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거 특성

검색결과 1,515건 처리시간 0.027초

서울지역 집합주거단지의 변모에 따른 평면형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Case Study on Transition of plan-type by Transfiguration of Housing Complexes in Seoul Area)

  • 전병권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46-57
    • /
    • 2007
  • 본 연구는 현대 집합주택의 개발의 실험적 토대가 되었던 1960년대 이후 1990년대 초반까지의 서울지역 아파트단지들을 중심으로 단지의 측면과 단위평면의 측면에서 시대적 변천과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여 국내 집합주거의 양상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인식하고, 국내 집합주거의 질적 향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추후 연구의 한 준거를 제시토록 한다. 이를 위하여 집합주거의 생성과 현황에 대하여 일반적인 고찰을 진행하여, 국내 주거양식이 점차로 고층, 고밀화되어가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러한 주거양식의 집합화가 점차로 정책적인 차원에서 더욱 고려되어지고 있음을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시대적 틀 속에서 고찰해 본다. 이와 함께 집합화되는 주거양식이 단위평면속에서는 어떻게 변천해 왔는지를 규모와 제실구성, 설비 및 구조방식, 내부공간 구성방식등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흙주거의 거주특성과 주거환경 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idential Character and Consciousness of Housing Environment in Earth Housing)

  • 정주성;김정규;오양기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47-5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sidential characters and consciousness about housing environment concerned with earth housing, and to suggest basic data reflectible on the planning of earth housing. Residential characters and consciousness are investigated with the people lived in forty seven earth housings located in nationwide scale throug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a reason of health like sick house syndrome, residential environments such as ventilation and lighting, site environment such as neighbor and greenfield are very influential elements to the consciousness of inhabitants. Meanwhile, approximation of residential area, the connection with public facilities including medical service, educational and commercial conditions, additionally, preparation of disaster and crime prevention in a viewpoint of safety are pointed out as relatively weak ones. It means that earth housing is not systematically fixed as a residential site because it is personally progressed by small number of peoples having different reasons. For the improvement of systematic housing environment, development and proposition of various model are needed on earth housing and its site.

수도권 및 비수도권 청년층의 주거특성 및 주거특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Housing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and their Determinants in Capital and Non-Capital City Regions)

  • 황광훈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3호
    • /
    • pp.21-3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YP2007) 4-14차(2010~2020년) 자료를 이용하여 청년층의 주거 관련 특성 현황들을 정리해보고, 심층적으로 주거의 특성들(자가 여부, 아파트 거주 여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남성, 고학력층, 취업한 청년층은 자가 및 아파트에 거주할 가능성이 높지만, 이들 중 상당수는 부모와 동거중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 경제적으로 독립한 청년층의 경우, 전/월세 형태의 입주형태와 다세대, 빌라, 오피스텔 등의 주택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청년층이 주거, 일자리, 결혼 등의 문제로부터 벗어나 제 역할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주택 마련 및 임대 등에 소요되는 비용이 청년층의 경제적 상황과 수준 등에 맞게 맞추어져야 하겠다.

주거환경이 주거가치, 주거만족,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Housing Environment on Valu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Housing)

  • 박영근;김판준;황태수
    • 유통과학연구
    • /
    • 제5권1호
    • /
    • pp.89-105
    • /
    • 2007
  • 아파트시장의 환경변화와 소비자 특성의 변화로 인해 아파트 선택시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도 과거와는 매우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아파트 건설업체들은 고객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주거환경을 이해하고, 차별화된 주거가치를 고객들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에서는 주거환경이 주거가치, 주거만족, 재구매의도간의 관계에 대한 통합적 연구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동산뿐만 아니라 마케팅 분야의 관련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주거환경이 주거가치, 주거만족, 재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주거가치와 주거만족은 재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아파트 건설업체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유용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

주거 에너지 소비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지역 격차와 격차요인 분석 -중국의 성(省)급을 대상으로 하여- (Regional Disparity and Its determinants of $CO_2$ Emissions from Residential Energy Consumption in China)

  • 이순성;이희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9-166
    • /
    • 2013
  • 본 논문은 중국의 가구부문에서의 주거 에너지 소비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지역 격차를 파악하고 지역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추정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2006~2011년 동안 30개 성급의 균형 패널 데이터를 토대로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종속변수로, 가구 특성 요인과 지역환경 특성 요인들을 설명변수로 하는 패널모델을 구축하였다. 모형의 추정 결과 가구 특성 중 대졸자 비율, 1인가구 비율, 여성경제활동비율, 노령인구 비율은 탄소 배출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 특성 중 주거밀도가 높을수록 탄소배출량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국에서 주거 에너지 소비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절감시키는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지역별 가구특성, 공급되는 에너지원, 그리고 지역의 기후특성에 따라 차별화되어야 한다는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PDF

청년·신혼부부의 주거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인천시를 중심으로 (Housing Choice Determinants of the Youth and Newlyweds Households: A Case Study of Incheon)

  • 기윤환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4호
    • /
    • pp.13-26
    • /
    • 2022
  • 본 연구는 인천시 주거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인천시 청년·신혼부부의 주거선택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모형은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하였으며, 변수는 주택특성, 주택시장특성, 주거환경특성으로 구분하여 인천시 유입, 유출, 지속거주 측면에서 주거선택요인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첫째, 인천시 지속거주를 위해서는 청년은 관리비 부담 완화, 신혼부부는 안정적인 거주를 위한 주택소유 및 질적 수준이 확보된 임대주택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년의 인천시 유입을 위해서는 임대료, 관리비, 이사비 등 주거비 지원과 치안/범죄, 소음수준, 의료시설 등의 주거환경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혼부부는 주택구입대출지원, 전세자금대출지원 등을 통한 주택소유를 위한 지원과 대기오염, 주차시설 등의 주거환경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년은 높은 주거비부담 시 서울시나 경기도로의 주거이동확률이 높고, 신혼부부는 신규분양주택과 높은 주택구입 가능성을 위해 타지역으로 유출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인천시 청년·신혼부부가 주거선택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으로는 청년은 주거비, 신혼부부는 주택구입 등으로 향후 청년·신혼부부를 위한 주거 및 인구유입정책 수립을 위한 방향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주거빈곤이 아동발달에 여향을 미치는 과정 분석 (Process Analysis of Housing Poverty Influences on Child Development)

  • 임세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4호
    • /
    • pp.377-402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1차년도)을 활용하여 주거빈곤이 아동의 신체건강, 내재화문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최저기준미달주거와 주거비 비중은 주거불안정과 모(부)불건강, 아동의 비학업활동은 증가시키고, 비주거지출은 감소시켜 아동의 내재화문제와 학업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소득빈곤, 지역빈곤과 가구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나타난 결과였다. 본 연구를 통해 주거빈곤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발전시키고, 주거 빈곤 정책의 중요성을 환기시킬 수 있었다.

  • PDF

서울시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시.공간적 특성과 변화(1995~2010년) (Spatio-Temporal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Failing to Meet the New Minimum Housing Standard in Seoul Metropolitan(1995~2010))

  • 김용창;최은영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509-532
    • /
    • 2013
  • 최저주거기준은 자본주의 산업화 과정과 급격한 도농인구이동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노동자계급의 주거환경 악화와 공중보건위생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거복지 정책의 주요 쟁점으로 발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주요 선진국을 대상으로 최저주거기준이 제도화되는 역사를 살펴보고, 서울시를 대상으로 2011년에 개정된 새로운 최저주거기준을 적용하여 1995년 이후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시계열적 변화패턴과 지역별 특성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2010년 서울시의 미달가구는 50.1만 가구(136.8만 명, 14.4%)로 전국 평균인 11.8%에 비해 처음으로 높아졌으며, 2005년의 50.9만 가구에 비해 거의 감소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서울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감소추세의 정체는 다른 시 도, 다른 시기에는 한 번도 관찰된 바 없는 현상으로서 개별 가구의 독자적인 능력만으로는 주거환경을 개선 할 수 없는 구조적인 한계 가구 층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서울시의 기타 거처(1.3%) 및 지하 옥상 거주 비율(9.6%)이 전국에서 가장 높아 서울시의 주거환경이 질적인 측면에서 가장 열악한 지역으로 변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달가구의 공간적 분포는 동북권과 서남권 방면으로 양분되어 있고, 여성가구주, 중장년층, 이혼가구, 저학력 및 대학 대학원 재학생, 비아파트 거주가구, 15~20년 경과주택 등에서 높은 미달비율을 보이고 있다.

  • PDF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고령친화 유비쿼터스 주거환경 디자인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Design for the Elderly-friendly Ubiquitous Housing Based on Lifestyle)

  • 류혜지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52-55
    • /
    • 2012
  • 본 연구의 목표는 예비 노인층의 라이프스타일을 파악하고 유비쿼터스 주거환경에서의 디자인 요구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와 심층면접, 웹서베이로 이루어졌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상황에 따라 6개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둘째,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상황이 가장 높은 유형 5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셋째, 고령친화 유비쿼터스 주거환경 디자인 요소에 대한 요구도는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를 통해서 파악된 고령친화 유비쿼터스 주거환경에 적용가능한 디자인 지침들은 단계적으로 적용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컨버전스 기술을 이용한 어포던스 기반 미래 주거공간의 하이브리드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Hybrid System on Affordance-based Future Housing using Convergence Technology)

  • 강민수;추승연;박용서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85-92
    • /
    • 2009
  • In the coming 21st centuries, words of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mong the key words being emerged as an important concern have been talked about frequently and ubiquitous environment that helps human living being networked with humans, objects and environments has been rapidly progressed, influencing significantly over the various fields as well as architectural area. And eventually in this architectural area, the space that is desired to be shown to and experienced by the people could be found in the creation of a space in a new form that has not been existed in this world by utilizing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future housing delicately add using technology and AR system which is an essential el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duction and using each element and develop one-step advanced the hybrid system space. We have to select the best way of the construction future hou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