례 연구 (Trend of Eco-friendliness and Functionality of Contemporary Furniture)

  • 김미경;김명태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97-202
    • /
    • 2016
  • One of the conspicuous changes in kitchens is that kitchen space is more economically constructed than ever before giving more considerations to functionality. At the same time, eco-friendliness begins enjoying more attention for health and well-being reasons. Which is more important between functionality and eco-friendliness is a matter of personal taste and judgement. But eco-friendliness has become one of the more critical criteria for users to choose kitchen furniture. This paper examines the design trends of Contemporary kitchen furniture from the perspective of functionality and eco-friendliness. Results show that, as has been expected, many of kitchen furniture items manufactured by major furniture businesses have been found more functional and more eco-friendly than before the research period. I expect this trend to continue long into the future.

현대 중국 식문화와 주방수납공간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Food Culture and Kitchen Storage Space)

  • 서월;최경란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19권
    • /
    • pp.405-415
    • /
    • 2015
  • 최근에 중국의 경제적, 문화적 변화 속도는 빠르고 생활양식도 많이 바뀌었다. 따라서 중국인의 생활은 인간 근본적인 식(食), 의(衣), 주(住)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 이에 각각 기업들은 한계를 넘어 더 넓은 영토와 풍부한 인구, 자원으로 시장 성장의 잠재력이 높은 중국시장으로의 진출이 주목되고 있다. 한국은 20세기 60년대 이후 경제성장을 통하여 근대화에 접근하는 동시에 수많은 문제점도 같이 생겼다. 그 중 하나는 인구의 도시집중 현상이다. 이 현상으로 이야기되는 주택부족의 문제는 특히 심각하여 사회적 문제가 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현실에서는 주거공간의 축소화는 필연적일 수 밖에 없으며 이 상황에 따라 주거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요구되고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특히, 한정된 가족 공동 생활공간에서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하는 것은 더욱 의미가 크다. 한국과 달리 중국 주방공간은 거의 폐쇄되고 그 한정된 공간에서 다양한 활동을 진행해야 하는 것은 더 심각하다. 사람들이 생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식생활을 즐기면서 더 많은 물건으로 주방공간을 채우고 있다. 이 상황에 따라 주방 공간을 추가해야하는 상황이지만 불합리적이고 획일적인 주방가구의 배치 및 아파트의 자투리를 활용한 주방계획으로 주방공간의 사용효율성이 떨어지고 거주자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식 주방가구디자인을 위한 기초연구로 중국 보편적인 중소형아파트의 식생활공간에 수납되어 있는 물품의 가짓수, 수납위치와 빈도를 조사·분석하여 중국 식문화에 나타나는 식행위(食行爲)과 중소형아파트의 주방 수납공간 특성을 찾아내서 그 사이의 관계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향후 본 연구는 합리적·효율인 수납방식을 제안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4차 산업혁명의 스마트 키친 연구 - IOT 주방가구와 주방가전의 개발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mart Kitche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Focusing on IOT Kitchen Furniture and Kitchen Electric Appliances -)

  • 오미현;김종서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68-277
    • /
    • 2017
  • This paper analyzed the modern trends and the present state of kitchen furniture and electric appliances depending on the advancement in IOT technology, in order to contribute to seeking a method of approaching consumers as an effective way for kitchen furniture and electric appliance companies to develop IOT products. Prior to analysis, the chronological transitions of Korean kitchen furniture and examined the effects of Korea's own emotions and characteristics on modern kitchen. For this study, the changes in Korean kitchen space were explored, based on previous studies, recent trend magazines, articles and professional books and the trends of modern kitchen furniture were observed. Also, the concept of IOT technology was considered and then the tendencies of modern IOT kitchen furniture and electric appliances were analyzed. The case study targeted the recent three-year trends of two types of domestic kitchen furniture and small-sized IOT kitchen electric appliances, which are sold, or have been introduced on foreign online stores and have been unveiled at CES Electric Appliances Exhibi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many foreign countries, including the US have been developing various IOT kitchen electric appliances. The enterprise concept is to change kitchen with their IOT products, not changing future kitchen with IOT technology. This implies that approaches to product development may change. Moreover, it was recognized that for kitchen design, characteristics of product users need to be considered, according to Korean ideology.

가사활동에 따른 피로도 감소를 위한 입좌식 부엌가구의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철홍;최재순;성영애;김태광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42-151
    • /
    • 1997
  • 본 연구는 주부들의 주활동공간인 부엌가구와 공간의 설계에 있어사용하기 편리하며 가사활동에 따 른 피로를 경감시키고 요통과 같은 주부직업병을 예방할 수 있는 부엌가구와 공간의 개발에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는 먼저 수도권의 32평형 규모의 아파트150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만 24시간동안의 실제 가사활동을 Video로 촬영하여 동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부들은 수납의 용 이성과 공간의 크기, 작업대의 높이 등을 가장 많은 개선사항으로 지적하였으며, 절반이상의 주부들이 앉은 자세에서 작업이 이루어졌으면 좋겠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동작분석 결과 작업의 70%이상이 개수 대를 중심으로 조리대와 가열대 주변의 한정된 공간에서정적으로 선 자세에서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이러한 선 자세에서의 작업에 따른 피로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입좌식 의자를 도입하였으며, 개수대를 씽크대의 'ㄱ'자 코너에 위치하여 주방활동시의 이동거리를 단축하고자 하였다. 피로도의 경감 을 측정하기 위하여 입좌식 의자를 도입한 개선된 씽크대와 기존의 입식씽크대에서 가사활동시 요구되는 주부들의 에너지 대사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심장박동수와 산소호흡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주방에 입좌식의자를 도입한 경우가 가사활동에 요구되는 에너지 소모량이 심장박동수와 산소호흡량의 기준에서 각각 평균적으로 30%와 57.5% 이상이 감소하는 것으로 파악되어 이러한 부엌가구의 도입으로 주부들의 가사활동에따른 피로도가 절반 가까이 감소될 수 있음을 니타내었다. 또한 부엌가구의 재배치 에따른 가사활동시 이동거리가 평균적으로5.5%이상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주방설 계에 적용할 경우 가사활동의 효율성과 편리성이 향샹됨은 물론 가사활동에따른 피로도를 경감 시키고 요통 등의 주부직업병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1일 1회씩 4회 투여한 군에서도 암수에 상관없이 전 농도 군에서 염색체이상을 나타내지 않아 유전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관찰하였다. 특히 vitamin C와 E의 병용투여는 상승적으로 적용하여 간세포손상을 더욱 억제시킴을 알 수 있었다.mance and on TFP(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which is a pure measure of firm performance. To utilize the advantage of panel data, FEM(Fixed Effect Model) and REM(Random Effect Model) were used. The empirical result shows that the entropy index as a measurement of inter-business relatedness is not significant but technological relatedness index is significant. OLS estimates on pooled data were considerably different from FEM or REM estimates on panel data. By introducing interaction effect among the three variables for business portfolio properties, we obtained three findings. First, only VI (Vertical integra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OS. Second, when using TFP growth as an dependent variable, both TR(Technological Relatedness) and f[ are signif

  • PDF

복합 링크기구를 이용한 주방 상부장 설계 (Design of kitchen cabinet using complex link mechanism)

  • 임건혁;심기범;심훈;장지원;김상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429-434
    • /
    • 2023
  • 주방 상부장은 주방 도구들을 수납하기 위한 필수적인 가구이지만, 높은 위치에 설치 및 고정되어 있어 상부장의 2층 또는 3층처럼 높은 곳에는 사람의 손이 접근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상부장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물건을 손쉽게 꺼내거나 보관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 기능이 추가된 상부장 구조를 제안한다. 사용자 편리와 안전을 위해 상부장 전체가 아닌 개별 층이 하강하도록 하였으며 선택한 층이 한 번의 동작으로 사용하기 편리한 높이까지 내려올 수 있도록 적절한 복합 링크기구를 설계하였다. 또한, 하강 과정에서 층이 기울어지거나 층간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최적의 하강 경로를 설정하였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적절한 링크 길이와 조인트 위치 및 구속조건을 선정하였다. 보관된 물건들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FEA 해석을 통해 기구 장치에 대한 안정성을 검증하였으며 실제 제작을 통해 높이 조절 상부장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였다.

맞벌이 가구의 주방공간내 생활재 및 수납현황에 관한 연구 - 서울시 3침실형 아파트에 거주하는 1자녀 가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ditions of Household Items and Storage in the Kitchen of Dual-Income Families - Focused on Dual-income Families with One Child Living in a 3-bedroom Apartment in Seoul -)

  • 정경숙;김수정;박성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106-11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usehold Items and storage of kitchen and to suggest basic data for the desirable storage space. For the study, the samples were taken from 30 families living in 3-bedroom apartment. The personal interview and physical trace method were used to analyze the types and quantities of household Items and the storage conditions in kitchen furniture. The result was as follows : first, a total of 210 types of household Items were found in the kitchen, and the items ranged widely in purpose, from cooking and dining tools, hygiene products, and general household goods, which indicate that a variety activities in addition to cooking and eating are performed in the kitchen. Second, regarding the quantities of household Items, the majority of them were used for cooking and dining. Also the types and quantities of household Items varied according to the age of the child. Third, regarding storage of household Items in the kitchen by furniture type, the majority of the items were stored in the wall cabinets, base cabinets, and countertops and, as a storage method, simple 'placement' was most common. This suggests there is lack of three-dimensional storage in the kitchen. The findings show activities and storage in the kitchen space vary according to the age of the child, and household Items are stored by using several common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