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말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4초

서울 지역 여자고등학생의 주중과 주말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에 관한 연구 (The Food and Nutrient Intakes on weekdays and weekends Among High School Girls in Seoul)

  • 박소현;이정숙;홍희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5호
    • /
    • pp.513-523
    • /
    • 2010
  • 본 연구는 서울지역의 여자고등학생 196명을 대상으로 주중과 주말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실태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끼니별 결식률은 아침 결식률이 가장 높았으며 주중과 주말 결식률을 비교해 보면 아침과 점심의 결식률이 주중에 비하여 주말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저녁 결식률은 주중이 주말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2) 1일 평균 식품섭취량은 총 식품이 1,327.6 g, 식물성식품 800.5 g, 동물성 식품 425.8 g 이었으며, 총 식품섭취량과 식물성 식품섭취량은 주말에 비해 주중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외 감자류, 두류, 채소류, 버섯류, 해조류, 어패류, 유지류 및 양념류의 섭취량 역시 주말에 비해 주중에 유의적으로 높게 섭취하였으나, 과일류와 음료섭취는 주중보다는 주말에 유의적으로 높았다. 3) 1일 총 식품섭취가짓수는 하루 평균 20.5 가지를 섭취하였고, 주중에 23.3 가지, 주말에 15.1 가지로 주말에 비해 주중에 식품섭취가짓수가 유의적으로 많았다. 다소비식품은 쌀, 우유, 돼지고기, 배추김치, 닭고기 순으로 조사되었고, 상위 2위까지는 주중과 주말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주중에 비해 주말에 피자, 콜라, 라면과 같은 인스턴트식품이나 패스트푸드가 상위 10위 내 포함되었다. 4) 영양소섭취량은 1일 평균 에너지가 2,244.9 kcal, 단백질 89.0 g, 지방 72.6 g, 탄수화물 311.2 g을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방은 주중보다 주말에 유의적으로 높게 섭취하였고, 탄수화물, 섬유소, 인, 철, 나트륨, 칼륨, 비타민 A, 나이아신, 엽산 및 비타민 C 섭취는 주말에 비해 주중에 유의적으로 높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섭취량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섭취비는 1일 평균 55.4% : 15.8% : 28.8% 이였고, 주중은 56.8% : 15.8% : 27.4%, 주말은 53.6% : 15.8% : 30.7% 이였다. 주중과 주말 모두 탄수화물에 대한 섭취비는 60% 이하 수준이었고, 지방은 27% 이상의 높은 수준이었으며, 탄수화물은 주중에, 지방은 주말에 유의적으로 높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 따른 섭취비율을 보면 에너지는 1일 평균, 주중 및 주말 모두 필요추정량의 82~89%를 섭취하였으며, 식이섬유, 칼슘, 칼륨, 비타민 C, 리보플라빈 및 엽산의 섭취량은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중 권장섭취량 및 적정섭취량의 75% 이하 수준이었다. 주말보다는 주중의 섭취비가 다소 높았으며, 식이섬유, 인, 철, 칼륨, 아연, 비타민 A, 비타민 C, 나이아신 및 엽산은 주말에 비해 주중의 섭취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6) 식사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MAR을 보면 1일 평균 0.77이었고, 주중 0.84 주말 0.70으로 주중에 비해 주말에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서울지역 여자 고등학생은 주중에 비해 주말에 불규칙적인 식생활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생활의 규칙성을 평가할 수 있는 결식률도 주중보다는 주말이 더 높았고, 식사의 다양성을 평가할 수 있는 식품섭취가짓수는 주말보다 주중이 더 많아 주중과 주말의 식행동에 많은 차이가 있었다. 또한 식사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MAR 역시 주말에는 0.70로 주중의 0.84에 비해 낮은 수준이어서 영양소섭취상태가 주중보다는 주말에 문제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이섬유, 칼슘, 칼륨, 비타민 C, 리보플라빈, 엽산의 섭취 부족을 초래하여 급속한 성장이 이루어지는 청소년기에 성장의 불균형과 체력저하를 초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청소년의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올바른 식습관 형성 및 균형 잡힌 영양소섭취의 중요성에 대한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서울시 주말 통행특성 분석 연구 (Analysing Weekend Travel Characteristics in Seoul)

  • 추상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92-101
    • /
    • 2012
  • 최근 소득의 증가와 주5일제 근무확대로 인해 주말의 통행행태 및 수요가 크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주말통행은 평일통행과는 달리 주로 쇼핑, 여가, 레저 등과 연관되어 있어 주로 금요일 오후부터 일요일까지 주요 고속도로나 간선도로의 교통혼잡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말통행수요예측이나 교통정책수립측면에서 주말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필수적일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06년에 수행한 서울시 가구통행실태조사자료 중 동일가구에 실시한 평일 및 주말 통행조사자료를 이용하여 평일과 비교분석을 통해 주말통행의 특성을 분석 하였다. 또한 토빗모형을 개발하여 평일과 주말(토요일과 일요일)의 통행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모형추정결과, 평일과 주말통행에 미치는 요인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주로 성별, 직업, 소득, 미취학아동수, 자가용보유 여부 등의 변수가 주말통행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계절별 요일별 교통패턴 변동을 반영한 연통행시간 편익산출 (Calculating Social Benefit in Travel Time Considering Seasonal and Daily Variation in Traffic Pattern)

  • 한근수;백승걸;김익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17-23
    • /
    • 2004
  • 교통정책을 평가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Data 중 가장 근본이 되는 것이 OD이다. 기존의 교통정책을 평가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OD는 AADT(Annual Average Daily Traffic) OD이다. 계절별 평일/주말 교통량의 분산이 매우 크다는 것은 기존 조사나 연구로 익히 알려진 사실이며, 또한 사회 경제적인 여건의 변화 및 주 5일제 근무제의 시행 등으로 여가통행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평일과 주말의 교통량의 분산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교통정책을 평가하는 방법도 AADT OD의 일률적인 적용이 아닌 교통량의 계절별 평일/주말의 분산을 적용시킨 OD를 가지고 교통정책을 평가하는 방법이 교통정책을 결정함에 있어 오류를 범할 가능성을 적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연구에서는 이러한 교통량의 분산의 보정을 지점교통량에 한정하여 보정하고 있어 실질적인 네트워크 분석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측된 TCS Data를 이용하여 계절별 평일/주말의 OD 교통 패턴을 분석하여 계절별 평일/주말의 OD 교통패턴을 반영할 수 있는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보정계수에 따라 AADT OD를 보정하여 네트워크 분석의 기초 자료를 구축하였다. 수정된 OD 교통량의 검증을 위하여 기존의 AADT OD의 인구당 통행발생비율과 계절별 평일/주말 OD의 통행발생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소수점 두 자리수에서 오차가 발생하여 비교적 합리적인 OD가 추정되었다. 또한 기존의 AADT OD를 이용하여 정책 결정을 할 때의 오류 가능성을 보이기 위하여 각 계절별 평일/주말 OD 교통량과 기존의 AADT OD를 입력 자료로 각각의 네트워크 분석 후 총통행시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정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구지역 주중과 주말의 대기오염물질 농도 분포

  • 성미애;박명희;구현숙;김해동;최혁;이찬형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126-128
    • /
    • 2006
  • 대구 보건환경연구원의 대기오염측정망 관측자료를 통해 주중과 주말의 대기오염물질 농도 분포에 관해 살펴보았다. NO$_2$와 PM10의 농도가 평일에 비하여 주말에 감소하는 경향으로 보이는 것은 주말보다 평일에 출퇴근 등의 차량 통행이 많은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반대로 O$_3$이 평일에 비하여 주말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것은 감소하는 NO$_2$의 농도와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O$_3$의 농도가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세계증권시장에서 주중 요일별 수익률 효과 분석의 연구 : 결제청산과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ay of Week Effect in International Stock Markets : Focusing on the Settlement and Clearing Procedure)

  • 김경원
    • 재무관리연구
    • /
    • 제20권2호
    • /
    • pp.201-234
    • /
    • 2003
  • 본고에서는 세계시장 중에서 주요 7 국가의 시장을 대상으로 시장의 이례현상의 하나인 주말 효과와 주중 일별수익률에 대한 연구를 결제청산과정으로 접근 분석하였다. 결제청산과정은 특정한 날의 일별수익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또한 시장마다 서로 다른 결제청산체계는 세계 각 시장에서 특정한 날의 일별수익률에 서로 다르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결산청산체계 자체가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여러 주요시장에서 변화가 일어났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세계 각 국가시장에서 주식의 결제청산과정체계의 변화 및 전환에 따라 주말효과 및 주중 일별수익률의 변화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또한 주말효과와 같은 시장효율성의 이례 현상에 대한 최근 연구에서 그전과 다른 기류에 대한 연구결과가 보고되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그전의 자료와 최근의 10여 년간의 자료를 나누어 세계 각 주요시장의 주말효과에 대한 연구를 재검토 할 필요가 있었다. 본고에서 분석한 결과 1990년대 이전에는 각 시장마다 주말효과가 강하지만 최근 10여 년 동안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주말효과가 나타난 국가의 시장은 거의 없었다. 그리고 본고에서 결제청산과정체계의 변화 및 전환이 주말효과 및 주중 일별수익률의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결제청산과정의 종류나 또는 각 시장 상황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적으로 결제청산과정의 변화가 특정한 날의 일별 수익률 패턴에 영향을 미치고 또한 주말효과의 수준의 변화의 일부분은 이러한 결제청산과정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었다.

  • PDF

충남지역 일부 고등학생의 수면 시간과 질, 생활시간 사용 및 식사의 질과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sleep quality, time use and dietary quality of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nam)

  • 신지은;최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6호
    • /
    • pp.656-669
    • /
    • 2022
  • 본 연구는 충남지역 남녀 고등학생 423명을 대상으로 수면의 시간 및 질, 생활시간 사용, 청소년 영양지수를 조사한 후 주중과 주말의 수면 시간에 따른 생활시간의 주된 활동과 식습관 및 영양상태를 비교 평가하고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남학생 112명, 여학 생 311명이었으며, 체질량지수는 남학생이 23.2 kg/m2으로 여학생의 21.6 kg/m2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수면 시간은 주중의 경우 남학생이 6.6시간으로 여학생의 5.8시간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p < 0.001), 주말의 경우에는 남녀학생 모두 8.9시간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높은 수면의 질 15점에서 낮은 수면의 질 75점으로 평가한 수면의 질 점수는 전체 학생에서 주중 26.7점, 주말 28.5점이었으며 남녀학생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주중은 6시간, 주말은 8시간을 기준으로 이분하여 비교했을 때, 생활시간 사용은 남학생의 경우 짧은 수면군의 주중 스크린 시간과 주말 총 학습 시간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p < 0.05), 여학생의 경우 짧은 수면군의 주중과 주말 모든 유형의 학습 시간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5). 영양지수 점수는 여학생에서 주중 긴 수면군의 총 점수와 실천 영역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p < 0.05, p < 0.05), 주말 짧은 수면군의 균형 영역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5). 조사대상자의 일반특성을 보정하여 수면 시간과 수면의 질 점수, 생활시간 사용, 청소년 영양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했을 때, 남학생의 경우 주중 수면 시간, 주말 수면의 질 점수, 주말 스크린 시간이 영양지수 총 점수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p < 0.05). 여학생의 경우에는 주중 수면의 질 점수, 주말 수면의 질 점수, 주중 스크린 시간, 주말 스크린 시간, 주말 운동 시간이 영양 지수 총 점수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p < 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전체 고등학생에서 수면의 질이 낮을수록, 스크린 시간이 길수록 영양지수 점수가 낮았다. 남학생의 경우 주중 수면 시간이 길수록, 여학생의 경우에는 주말 운동 시간이 길수록 영양지수 점수가 높아 수면 시간과 질, 생활시간 사용은 식사의 질과의 관련성이 있었다.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주말농장 관리 서비스 구현 (Implementation of Weekend Farm Management Service Using Internet of Things)

  • 유현석;정동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61-864
    • /
    • 2016
  •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농작물 재배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이브리드 앱을 구현하여 사물인터넷 기반의 농작물 관리 시스템 서비스를 제안한다. 사물인터넷 기반 농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있었으나 농작물 생장 환경 모니터링을 통한 에너지 절감, 데이터 수집을 통한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에 그쳤다. 그 결과 주말농장을 이용하는 도시 농부와 농장주들이 가지고 있는 주말농장의 문제점은 해결되지 않았다. 제안 서비스는 도시 농부와 농장주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체계적인 농작물 재배와 원활한 농장관리 서비스를 모바일 기기에서 제공한다. 특히, 농작물 재배에 필수적인 정보와 위치기반 주말농장 검색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관리의 정확성과 편의성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