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민 대피

Search Result 10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stablishment of Rainfall standards for Evacuation of Residents in the downstream of steep slopes (급경사지 하류지역 주민대피를 위한 강우기준의 설정)

  • Seo, Chang Woo;Park, Ki 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80-280
    • /
    • 2022
  • 급경사지의 붕괴원인은 강수량과 지형적, 지질적 원인 등이 있지만 최근 집중호우 및 홍수사상에서 많은 피해가 발생한 것에서 강수량과 급경사지 붕괴는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급경사지 붕괴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가 진행되었지만 특히, 강우량과의 상관성을 해석하고 기준을 지질과 지형적 특성에 대한 규명을 하고자 노력하였다. 2015년 행정안전부에서는 급경사지 지역의 주민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민대피 관리기준을 제시하였다. 주민대피 관리기준에는 계측기준과 강우량 기준으로 나누어 급경사지 하류지역의 주민대피를 위험단계별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최근의 강우가 급격하게 변화하고 급경사지 지역의 많은 피해가 발생하면서 주민대피 관리기준 중 강우기준의 조정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999년부터 2020년 까지 발생한 급경사지 피해사례를 조사하여 산사태 피해지역의 강우량 자료를 수집하여 지속시간별 강우량과 1,2,3 시간에 대한 연속강우자료를 수집하여 위험단계별 주민대피 강우량을 제시하였다. 기존 2015년도 주민대피 강우기준을 산정시 분석에 적용된 지질별 강우를 고려하여 재산정하여 위험단계별 주민대피 강우기준을 산정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Resident' Evacuation Management Standard In Rapid Slope Areas Reflecting Rainfall Characteristics (강우특성을 반영한 급경사지 주민대피관리 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 Park, Ki Bum;Kim, Kyo Sik;Yang, Jun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57-257
    • /
    • 2021
  • 2007년 급경사지 재해 예방에 관한 법률 제정 이후, 급경사지에 대한 여러 가지 대책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2020년 발생한 최장기간의 장마에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는 A-C등급의 급경사지 붕괴에 의해 많은 피해가 발생하였다. 특히 2020년에는 A-C등급의 급경사지 붕괴건수가 185건이나 발생하여 급경사지 평가기준에 대한 개선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급경사지 주변 지역의 주민대피 관리기준의 강우특성이 과거 2009년에서 2014년 피해자료를 기반으로 산정된 강우기준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초과 강수량과 분석강우의 신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발생된 강우특성이 반영되지 못한 현행 급경사지 주민대피 관리기준의 강우기준에 대한 개선을 위해 강우자료의 30년 이상의 강우분석을 반영하고 최근의 기후변화 특성에 따른 강우분석자료를 검토하여 주민대피 관리기준에서의 강우기준 개선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 PDF

Developed a CBR Model for Civil Defense Evacuation Facilities (민방위 대피시설의 화생방 방호 모델 개발)

  • Park, Nam-Hee;Yeo, Wook-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358-359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민방위 대피시설을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피시설에 적용하고 있는 화생방 설비의 개념을 분석하여, 우리의 실정 및 재난 특성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대피시설의 설계 기준(안)을 도출하여, 획일화된 방호개념을 탈피한 대피시설의 구축 기반을 설정하기 위해 새로운 건물 내 대피시설(SIP) 개념을 도입하여, 일반 국민이 화생방관련 민방위 사태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는 대피시설 계획의 설계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다. 전체 대피시설 중 0.1%를 차지하고 있는 화생방 대피시설의 비율이다. 개소수로는 29개소이며, 이 시설은 일반 주민은 사용할 수 없는 충무지휘용 대피시설이다. 이는 화생방 재난 및 사고 발생 시 일반 주민들은 대피할 공간이 전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대피시설 계획 설계내용을 검토하고 국내 시설과 비교하여 대피시설의 성능을 비교 검증하고 화생방 대피시설의 일반적/기술적 구축 조건 모델을 구성하였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Damage Impact Distance Calculation Formula for Accident Response and Prevention in case of Leakage of Substances Prepared for Evacuation of Residents in Chungju (충주의 주민대피 대비물질 누출사고 시 사고대응·예방을 위한 피해영향거리 산정식 개발 연구)

  • Jeon, Byeong-Han;Kim, Hyun-Sub;Lee, Myeong-Ji;Yun, Jeong-Hyeon;Jung, Woong-Yul;Oh, Seung-B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1
    • /
    • pp.703-712
    • /
    • 2021
  • In this study, a formula was derived to calculate the damage impact distance using the Chemical Accident Response Information System (CARIS) so that local governments can decide on the evacuation and notification of 13 types of substances. The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selected 16 out of 97 types of accident preparedness substances in 2018 and called them residents' evacuation preparedness substances. In a chemical accident, local governments should prepare for resident notification, such as emergency disaster texts. Using the CARIS in Chungju, this study modeled the damage-affected distances of 13 types of substances for the evacuation of residents. Under all conditions,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was 0.99 or higher, representing a range of at least 0.9921 to a maximum 0.9999.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between the damage impact distance obtained using the calculation formula, and the CARIS result was compared.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was corrected considering the actual chemical accident response situation, and the range was found to be between 0.58 and 5.97%. The damage impact distance can be calculated at the site using the calculation formula derived from the research, and local governments can determine whether to evacuate or notify residents.

A Study on the Community Facility Design Convertible to Refuge in case of Emergency (비상시 대피시설로 전환가능한 주민시설 디자인에 관한 연구)

  • Kim, Hee-Ky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4
    • /
    • pp.2503-2510
    • /
    • 2014
  • This study chiefly aims to find out the efficient ways of designing community facility convertible to refuge in case of emergency. In order to reach this goal, this study analyzed (1) definition of terminologies regarding disaster and refuge space, (2)present situation of regarding acts and standards, (3)function and spatial specialties of existing community facilities. Besides, in order to clarify the efficient design methods of 'function-convertible-type' community facility, this study executes archival research on (1)spatial requirements, (2)methods of designing futuristic community facility. When making design directives of community facilitie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1)vertical integration of rescue related function, (2)spatial division and architectural installation concerning privacy, (3)proper layout of locker room, shower room, toilet, etc. (4)appropriate size of unit space. It is desirable to execute the refuge function with minimum psychological anxiety in case of disaster through design guideline for 'function-convertible-type' community facility.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Analysis of the Korean and Japanese Residence Evacuation Plans (한일 주민대피계획의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 Park, Namkwun;Kim, Twehwa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8 no.2
    • /
    • pp.171-177
    • /
    • 2012
  • To protect the life and property of the residence from diverse disasters, we have collected and analyzed the domestic and foreign residence evacuation plans. The results and proposals from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in following. First, the contents and items in civil defense emergency evacuation plan guidelines should be stipulated more clearly and its' application should be extended. Second, uniformity must be established in non-coherent contents between cities and counties. Third, disaster-prone people are not considered in the evacuation plans. The disaster-prone people must be accounted by each cities and counties and an evacuation plan for them must be established. Fourth, most of the rooms for residence evacuations are second to third level, and they are defenseless against disasters like CBRNE. Considering these conditions, deploying transportation means that can support large-scale evacuations, quickly and effectively, must also be considered.

A Research of Domestic Radiation Measurement Devices Suitable for Use in the Event of a Radioactive Disaster (방사능재난 시 주민이 사용하기 적합한 국내 방사선 계측기에 대한 조사)

  • Park, Nam-Hee;Sim, Da-So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224-225
    • /
    • 2023
  • 방사능재난 시 주민의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대피 및 소개가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주민이 휴대용 방사선 계측기를 통하여 방사능 오염 발생을 감지해 사전에 신속히 대피할 수 있다면, 방사능재난 대응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논문에서는 방사능재난 시 주민이 사용하기 용이한 방사선 계측기를 제시하고, 향후 보완하여야 하는 사항에 대해 검토하였다.

  • PDF

A Study on Landslide Warning Guidelines Based on Regional Rainfall (지역별 강우량 기반 급경사지 붕괴 예경보기준 연구)

  • Ryu, Ji Hyeob;Park, Jung Yong;Lim, Ik 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6 no.1
    • /
    • pp.55-63
    • /
    • 2013
  • The existing landslide warning guideline was mostly issued in 1990's and did not consider recent weather changes such as focused area heavy rainfall or regional geographic features. And every regional government applies the guideline equally which results in continued disasters. Thus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research on landslide with regards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creased focused rainfall and regional geographic features. We propose a renewed emergency escape guideline against steep slope landslides that can assess most likely avalanche time according to amounts of rain and a continued raining time, for a swift escape of the residents of the affected area.

A Study on Status Survey for the Improvement of Shelter Facilities for Residents (주민대피시설의 성능개선을 위한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 Park, Namkwun;Kang, Shinwook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0 no.1
    • /
    • pp.91-97
    • /
    • 2014
  •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status survey on existing shelter facilities for residents and use it as basic material to plan and design improved shelter facilities in the future. As the result, first, although existing shelter facilities are judged to have been designed in consideration only of the protection from high explosive shells, actual protection capability is significantly low against high explosive shells when exit direction and protection capabilities of main entrances were investigated. Second, all the 7 facilities did not have air purifier with filters installed for the air that flows into the inside from outside and since the height of air exhausts and intake pipes in the outside are also close to the earth, there are possibilities that heavy contaminated air can flow into the inside. Third, although some facilities have anti-explosion doors installed, it is impossible to use them as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CBR) shelter because of improper installation of openings and anti-explosion valves as well as poor plumbing that cannot ensure air-tightness and poor finish of piping penetration.

Tsunami Evacuation Simulation at Samcheok Port (삼척항의 지진해일 대피 시뮬레이션)

  • Park, Seong-Kyu;Ha, Tae-Min;Cho, Yong-S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109.2-109.2
    • /
    • 2010
  • 방재계획의 하나인 대피장소 및 대피경로의 결정은 방재계획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사항으로 재해발생 시 대비가 적절치 못하면 대규모 인명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결정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대피장소 및 대피경로의 결정은 직접 대규모 인원이 참여한 모의실험을 실시하여 효율적이고 안전한 방법을 찾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대상 지역의 지진해일 대피 시뮬레이션 모형을 제작하고 이를 적용하여 최적의 대피장소 및 대피경로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접근을 통하여 실제 지진해일 발생 시 주민들이 가장 빠르고 안전하게 대피하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효율적이고 안전한 방재계획 수립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지진해일로 인한 피해 경험이 있는 삼척항을 지진해일 대피 시뮬레이션을 위한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현장 조사를 실시하여 대상지역의 지형특성을 고려한 결과를 토대로 지진해일 대피 시뮬레이션에 앞서 필요한 가상 시나리오를 작성하였고 지진해일 대피 시뮬레이션을 통해 비상대처계획(EAP, Emergency Action Plan) 수립에 필수 사항인 대피계획을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