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말 농장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5초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주말농장 관리 서비스 구현 (Implementation of Weekend Farm Management Service Using Internet of Things)

  • 유현석;정동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61-864
    • /
    • 2016
  •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농작물 재배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이브리드 앱을 구현하여 사물인터넷 기반의 농작물 관리 시스템 서비스를 제안한다. 사물인터넷 기반 농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있었으나 농작물 생장 환경 모니터링을 통한 에너지 절감, 데이터 수집을 통한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에 그쳤다. 그 결과 주말농장을 이용하는 도시 농부와 농장주들이 가지고 있는 주말농장의 문제점은 해결되지 않았다. 제안 서비스는 도시 농부와 농장주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체계적인 농작물 재배와 원활한 농장관리 서비스를 모바일 기기에서 제공한다. 특히, 농작물 재배에 필수적인 정보와 위치기반 주말농장 검색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관리의 정확성과 편의성을 제공한다.

공공 API를 이용한 농장 분양 및 학습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arm Sale and Learning System using the public API)

  • 박수빈;최용길;박수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33-535
    • /
    • 2015
  • 최근 들어 도시의 변두리 휴경지를 이용하여 가족과 함께 취미로 원예나 정원 가꾸기를 즐기는 여가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다. 자연에서 직접 체험하고 가족의 유대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는 주말농장이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분양 절차가 까다로우며 많은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공공 API를 이용한 농장 분양 및 학습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시스템은 주말농장을 쉽게 분양받고 관리할 수 있도록 분양 중인 농장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쉬운 인터페이스를 통해 농장을 가꾸면서 기록할 수 있는 게시판, 앨범, 일정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더불어 농장체험에 대한 아이들의 관심을 높일 수 있는 놀이 기능을 제공하여 아이들의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 가족들의 주말 농장에 대한 참여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가족 여가 활용을 위한 주말농장 연계형 스마트TV 콘텐츠 제안 (Weekend Farm-linked Smart TV Content for Family Leisure Activity)

  • 허선주;최종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86-94
    • /
    • 2012
  • 주5일제의 도입으로 가족이 함께할 수 있는 여가시간이 대폭 늘어났으나, 정작 가족을 위한 여가수단은 마땅히 제시되지 않아 여가의 공급과 수요가 불균형을 이루게 되었다. 지금까지 가족 매체로서의 역할을 공고히 해왔던 TV는, 스마트 TV의 등장으로 새로운 TV 인터랙션의 가능성을 제시하며 다시금 각광받고 있다. 이에 스마트TV를 활용하여 주말 가족 여가를 건강하게 보내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오프라인 연계 가족형 농장관리 콘텐츠 '우리농장(Our Farm)'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와 선행 개발된 가족형 게임을 분석하였으며, 일가족을 대상으로 한 FGI를 통해 연구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 결과에 따라 화면 UI를 제안하는 단계까지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신도시 내 도시농업 도입에 대한 거주자 지불의사금액 추정: 분당, 동탄신도시를 중심으로 (An Estimation of Residents' Willingness-to-pay for Urban Farming in the New Development Areas: Focused on Bundang and Dongtan)

  • 임주호;이경환;윤인숙;윤은주
    • 토지주택연구
    • /
    • 제3권4호
    • /
    • pp.315-322
    • /
    • 2012
  • 최근 도시민의 먹거리와 관련한 환경.안전문제, 고령화로 인한 사회복지정책의 효율성 문제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시농업의 다양한 기능이 재조명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원이나 녹지, 도시농업농장 등 공공용지의 일부를 활용하여 도시텃밭을 임대하는 방안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신도시 주민들의 지불의사금액을 추정하였다. 분당과 동탄 신도시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도시농업 도입에 대한 주민들의 지불의사와 희망 이용행태를 조사하고, 도시 내 텃밭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을 추정하여 실제 도시근교의 주말농장 이용자들이 지불하고 있는 텃밭임대비용 및 교통비용과 비교하였다. 신도시 내 도시농업 도입에 대한 거주자 지불의사를 1.5양분선택형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하여 추정하고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도시 주민들을 대상으로 도시농업 이용의사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2.6%가 도시공원 또는 녹지의 일부를 도시농장으로 조성하여 임대할 경우 이용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신시가지의 거주자들에게 도시텃밭에 대한 충분한 수요가 잠재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향후 개발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도시농업 도입의 필요성을 뒷받침한다. 둘째, 도시텃밭 임대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을 추정한 결과 1구좌($16.5m^2$ 기준)당 연간 약 23만 6천원 정도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수도권의 도시근교나 외곽에 위치한 주말농장의 텃밭임대료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개발사업지구 내 도시텃밭이 조성될 경우 주민들의 지불의사금액이 기존 주말농장의 임대료 수준보다 높음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설명 변수 중에서 성별과 나이, 직업이 도시농업 지불의사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다른 사회경제적 특성 변수와 도시농장 방문가능횟수, 도시농장 방문시 희망체류시간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복수 거주의 개념에서 살펴본 체재형 주말농장 클라인가르텐의 실태와 과제 (A Study on the Situation of Weekend Farm, Kleingarten,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habitation)

  • 손혜미;최정민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17-221
    • /
    • 2009
  • With the increase in individual income and leisure time, those urban residents who want to stay in farmland on weekend are being increased. On the contrary, rural economic situation is getting worse due to the lack of labor and income. For this, as a win-win strategy between urban and rural life, a Kleingarten(below 'KG') has been attracted by local government such as Kyunggi prefecture in Korea. This article exam the situation of KG, a weekend farm where one can stay the night in a log cabin,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habit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rveyed four KG areas; two cases at Yangpyung and Yeonchoen in Korea, the rest are at Kasama and Yachiyo in Japan. The findings are as following. First, a standard regulation for the application and management of users in KG should be established as soon as possible. Second, the exchange between users in KG and local residents around KG should be activated in terms of well organized exchange program. Third, a sufficient budget by public sectors or an economic scheme where private sectors can participate in this program should be arranged. Lastly, a use of post occupancy should be well managed by user themselves in KG and well monitored by supervisor of KG simultaneous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