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관적 건강평가

Search Result 20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e Influences of Economic, Social Factors on the Subjective Health Assessment for Baby Boomer Generation Workers -the Moderating Effect of Private Health Insurance- (베이비부머세대 근로자의 경제, 사회요인이 주관적 건강평가에 미치는 영향 -민간의료보험가입 조절효과-)

  • Heo, Won-G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9
    • /
    • pp.257-272
    • /
    • 2015
  • This study is to verify how the economic, social and moderating effect factors of baby boomer generation workers' affect the subjective health evaluation. The subjective of this study was 1,202 workers of baby boomer generation by using the 4th data of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from Korea Labor Institute in 2012. Economic and social factors were selected as scales to analyze if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subjective health evaluation. Method of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verify whether the private health insurance has control effect over the relation between the subjective health evaluation and the economic & social factor. As a result of the study, age, education, home ownership, peer group meeting, overall satisfaction, private health insurance wer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ive health evaluation of baby boomer generation. Moreover private health care were turned out to have a moderation effect in relation between economic, social factor and subjective health evaluation.

Analyzing longitudinal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activity on adolescent self-rated health evaluation changes using hierarchical linear and nonlinear models (위계적 선형, 비선형 모형을 적용한 청소년기 주관적 건강평가 변화에 대한 체육시간활동에 종단적 영향 분석)

  • Kim, Sae Hyu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7 no.4
    • /
    • pp.1013-102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longitudinal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activity (PEA) score on self-rated health evaluation change (SHEC). This study used hierarchical linear and nonlinear models to investigate of the SHEC during the transition into adolescence (from middle school 1st to high school 2nd grade). Using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A), data were collected over the course of five years (from 2010 and 2014). HLM 6.8 computer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boys' SHEC increased across the five years, and girls' SHEC decreased across the five years. Second, boys' the self-rated health was increased across the three years and decreased across the two years. Third, girls' the self-rated health was increased across the two years and decreased across the three years. Fourth, the PEA score of 1st grade of high school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with the boys' SHEC. Fifth, the PEA score of 1st grade of middle school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 with the girls' SHEC.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Self-Rated Health among Korean Elderly: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노인의 주관적 건강평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 Yeom, Jihye;Park, Jun-Sik;Kim, Dong-Hyun
    • 한국노년학
    • /
    • v.32 no.4
    • /
    • pp.1101-111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factors determine self-rated health(SRH) among Korean elderly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To achieve this purpose, it uses the Hallym Longitudinal Study of Aging, wave 4 in 2009. Participants aged 65 and over from wave 4 were selected(N=986, male 407, female 579). From wave 4, all variables were selected except for respondents' education which was from wave1. In analyses, $x^2$ or t-test were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independent variables significantly differ by SRH. Then, since a dependent variable consisted of two categories-being healthy or not being healthy, logistic regressions were run. What makes gender differences in the link of independent variables to SRH were 75-84 age group, education, and IADLs. For females, 75-84 age group rated their health as worse compared to 65-74 age group, but this age group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SRH for males. Females graduating from junior high school were more likely to higher rate their health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However, education was not significant for males.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s) is one of variables affecting SRH by making gender differences. Female having problems with IADLs were more likely to be significantly negatively rate their health compared to males. Through focusing on age, education, IADLs making gender difference in evaluating health, governments needs to support males and females differently.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Or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Korea Older Population (한국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평가와 삶의 질 관련성 연구)

  • Hong, Seung-yo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4
    • /
    • pp.129-137
    • /
    • 201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elf-rated oral health, self-rated health, and quality of life (QOL) among older population from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2016). Data of 1,866 older adults (Mean age 69.5 years) were analyzed with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ith IBM SPSS 23.0. Over 87.7% of the subjects rated their oral health as fair or poor. Women and less educated participants more likely to report their perceived oral health as poor (p<.05). Older participants who rated their general health positively were more likely to rate their oral health as good (F=19.04, p<.001). Elders who had bad perceived health (OR: 2.86, 95% CI: 1.5~5.5), had carries in permanent teeth (OR: 2.68, 95% CI: 1.67~4.32) and anxiety or depression (OR: 1.45, 95% CI: 1.42~2.57) had negative oral health perception after controlling for covariates. In conclusion, perceived oral health and QOL were associated with each other in Korean older adult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approach holistic strategy for improve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opulation.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s of Health Status types : Using 2008 KNHANES (건강상태 인식유형에 따른 건강행동과의 관련)

  • Ahn, Hye-Lan;Lee, Moo-Sik;Na, Baeg-Ju;Lee, Jin-Yong;Hong, Jee-Young;Choi, Young-Hy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736-739
    • /
    • 2011
  • 이 연구는 스스로 건강상태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건강상태 인식 유형에 따른 건강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 건강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건강한 노후를 맞이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2008년 1월부터 12월까지 실시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차년도(2008) 자료원을 사용하였으며, 200개 조사구 약 4600가구의 만1세 이상 9,744명중 만19세 미만을 제외하고 건강설문 및 검진조사에 참여한 4,688 명을 최종대상자로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성별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상태 인식 유형별 분포,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객관적 건강상태와 일반적특성 및 건강행동을 교차분석관적 시에 카이제곱검정을 하였으며, 단변량 분석에서 의미 있는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하고 올바른 인식군과 그릇된 인식군으로 나눈 건강상태인식유형을 종속변수로 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실제 객관적인 건강상태를 살펴본 결과, 건강상태를 과대평가하는 사람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건강상태를 올바르게 인식하는 사람보다 그릇되게 인식하는 사람이 더 많았다. 2. 주관적 건강상태를 좋음으로 인식하는 군에서 객관적 건강상태는 여자보다 남자가 건강을 과대평가하였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읍/면지역에서, 결혼상태는 별거 사별 이혼상태에서, 교육수준은 낮아질수록 건강을 그릇되게 인식하여 과대평가하였다. 3. 주관적 건강상태를 나쁨으로 인식하는 군에서 객관적 건강상태는 연령이 낮아질수록 건강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었고, 읍/면지역보다 동지역에서, 미혼일 경우, 교육수준은 높아질수록 건강상태를 그릇되게 인식하여 과소평가하였다. 4. 건강상태 인식 유형별로 건강행동을 살펴본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를 좋음으로 인식하는 군에서는 체중조절, 월간음주, 우울증상경험, 건강검진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고, 주관적 건강상태를 나쁨으로 인식하는 군에서는 현재흡연과 월간음주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5. 주관적 건강상태를 좋음으로 인식한 군에서 객관적 건강상태를 종속변수로한 로지스틱회귀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건강을 과대평가하는 그릇된 인식군으로 될 위험도가 남자보다 여자에서 감소하였고, 70대에 비하여 연령이 낮아질수록 위험도가 감소하였으며, 미혼에 비하여 기혼, 별거 사별 이혼에서 위험도가 증가하였고, 체중조절을 하는 사람이 체중조절을 하지 않은 사람보다 위험도가 높았다. 6. 주관적 건강상태를 나쁨으로 인식한 군에서 객관적 건강상태를 종속변수로한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연령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 PDF

A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s of alcohol consumption patterns to mental distress and self-rated health (성인 음주자의 음주 패턴에 따른 정신건강과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융합적 연구)

  • Lee, Eun-Sook;Cho, Hye-Ch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7
    • /
    • pp.319-32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relationships of alcohol consumption patterns to mental distress and self-rated health. Data of 19,856 adult drinkers over 19 years of age and older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evaluated by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isks of experiencing perceived high stress,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thoughts were higher in alcohol use disorder group in male, whereas the risks were higher in both alcohol use disorder and hazardous drinking groups in female, reflecting higher susceptibility to mental distress. In both male and female, former drinkers presented poor self-rated health compared with low-risk drinkers, although no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revalence of mental distress. Specialized mental health management measures for female drinkers are required, and former drinkers are suggested to be assessed separately from never or low-risk drinkers for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Assessment on Quality of Life : Based on Health Impact Profile-14 Quality of Life (주관적 구강보건영향지수에 따른 삶의 질 평가)

  • Jeong, Mi-A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893-896
    • /
    • 2010
  • 본 연구는 환자가 느끼는 자신의 주관적 구강보건영향지수(OHIP-14; Oral Health Impact Profile-14)가 구강보건이 삶의 질(QOL; Quality of Life)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구강질환 예방과 구강보건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지역사회주민의 건강과 삶의 질을 증진하고자 한다.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OHIP를 분석한 결과 자가 인식 구강건강상태는 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총 점수가 건강한 편이 4.33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QOL을 분석한 결과 자가 인식 구강건강상태에서는 사회적 영역을 제외한 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총 점수는 건강한 편이 3.39로 가장 높았다.

  • PDF

The Impact of OHIP Level on Degree of Patients' Knowledge about Dental Hygiene (환자의 치위생학적 지식 및 실천 정도가 구강건강영향지수(OHIP)에 미치는 영향)

  • Kim, Gi-Ug;Min, Kyong-J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5-8
    • /
    • 2009
  • 이 연구는 환자의 치위생학적 지식 및 실천 정도가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자 평가도구중 하나인 구강건강 영향지수(OHIP)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예방적인 지식이나 일상에서 매일 사용하는 구강용품지식 및 사용방법 지식이 높아야 주관적으로 느끼는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진료 형태별 지식과 같이 경험으로 습득한 지식은 높을수록 주관적으로 느끼는 삶의질이 낮게 나타났다. 반면 심미치료중의 하나인 미백치료지식은 높을수록 주관적으로 느끼는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즉 예방적이고 심미적인 지식이 구강건강영향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 PDF

Japanese case of community partnership for Healthy City Projects (일본 건강증진사업의 지역사회 자원과의 연대 구축 사례: 건강도시사업을 위한 지역사회 파트너 쉽 형성 사례)

  • Hoshi, Tanj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5.09a
    • /
    • pp.197-230
    • /
    • 2005
  • 일본의 Soyo town에서 진행된 건강도시사업은 건강증진 프로그램 모형을 통하여 건강한 도시를 건설하겠다는 슬로건을 가지고 주민들이 참여하여 자신의 건강관리능력을 함양하고 서로의 장점을 공유하는 것을 사명으로 하고 있다. 또한 삶의 질 향상, 주관적 건강상태 향상, 삶의 만족도 향상, 정서적 유대감 향상, 수입증가 그리고 조기사망의 감소를 구체적 목적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게 위한 매우 실제적이며 수량화된 목표들이 설정되어 있다. 1992년에 사전조사를 실시하고 1996년과 2002년에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내용과 과정에는 보건의료전문가와 시설에 대한 정비, 평가에 대한 계획, 학교를 포함한 포괄적인 보건의료시스템이 포함된다. 모든 부문은 자신들이 설정한 보건정책 결과에 대하여 모니터링을 진행하며 적절한 정책을 다시 설정하고 수량화된 목표를 설정하며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프로그램 수행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사업의 기획, 수행, 평가 과정에 주민이 최우선적으로 참여한다는 점이다. Soyo town은 사업을 위하여 학교 및 지역 내 사조직과 협력하고 모든 사업의 기획과정에 다양한 구성원들을 참여시켰는데 이는 건강자원 개발에 있어 매우 중요하게 실천되어야 하는 문제이다. 특히 모든 Soyo town의 주민들이 참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주민들은 건강관련 자원의 배치상태와 과학적 근거를 고려하여 효과적인 사업을 선정하는 것을 포함한 모든 사업의 과정에 참여하였다. 바람직한 생활양식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식품회사, 자원단체 그리고 사회적 관계망 그리고 지역의 단체급식시설, 식당 등이 파악되었으며, 요양원, 가사도우미, 공중보건간호사, 방문간호사, 사회사업가로 구성된 보건의료 시설과 인력들이 협력하였다. 사업이 주민의 건강을 향상시켰는가와 건강향상에 사업이 효과적이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평가가 진행되었는데, 서비스 제공자 뿐 아니라 소비자와 주민들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Soyo town의 건강도시사업의 평가 결과, 조기사망률이 1988년 22.1%이 1992년 18.2%로, 1998년 15.6%로 감소하였다. 또한 주관적인 건강상태는 1988년 48%에서 1992년 67.1%로, 1998년 71.5%로 증가하였다. 전반적으로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적 관계망,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은 증가하였으며, 조기사망, 의료비용은 감소하였다. 한편 보건의료부문의 질적인 향상을 가져왔으며, Soyo town은 건강한 도시의 명성을 얻게 되었다. 사업의 효과성을 향상시킨 요인은 주민 개개인들에게 사업의 기획과정에 처음부터 참여할 기회가 주어졌다는 점과 자원개발에 있어 기존자원의 재개발에 우선순위를 두었다는 점이었다. 효과적인 사업의 수행을 위하여 행정부, 주민, 건강관련 단체들은 수단과 방법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업의 기획단계에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참여하여 각자의 역할분담을 명확히 하는 것이 필요하며, 건강증진은 개인의 노력 뿐 아니라 사회적 환경의 개선과 자원의 개발을 통해서 달성되는 것이므로 주민들은 건강증진을 위한 환경개선을 위해 노력도 병행되어야 한다.

  • PDF

Application of Therapeutic Support on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Mediating Role of Place Attachment (주관적 건강에 대한 치료적 지원의 적용과 장소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 Choi, Myungsuk;Park, Minhye;Choi, Mankyu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 /
    • v.19 no.1
    • /
    • pp.127-144
    • /
    • 2018
  • 배경 및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OECD "더 나은 삶의 지수 2015"에서 34개 국가 중 29위로 평가된 한국인의 주관적 건강(subjective well-being)과 치료적 지지(therapeutic support) 관계에서 장소애착(place attachment)의 매개 효과를 탐색하였다. 방법: 비확률 표본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서울 시민들 중 헬스클럽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치료적 감독(therapeutic oversight )만이 주관적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B = .281, p < .05). 장소애착의 매개효과를 통해서 검증한 결과 치료적 감독 뿐만 아니라 치료적 증언(therapeutic testimonial)에 대해서도 유의하게 검증되었다(치료적 감독 간접 효과 = .155, p < .05, 치료적 증언 간접 효과 = .175, p < .05). 결론: 연구결과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장소애착의 매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서로를 돌보며 회원들 간의 업적을 축하 할 수 있는 장소를 기반으로 한 건강 프로그램을 실행한다면 사회 구성원들의 주관적 건강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