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민공유공간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46초

창의학습공간(L-Commons) 모델을 적용한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공간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Design of Makerspace in Public Library Based on L-Commons Model)

  • 오영옥;김혜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93-315
    • /
    • 2019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공간조성의 방향을 위하여 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에 관한 문헌연구 및 국내 25개 공공도서관과 미국 18개 공공도서관에 설치된 메이커스페이스 운영사례를 조사하였으며, 용산도서관과 마포평생학습관에 설치된 창의학습공간(L-Commons)의 이용현황, 공간과 자원 인식, 메이커스페이스 적용 및 발전방향에 대한 사서 심층인터뷰와 이용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공간은 첫째, 지역사회 구성원 누구나 쉽게 진입할 수 있고 지역 내 모든 계층 간의 장벽을 허물고 원활한 소통을 이끌어낼 수 있는 개방공간이어야 하며 둘째, 지역주민들이 어울려 새로운 아이디어로 창작활동을 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는 자원공유와 협력이 가능한 학습 협력 창의공간이어야 하고 셋째, 공통의 관심을 가진 지역주민들이 사교적 또는 협동적으로 만나 공공장소에서 아이디어 공유와 브레인스토밍을 하고, 다른 곳에서는 실행할 수 없는 아이디어를 물리적인 것으로 전환하거나 흥미로운 것에 대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창작작업공간이 되어야 한다.

고령사회 주민공유공간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hared Space for Aging society)

  • 김혜진;이연숙;윤혜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14-219
    • /
    • 2008
  • The aging of the population has been in process all over the world including most of advanced countries. With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and medical technology due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the continuous Increase of the average lifespan has led to an abrupt growth in the population ratio of the aged. The senescence is the period where both physical and mental functions get dwindled, and due to a loss of roles in a society and a weakened social bond, the elderly people feel often neglected and isolated. Consequently, the elderly people spend a lot of time in their houses. As this means that the elderly gets higher possibility to stay within housing units and housing complex environment, residents' public space needs to be developed within the housing complex for them. Therefore, constructive programs and plans are required for the elderly who experience distance constraint because of corporal aging, for them to sustain community activities within their housing environment. Contrary to them in the 20th century, the elderly living in the nowadays informational society tend to enjoy their leisure times with arts and cultures and underscore the significance of social exchange under diverse possibility and sustainableness. Thus, it is important to preserve those circumstances to provide continuously them.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rope a growth direction of residents' public space for the elderly to include them to their community through a socially integrated way by grasping present condition of apartment residents' public space's facilities and to be used practically as a basic housing environment data to raise quality of community life.

  • PDF

주민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주상복합 주거의 공유공간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The Perceptions and Satisfactions of High-Rise Mixed-Use Apartments' Common Space and Family Community)

  • 최재순;곽인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29-38
    • /
    • 2005
  • Housing consumers prefer high-rise mixed-use apartments because of one-stop living style, and high quality of lif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sidents community with the residents who lived in the apartments and the future residents who will live in the apartments to investigate the usage of the public spaces and the influence of the space to form housing culture of residents family community. All data were taken from the response of two hundred forty three questionnaire to be gathered during 20th of June through 24th of August in 2003. Data were analyzed with percentages, means, t-test, and variance analysis using SPSS/PC+. Residents in four high-rise mixed-use apartments feels that the public space in the apartments were mainly provided by their convenience of the construction companies not for the residents. Physical conditions of public space in high-rise mixed-use apartments should be environmentally friendly housing space in which nature and human can be coexisted. It also should be high-tech system housing with which SOHO can be operated. And different custom-made spaces which the residents' needs can be satisfying should be provided. The public space should be recommended to be multi-purposed room because the space will be differentiated with the circumstances of the area, the residents' age differences, and the variety of the family's life style. Moreover, the various programs should be supplied to run the public space efficiently.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의 입주자관리, 공유공간 만족도와 지역공동체의식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Degree on Management for Residents, Common Spaces and Sense of Community in High Rise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

  • 홍형옥;채혜원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2권3호
    • /
    • pp.95-10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 among management for residents, sense of community and common space for residents which provided in high rise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 constructed at the end of 1990s. Research method was social survey with questionnaire from 178 subjects collected by the snow ball sampling.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the SPSS 10 for Windows program using frequency, percentage, t-test, one-way ANOVA. Research results showed high degree of residents' management satisfaction in the area of fitness space and business service. And they also showed high degree of residents' satisfaction in common space which include swimming pool, shower and sauna facilities. Satisfaction degree of management for residents became high with the support of residents' common space, so the management of residents' common space might be important in the management of high rise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 Finally, residents' management and residents' common spaces have an important role to enhance the sense of community.

한국적 집단공동체 주거생활공간에서의 친교적 커뮤니케이션 활동고찰 (A Study on Phatic Communication of Korean Community in Residential Life Space)

  • 김만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2호
    • /
    • pp.69-87
    • /
    • 2010
  • 이 연구는 한국적 공동체 주거공간 커뮤니티에서 주민들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고 강화하는데 목적을 둔 친교적 커뮤니케이션 (phatic communication) 활동에 대한 고찰이다. 친교적 커뮤니케이션은 주거공간에서 각종 행사나 모임 취미 등 활동에 주민들이 참여하여 그들의 취향과 기대, 경험의 공통성을 표현하고 공유하면서 공동체를 하나로 묶는 친교적 활동이다. 이런 친교적 활동에서 이루어진 커뮤니케이션의 연령층과 성별, 커뮤니케이션의 주도권, 커뮤니케이션의 시간과 장소선정, 커뮤니케이션의 담론주제와 만나는 목적, 그리고 친교적 커뮤니케이션 참여정도 등을 살펴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조사방법은 1차적으로 그들의 민속생활상에 한구성원으로 참여하여 참여관찰과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더 객관적으로 증명하기 위해 2차적으로 3개 커뮤니티의 주민들 각 150명을 임의할당표본추출하여 설문지에 의한 조사로 자료의 신뢰성을 높였다. 또한 이질적인 이들의 집단에 대하여 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증($x^2$; chi-square test)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맥락 문화권을 지닌 한국적 집단공동체 주거생활공간에서 커뮤니케이션을 바탕으로 한 주민들간의 의미공유, 상호작용, 메시지전달 등 수단으로 공동체를 하나로 묶어주는 한국적 민속생활방식 (a way of life)을 연구함으로써 문화연구 (cultural studies) 에 큰 발전을 가져올 것이다.

  • PDF

스마트기기 기반 공간정보가 커뮤니티 매핑에 참여한 시민들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mart device-based Spatial Information on the Perception of Citizens Participating in Community Mapping)

  • 문성곤;강정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6-76
    • /
    • 2022
  • 본 연구는 커뮤니티 매핑 과정에 스마트기기로 수집된 공간분석 정보를 제공하고 공유하여 시민들이 자신의 의견을 객관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러한 공간정보의 제공이 시민들의 의사결정과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을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이 지역의 초등학생 보행안전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위험지역 선정을 목표로 커뮤니티 매핑을 진행하였다. 시민들은 자신들의 경험과 인식을 기반으로 1차 위험지도를 작성하고, 드론과 센서 등 스마트기기로 수집된 보행안전시설과 유동인구 공간정보를 공유한 후 2차 위험지도를 작성하였다. 1차, 2차 위험지도를 비교한 결과 많은 구간에서 순위 변동이 발생했으며, 참여주민들이 인식했던 것보다 객관적으로 측정된 유동인구가 많고 안전시설이 미비한 지역의 순위가 상향되었다. 또한, 주민 설문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커뮤니티 매핑과정에서 스마트기기 기반 공간분석 정보의 제공은 시민들의 지역문제 인식에 도움을 주었을 뿐 아니라 본인들이 제출한 의견이 정책에 반영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자들이 직접 만들어 낸 결과물에 대한 신뢰도 향상되어 주민 스스로 자신감과 믿음을 갖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역량 강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민참여 요소 분석 (Exploring Key Facts of Residents' Participation for Local Capacity Building)

  • 이영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61-272
    • /
    • 2009
  • 본 논문은 지역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인 요소 중 하나인 지역사회 활동에의 '참여 요소'를 검토하고자 한다. 지역활동에 참여하지 않던 주민이 어떤 경로를 통해 참여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고, 지속적으로 참여를 하게 되는지를 파악함으로써, 지역역량 강화를 위해서 주민참여의 수준을 높이는 방법을 모색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심층면담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참여를 끌어내고 지속시키기 위한 3가지 핵심 요소를 도출하였다. 첫째, 자신이 한 일에 대한 지역사회로부터의 인정, 즉 사회적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지역사회에서의 작은 참여, 둘째, 자신의 문제를 공유할 수 있다는 신뢰 관계의 구축, 셋째, 개인적인 이해(관심)를 지역 수준의 현안으로 확대시키는 노력이다.

  • PDF

효율적 공원행정업무 지원을 위한 공간정보통합체계기반 KIMS(Pa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구축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Constructing PKIMS based on SDI(Spatial Data Infrastructure) Supporting Efficient Park Administrative Service -Case of Daegu Metropolitan Cty-)

  • 조윤원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7-4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공원이라는 공간 활용에 대한 주민들의 다양한 정보제공 욕구를 만족시키면서 광역적인 공원관리 계획에 대한 행정담당관들의 일관성 있는 업무 추진과 타 업무부서와의 유기적인 정보공유를 위하여 기 구축된 공간정보통합체계를 기반으로 공원정보체계 인프라를 구축하였다. 특히 PKIMS는 공원에 관련된 모든 공간데이터 생성, DB 구축, 활용, 공유에 이르는 전 과정을 대구광역시 공간정보통합체계와 연계하여 운영되도록 개발함으로서 업무의 효율성과 정보의 상호연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국가적 차원의 NSDI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를 구축을 추진하고 있는 현 시점에 공간정보통합체계기반의 성공적인 응용시스템 인프라 구축은 유비쿼터스 지리정보 구현에 있어 좋은 사례가 되리라 사료된다.

  • PDF

저소득층 주거지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공동체 회복 (Community Recovery Consider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hanty Towns)

  • 신행우;김영욱
    • 토지주택연구
    • /
    • 제7권2호
    • /
    • pp.97-102
    • /
    • 2016
  • 급격한 산업화와 개발 시대를 살아오면서 우리가 애써 외면하며 살아왔고, 각 개인에게 책임을 전가해 온 '이웃'의 문제들을 어떻게 할 것인가? 그 안에서 파생되는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들을 어떻게 할 것인가? 현대 도시에서 전통적 개념의 '마을'이 갖고 있는 장점들을 다시 회복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것이 최근 우리의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서울시의 주력 사업 중 하나인 마을공동체사업은 주민 간 네트워크 형성에 목적을 두고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긍정적인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마을 공동체를 회복하려는 노력에서 필요한 것 중 하나가 공간적인 접근을 통한 공동체성의 회복이다. 주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작지만 큰 효과를 가져 올 수도 있다. 가시적 접근성이 높은 공동체 공간은 주민들의 소통과 교류의 공간으로써 큰 효과를 보이는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급격한 사회변화를 거치면서 사라지거나 외면해 온 '소통과 생활공간으로서의 골목길'과 '마을'이 가지고 있었던 공간적 형태, 그 속에서 자신들의 삶을 공유하고 살았던 마을 사람들의 관계망을 제대로 이해하고, 이러한 공간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주거 공간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와 실험 등을 통한 공동체 회복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