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관적 생활수준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7초

부산시 노인의 정신건강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ntal Health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in Busan)

  • 김미진;송갑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269-27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 연구에 활용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2016년 지역사회건강조사에서 만 65세 이상 노인 345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적 통계,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test 및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 우울, 스트레스, 교육수준, 기초생활수급, 수면시간, BMI, 결혼상태, 고혈압이었고 건강관련 삶의 질을 28.8%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틀니 보험적용에 따른 지역간 차이와 이용 영향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Interregional Actual State and Influential Factors after the Application of Denture Insurance)

  • 박일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401-409
    • /
    • 2018
  • 본 연구는 서울 및 강원지역 만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틀니 건강보험 급여화에 따른 지역간의 차이와 틀니이용실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다. 자료는 '2015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서울지역 노인과 강원지역 노인의 틀니이용행태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성별에 따른 틀니이용행태는 강원지역 노인에게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 가구소득, 기초생활수습여부, 직업, 교육수준, 주관적 구강건강에 따라 서울지역과 강원지역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치과진료미수진 경험여부에 서울지역 노인의 16.6%, 강원지역 노인의 22.3%가 예라고 응답하였으며, 필요치과진료 미수진 사유로는 서울지역과 강원지역 모두 경제적인 이유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다각적 측면을 고려하여 노인틀니 건강보험 급여화 사업이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과 대책이 필요하다.

시각장애인의 일반적 특성과 구강보건행태가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ral Public Health Behaviors of the Visually Impaired on the Oral Health Condition)

  • 이숙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337-345
    • /
    • 2014
  • 특수감각의 하나인 시각에 장애가 생겨 보는 것에 대한 많은 제약을 받는 시각장애인은 집안에서의 아주작은 행동에서부터 사회생활을 위한 외부 활동에 이르기까지 적지 않은 어려움을 가진다. 최근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건강을 지키기 위한 여러 행동들에서도 시각 부분의 장애는 많은 문제를 초래한다. 이에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구강보건행태를 빈도분석 하였으며, 구강보건 형태와 구강 건강상태를 t-test와 F-test 분석을 통해 평균비교를 하였고, 검정결과 집단 간 유의한 차이에 대해 Duncan으로 사후검정을 하였다. 일반적인 특성과 구강보건행태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Spearman의 상관분석을 하였으며,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SPSS20.0 for Windows, SPSS Inc, USA)를 이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 판정을 위한 유의수준은 0.05로 고려하였다. 누구보다도 건강을 지키기 위한 행동들이 정확하게 인지되어야 하는 그룹이므로 그들의 구강에 대한 실태와 행태를 알아보고 그러한 행위에 의한 구강상태를 분석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알맞은 정보전달 매체 등을 만드는 것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수면의 질 영향 요인: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비교 (Factors Relating Quality of Sleep: Comparison between Young-old People and Old-old People)

  • 서영미;김정숙;제남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332-341
    • /
    • 2019
  • 본 연구는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수면의 질을 조사하고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편의표출법을 적용하여 G도에 거주하는 재가 노인을 대상자로 200명을 선정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사회 인구학적 특성, 생활습관 및 건강관련 특성, 우울, 그리고 수면의 질을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WIN/21.0을 이용하여 ${\chi}^2-test$, t-test, ANOVA(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수면의 질은 전기노인에 비해 후기노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빴다.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기노인에서는 우울(r=-.22, p=.038)만이 수면의 질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후기노인에서는 우울(r=-.19, p=.045)과 주관적 건강상태(r=-.29, p=.002)가 수면의 질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전기노인에서는 직업, 만성질병 그리고 경제수준으로 나타났고, 후기노인에서는 만성질병, 주관적 건강상태 그리고 흡연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노인의 수면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령별 맞춤형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농촌 조손가정의 양육, 건강 및 영양중재서비스의 효과 (The effect of rearing, health and nutrition intervention services on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in a rural Korean area)

  • 조유향;박윤창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5권3호
    • /
    • pp.274-286
    • /
    • 2010
  • 본 연구는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된 지역개발형 사업으로 중재서비스를 제공하는 작전연구의 일환으로 조손가정의 양육, 건강 및 영양중재서비스 효과를 분석한 분석적 연구이다. 연구대상자와 연구기간은 서비스제공집단과 비제공집단 간의 비교는 2008년 1월 현재 양육과 건강중재서비스 효과를 보았으며, 서비스제공집 단만의 조사는 2009년 1월에는 건강중재서비스의 효과를, 7월에는 영양중재서비스효과를 보았다. 조손가정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서비스제공집단과 비제공집단 간에 동질성이 확인되었으며, 조부모는 조모가 많은 편으로 평균 연령은 68.3세-70.1세이었고, 생활수준은 못 사는 편에 속하는 가정이 전체의 2/3 정도로 경제적 어려움을 보여주었으며, 교육수준은 "무학"이 가장 많았고, 배우자가 있는 조부모는 과반수이상이었다.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는 서비스 제공집단과 비제공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아동이 지각한 조부모의 양육태도는 서비스를 받은 아이들의 우울수준이 현격하게 낮았다(t=2.90, df=116, p<.01). 부모영역의 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1.85, df=116, p<.10), 학업영역에서는 현격한 차이를 보여 중재서비스의 효과(t=3.98, df=116, p<.001)가 검증되었다. 조부모의 건강상태에 대한 서비스제공집단과 비제공집단간에는 우울, 급성질환이환율, 수단적 일상생활수행 능력, 인지기능 및 운동실천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중재서비스의 효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서비스제공집단만의 1년 후의 효과에서는 중재서비스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상태는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중재서비스는 총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는 없었으나, 하부영역인 주관적 영양 평가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정되었다(t=18.230, p<.0001). 결론적으로 조손가정의 양육, 건강과 영양중재서비스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조손 가정을 위한 중재서비스가 정책적으로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제조업 남성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Fatigue Symptoms among Manufacturing Male Workers)

  • 이후연;백종태;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543-55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제조업 남성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피로수준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50인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남성 근로자를 553명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5년 4월에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와 한국판 다차원피로척도를 사용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피로증상은 직무스트레스가 정상인 군보다 고위험 스트레스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피로증상은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직무스트레스가 정상인 군에 비해 고위험 스트레스 군에서 고위험 피로군에 속할 위험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피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및 주관적 건강상태. 수면시간, 커피음용 횟수, 외래진료경험 유무, 직장생활 만족도 및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27.7%이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소규모 제조업 남성 근로자들의 피로수준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및 직업관련 특성뿐만 아니라 직무스트레스 요인과도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남녀의 시간압박인식 차이와 관련요인 탐색 (Who is the Busiest in Korea? A Study on Gender Difference in Time Pressure)

  • 차승은
    • 한국인구학
    • /
    • 제33권1호
    • /
    • pp.27-49
    • /
    • 2010
  • 이 연구는 시간압박의 개념을 중심으로 남녀에 따라 지각하는 시간압박수준이 어떻게 차이가 나고, 시간압박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들에서의 성차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료는 2004년 생활시간자료를 활용하였다. 일하는 연령에 해당하는 25-54세의 기혼의 대상자들만을 선별하여 살펴본 분석결과, 첫째, 평균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시간압박을 더 많이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여부와 성의 조합형태로 살펴본 교차분석 결과에서는 취업남녀가 유사한 시간압박 수준을 나타내는 가운데 비취업여성, 비취업남성 순으로 시간압박을 지각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시간압박을 종속으로 하는 순서화 로짓분석결과, 시간압박과 관련 있게 나타난 특성의 구성에서 남녀에 따른 차이점과 공통점이 함께 발견되었다. 남성의 경우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직업특성과 관련된 특성 및 시간활용이 그들의 시간압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에는 시간압박과의 관련요인들이 남성의 경우와 비교해 볼 때 더 다양하였다. 교육수준, 소득, 직종, 근무형태, 요일, 자녀연령을 비롯하여, 임금노동시간, 이동시간, 여가시간을 비롯하여, 돌봄노동시간, 가사노동시간 그리고 전화통화시간까지도 시간부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질환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보건 행태 요인 (Health Behavioral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 김선미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05-31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질환자들의 일반적 특성, 생활 행태 및 질환 특성 등의 보건행태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9~2020년에 진행된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7,359명 중, 만 19세 이상 만성질환자로서 기본 조사 항목들에 결측치가 없는 1,980명에 대한 보건행태요인과 우울 간의 카이제곱 검정 분석을 수행한 후, 유의적이었던 요인들을 독립변수로 이분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우울이 1.49배(CI: 1.086~2.044) 높았고 비흡연자보다는 흡연자에서 1.828 높았으며(CI: 1.285~2.561),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에 대한 영향력이 감소하였다. 특히 '스트레스가 없음' 대비 '대단히 많음'에서 교차비가 28.034(CI: 13.132~59.849)로서 스트레스를 느끼는 강도가 높은 경우 우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다음으로 주관적인 건강 인지와 수면시간의 영향력이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자 집단에서 우울을 개선하기 위해 실천해야 할 중요한 생활습관 및 보건행태요인의 우선순위를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리고 동반 이환의 수는 우울 발생에 유의적이지 않았기 때문에, 향후 만성질환 종류별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파악하고 환자별 맞춤형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노인의 요통과 우울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Low Back Pain and Depression Among Some Elderly)

  • 윤성우;오경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599-1605
    • /
    • 2014
  • 본 연구는 지역노인을 대상으로 요통과 우울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시행되었다. 2008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에서 65세 이상 노인 3,649명 중 응답이 불충분한 2명을 제외한 3647명을 최종 대상으로 선정하여, 자료는 SPSS Win(ver.19.0)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적용하여 복합표본 분석방법 중 Rao-Scott ${\chi}^2$-test,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p<0.05로 하여 분석하였다. 노인의 우울에 대한 관련요인으로 요통, 주관적 건강수준, 평균수면시간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요통이 없는 군에 비해 있는 군에서 우울이 1.38배 높게 나타났다. 요통이 있는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감소시키는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요통이 있는 노인의 우울과 관련하여 본 연구보다 더욱 다양한 변수를 적용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상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닭 도체 부위 분할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Chicken Carcass Segmentation Algorithm using Image Processing System)

  • 조성호;이효재;황정호;최선;이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446-452
    • /
    • 2021
  • 우리나라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식품소비의 양적인 요구가 충족되면서, 세분화된 식품의 기호 성향을 충족시킬 수 있는 닭고기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2003년 3월 축산물 품질평가원에서 고시(농림부 고시 제2003-14호)한 닭 도체 품질판정세부기준은 닭 도체 부위별 이물질 부착, 피·멍의 크기 및 중량에 따라 품질 등급을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검사관 개개인의 주관적인 평가 기준으로 적용된 고시로 수천 마리의 닭 도체 등급판정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닭 도체 품질 세부기준에 따라 닭 도체 부위 분할하기 위해 비접촉/비파괴방식인 컴퓨터 시각 기술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실시간으로 빠르게 움직이는 닭 도체를 부위 분할하기 위하여 조명 외란에 강인하도록 보정하는 과정과 닭 도체와 배경을 구분하기 위한 EM(Expectation maximization), Erosion 및 Labeling 알고리즘, 그리고 닭 도체의 기하학적 형태를 분석하여 부위별 특징점을 찾고 점들의 위치를 계산하여 부위를 분할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총 78마리의 닭 도체 샘플에 대하여 제안한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 닭 도체 부위 분할 알고리즘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