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거 환경

Search Result 2,05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주거환경개선지구 11곳 새로 지정

  • 한국주택협회
    • 주택과사람들
    • /
    • no.2 s.19
    • /
    • pp.66-71
    • /
    • 1991
  • [ $\circ$ ] 건설부는 주거환경이 열악한 서울특별시 승인지구 등 11개 지구를 주거환경 개선지구로 새로이 추가하여 지정하였다. 주거환경개선지구로 지정된 이들 지구는 시장 등이 수립하는 개선계획에 따라 소방도로 등 기반시설의 정비와 아울러 기존의 주택을 개량하거나 새로이 공동주택을 건설하게 되며 이때, 정부에서는 한국주택은행을 통하여 호당 1,200만원까지 장기저리의 자금을 융자지원하고 있다. $\circ$ 도시영세민이 거주하는 불량주택밀집지역에 대하여 시행하는 이 사업은 ''91.11.8 현재 170개 지구가 사업지구(주거환경 개선지구)로 지정되었고 개선계획이 확정된 60개 지구에서는 이미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는 등 호조를 보이고 있다. $\circ$ 정부는 ''99년까지 전국 502개 지구에 대한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완료하여 ''달동네''를 살기 좋은 주거단지로 조성할 계획이다.

  • PDF

The effect of housing environment on the health of single-mothers (주거환경이 한부모 여성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Kim, Ji-Hy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11
    • /
    • pp.37-48
    • /
    • 2017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housing environment on single mothers' health and to find out how to improve their health and housing environment. For the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Single-parents survey carried out by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 2015. The results are as follows. When residential functions such as mining, heating, and noise are not fulfilled amo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ingle-mothers are more likely to feel unhealthy. Among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housing, people who live in public rental housing are more likely to feel unhealthy than those living in own house. And people who have excessive household debt are less healthy than those having no debt.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housing environm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of single-mothers. Based on the results, the author suggested that housing improvement services, survey of housing conditions of single parents, provision of services considering household debt and improving residential conditions of public rentals houses should be implemented.

Research on Words Representing Human Visual Sensibility for Residential Environment (주거환경의 시각 감성어휘 선발)

  • 윤정선;이강희;신미경;구아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134-138
    • /
    • 1999
  • 본 연구는 주거환경에 대한 시각 감성을 대표하는 형용사를 선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주거환경에 대한 감성을 대표하는 형용사를 선발하는 것은 감성의 잣대를 만드는 일이기 때문에 감성어휘를 정확하게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어휘수집의 첫 단계에서는 주거환경 중 시각 환경에 대한 감성을 표현하는 어휘 235개를 수집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수집된 어휘를 다른 피험자들에게 제시하여 주거 환경의 분위기를 나타내는 어휘로서 적절함의 정도를 7점 척도로 표시하도록 하여 24개의 어휘를 골라내었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이들 어휘를 무선적으로 두 개씩 짝을 지어 두 단어가 유사한 정도를 7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하고 이에 대해 요인분석, 군집분석, 다차원분석(MDS)을 실시하여 주거환경에 대한 10개의 감성 어휘를 추출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연구자들이 400여장의 실물 사진 열람을 통해 추출된 감성 어휘를 검증하여 수정하였다.

  • PDF

수중주거공간계획을 위한 수중 Habitat 사례분석 연구

  • 박상욱;김승일;이한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310-312
    • /
    • 2022
  • 거주공간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거주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사람의 생존을 위한 기본적인 환경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사회적 소통과 활동, 그리고 보다 안전하고 쾌적한 생활(업무 등 목적 행위 포함)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수중주거공간은 일반적인 거주환경과 다른 극한 환경이며, 입지에 따른 고립과 공간 활용의 제한이 있다. 따라서 수중주거공간의 거주성 확보를 위해 공간설계기술 및 관련 기준 개발이 필요하다. 수중 habitat 프로그램은 1962년부터 1977년까지 선진국 17개국이 총 65개 수중거주공간을 해저에 설치하고 운영한 것으로서 수중주거공간에 대한 많은 데이터를 축적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수중 habitat 프로그램의 사례를 분석하고, 특성을 도출하여 수중주거공간 계획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를 정리하였다.

  • PDF

New-Generation Consumers' Housing Values: Focusing on the Housing for Newly-married Couples (신세대소비자의 주거가치 : 신혼주거를 중심으로)

  • 이기춘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1
    • /
    • pp.132-144
    • /
    • 1994
  • 본 연구는 '소비자중심'의 주거문화를 모색하기 위해 한국사회 신세대소비자의 주거 가치와 관련요인에 대해 수도권의 20~35세 남녀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질문지를 이용하여 실증연구하였고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4개 주거가치에 대해 전반적으로 중요 하다는 응답이 대부분이었다. 둘째, 주거가치의 요인분석결과 4개 특성이 추출되었고 두 맥 락으로 접근할 수 있었다 하나는 후기 산업사회로의 발전과 함께 중요하게 인식되는 주거가 치특성으로 외부환경의 편리성과 인간성 회복 인접환경의 안전과 프라이버시 내부환경의 편 리성과 아름다움을 중시하는 주거가치가 이에 속한다. 이주거가치들은 신세대소비자에게 매 우 강하게 형성되어 있었으며 공통적으로 신세대가치관이 강할수록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 다. 다음은 전통적으로 중요시된 주거가치로서 위신과 경제성 주거가치이다 이는 비교적 낮 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신세대가치관이 약할수록 더 강하게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Residenti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Residential Ownership Consciousness, and Housing Movement: Focusing on MZ Generation in the COVID-19 Period (주거환경특성이 주거만족도, 주거보유의식과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코로나19 시기의 MZ세대를 중심으로)

  • Yun-Hui, Hwang;Jaeho, Chung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4 no.1
    • /
    • pp.47-66
    • /
    • 2023
  • This study reviews prior studies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residential satisfaction, residential ownership consciousness and housing movement of MZ generation and analyz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 using the 2020 Korea Housing Survey data. Using 14 residenti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ree classifications, we explore the effect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residential ownership consciousness, and housing movement.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ased on factor analysis with Varimax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arking facility items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by hindering validity, and as a result, KMO was 0.925 and Bartlett's test result showed a significant probability of less than 0.01. This indicates that the factor analysis model was suitable. Second,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for the MZ generation show tha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ich is a potential variable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we find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accessibility of commercial facilities, the more significant the sense of housing ownership appears. This suggests that the younger generation such as the MZ generation has a stronger desire for consumption. Fourth, the overall housing satisfaction of the MZ generation was significant for housing movement, but not for housing ownership. Compared to the industrialized generation, the baby boom generation, and the X generation, MZ generation shows distinct factors for housing satisfaction, housing ownership, and housing movement. Therefor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survey should be improved and supplemented following the trend of the times. In addition,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prioritize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housing market that suits the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generation. Finally, our study provides implications regarding the need for housing-related research on how differ in special temporal situations such as COVID-19 in the future.

A Study on the Housing Support System for the Vulnerable Class based on IoT Environment (IoT 환경 기반 취약계층 주거 지원 시스템에 관한 연구)

  • Sim, Sung-Ho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2 no.2
    • /
    • pp.17-22
    • /
    • 2022
  • Currently, the housing supply rate exceeds 100%, and the penetration rate continues to increase. This housing supply rate is changing from quantitative supply-oriented to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housing service policies. Despite the increase in the housing supply rate, practical access to the vulnerable class is still difficult and there are many areas that are insufficient to use housing services when necessary. In addition, the demand for residential services is increasing due to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the vulnerable clas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problems, facilities and joint occupancy that cannot guarantee independent living are mainly established, although a supply plan is established for the vulnerable by expanding policies and support projects. This paper proposes an IoT environment-based housing support system for vulnerable groups to support housing services for vulnerable groups. The proposal system improves the quality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provides service-oriented support services. Through the proposal system, appropriate social participation opportunities can be provided by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vulnerable and supporting a residential environment where independent living is possible.

주택환경개선지구 10곳 새로 지정

  • 한국주택협회
    • 주택과사람들
    • /
    • no.7 s.24
    • /
    • pp.24-29
    • /
    • 1992
  • [ $\circ$ ] 한국주택협회는 주거환경이 열악한 광명시 철산지구 등 10개지구를 주거환경개선지구로 새로이 추가하여 지정하였다. 주거환경개선지구로 지정된 이들 지구는 시장 등이 수립하는 개선계획에 따라 소방도로 등 기반시설의 정비와 아울러 기존의 주택을 개량하거나 새로이 공동주택을 건설하게 되며 이때, 정부에서는 한국주택은행을 통하여 호당 1,400만원까지 장기저리의 자금을 융자지원하게 된다. $\circ$ 도시영세민이 거주하는 불량주택밀집지역에 대하여 시행하는 이 사업은 ''92. 4. 14 현재 199개 지구가 사업지구(주거환경 개선지구)로 지정되었고 개선계획이 확정된 73개 지구에서는 이미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는 등 호조를 보이고 있다. $\circ$ 정부는 ''99년까지 전국 502개 지구에 대한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완료하여 ''달동네''를 살기 좋은 주거단지로 조성할 계획이다.

  • PDF

Analysi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Youth in Seoul (서울시 청소년 주거 환경 분석)

  • Ju-Sung Yoo;Heon-Gon Lee;Sun-Chae Hong;Yong-Jun Yoon;Yoo-Jin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413-414
    • /
    • 2023
  • 본 논문은 청소년에게 영향을 미치는 서울시의 주거 환경에 관한 요소들을 다각화하여서 분석하고 주거환경의 양적 측정방법을 제시하였다. 청소년의 성장과정에서 주거환경은 중요하다는 사실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러한 사실에 기반하여 주거환경을 다각화로 분석하여 제시하였으므로, 이를 필요로 하는 서울시 정책 담담자 혹은 서울시 교육청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 PDF

Comparis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by Public Rental Housing Type: Focusing on Failing to Meet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공공임대주택의 유형별 주거환경 비교 분석: 최저주거기준 미달을 중심으로)

  • DaEun Lee;JiYoung Oh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5 no.1
    • /
    • pp.23-38
    • /
    • 2024
  • This study examine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public rental housing by type at a microscale, using ANOVA and multinominal logistic models, based on the minimum and specific housing standard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each type of public rental housing, as well as resident characteristics, varied in meeting the minimum and specific housing standards. Second, Happy House turned out to have the worst residential environments, as a high proportion of this type did not meet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and the remaining specific standards, excluding facility standards. Third, among permanent rental, national rental, and purchase/jeonse rental housing types, permanent rental housing was poor by the minimum housing standards, and area and room standards, while purchase and jeonse rental housing types showed a high proportion of failure to meet structural, performance, and environmental standard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purchase/jeonse rentals had higher rental anxiety than other types of public rental housing. In particular, anxiety about rent increases and the loss of deposits was high.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ublic efforts are called for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rough tailored support, depending on the type of public rental hou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