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관적 노후격차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주관적 연령격차와 주관적 노후격차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별과 연령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ubjective Differences in Age and Self-Perceptions of Aging on Depression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and Age Groups)

  • 남석인;김성희;김수연;허수임
    • 노인복지연구
    • /
    • 제73권4호
    • /
    • pp.181-216
    • /
    • 2018
  • 본 연구는 노년기 주관적 연령격차(주관적 연령과 역연령의 차이값)와 주관적 노후격차(역연령과 주관적 노인시작연령의 차이값)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성별과 연령대(연소노인, 고령노인, 초고령노인)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조사는 서울시 및 경기도 일대의 노인종합복지관과 데이케어센터를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 547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주관적 연령격차와 주관적 노후격차 값이 클수록 우울이 높게 나타났으며, 주관적 연령격차와 우울의 관계에는 연령대가, 주관적 노후격차와 우울의 관계에는 성별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소노인의 경우 역연령보다 주관적 연령이 높은경우 우울수준이 급속도로 높아진 반면 초고령노인의 우울수준은 낮아졌으며, 남성이 여성에 비해 자신이 노후라고 생각하는 정도가 클수록 우울수준이 높아졌다. 본 연구는 노년기삶에 역연령만이 아닌 주관적 인식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개입방안과 노년기 나이듦과 노후인식에 대한 사회적 담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GIS를 이용한 노후건축물 DB구축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ng Database and Its Utilization Direction of Old Building using GIS)

  • 김흥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72-181
    • /
    • 2008
  • 건축물의 수명은 생명체처럼 유한적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철거와 신축을 반복한다. 그러나 수명에 대한 물리적 기준이 주관적이며 추상적이기 때문에 국가의 정책결정에 좌우되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건축물의 노후정도에 관한 명확한 자료를 구축 후 그에 따른 의사결정 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의 14개구 214개의 행정동을 대상으로 노후건축물 의 DB구축하고 그에 따른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개선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정보격차 완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둘째, 부산광역시의 노후 불량건축물의 세부적인 내용과 산출결과를 제시하여 조례제정을 위한 자료를 마련하였다.

  • PDF

주관적 기대가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자산축적에 미치는 효과 (Retirement-related Subjective Expectations and the Capital Accumulation of the Korean Baby-boom Generation)

  • 이윤수;우석진
    • 한국노년학
    • /
    • 제31권4호
    • /
    • pp.855-87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미래 사건에 대한 주관적 기대가 자산축적에 미친 효과를 분위회귀분석(quantile regression)을 통해 살펴보았다. 한국고령화패널 1, 2차년도(2006, 2008년) 자료를 이용하여 자산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학력, 성별, 자녀수는 어떤 분위에서도 유의한 결정요인이었다. 특히, 학력과 자녀수는 상위 분위로 갈수록 총자산의 격차를 확대시키는 방향으로 증가하였다. 미래 사건에 대한 주관적 기대의 경우, 증여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좀 더 긴 수명을 기대할수록, 베이비붐 세대는 좀 더 많은 자산축적을 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노후 생활에 대한 국가의 보장 정도가 개인의 자산축적을 구축하는 정도는 총자산 하위 분위 보다는 상위 분위에서 증가하였으며, 상위 분위의 효과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