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ousing Choice Determinants of the Youth and Newlyweds Households: A Case Study of Incheon

청년·신혼부부의 주거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인천시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2.10.13
  • Accepted : 2022.12.16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housing choice determinants of the youth and newlyweds households by using housing survey data in Incheon. A multinomial logit model is employed for analysis with the following variables: housing characteristics, housing market characteristics, and residential and neighborhood environment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continued residence of the youth, the important factors were the relief assistance of housing maintenance costs. For the newlyweds, the important factors were the quality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s to ensure residential stability. Second, the housing choice factors to attract the youth were residential support for rent, maintenance costs, and relocation, and the improvements of residential environments such as security, noise levels, and medical facilities. For the newlyweds, the important factors were housing loan assistance for a home purchase or a cheonsei deposit and residential quality improvements for air pollution and parking facilities. Third, the youth were likely to move out due to high rental costs, and the newlyweds were likely to move out for the purchase of a new apartment or higher-quality housing.

본 연구는 인천시 주거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인천시 청년·신혼부부의 주거선택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모형은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하였으며, 변수는 주택특성, 주택시장특성, 주거환경특성으로 구분하여 인천시 유입, 유출, 지속거주 측면에서 주거선택요인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첫째, 인천시 지속거주를 위해서는 청년은 관리비 부담 완화, 신혼부부는 안정적인 거주를 위한 주택소유 및 질적 수준이 확보된 임대주택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년의 인천시 유입을 위해서는 임대료, 관리비, 이사비 등 주거비 지원과 치안/범죄, 소음수준, 의료시설 등의 주거환경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혼부부는 주택구입대출지원, 전세자금대출지원 등을 통한 주택소유를 위한 지원과 대기오염, 주차시설 등의 주거환경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년은 높은 주거비부담 시 서울시나 경기도로의 주거이동확률이 높고, 신혼부부는 신규분양주택과 높은 주택구입 가능성을 위해 타지역으로 유출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인천시 청년·신혼부부가 주거선택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으로는 청년은 주거비, 신혼부부는 주택구입 등으로 향후 청년·신혼부부를 위한 주거 및 인구유입정책 수립을 위한 방향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 2022.4.1. 읽음. https://stat.molit.go.kr/portal/main/portalMain.do.
  2. 기윤환(2020), 「인천시 인구구조변화에 따른 계층별 주거정책방향」, 인천: 인천연구원.
  3. 김리영(2019), "지역간 특성차이가 서울시 청년층 이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지역연구」, 2019(35-2): 49~57. https://doi.org/10.22669/KRSA.2019.35.2.049
  4. 김병석.이동성(2018), "주거이동특성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지역연구」, 2018(30-3): 117~132.
  5. 김주영(2014), "거주지역별 주거이동계획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주거환경」, 2014(12): 197~208.
  6. 김태현(2008), "서울시내 주거이동의 시.공간적 특성",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7. 박정연.이창효(2022), "서울대도시권 청년 1인 및 신혼 가구의 소득수준별 주거입지 선택요인", 「지역연구」, 2022(38-1): 45~56. https://doi.org/10.22669/KRSA.2022.38.1.045
  8. 유완.김인하.김영국(1992), "가구특성에 의한 주택선택방법", 「국토계획」, 1992(27): 27~36.
  9. 장선영(2020), "가구특성에 따른 주거이동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10. 전성제.강미나.박정은(2016), 「수도권 주거이동에 따른 도시관리적 대응방안」, 세종: 국토연구원.
  11. 전명진.강도규(2016), "수도권 주거이동 가구의 주거입지 선택 요인 분석", 「지역연구」, 2016(32-1): 83~103. https://doi.org/10.22669/KRSA.2016.32.1.083
  12. 전이봄.안영수.윤진성.이승일(2019), "서울시 가구특성별 주거입지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가구주연령과 자녀유무를 기준으로", 「지역연구」, 2019(31-2): 167~190.
  13. 조강현(2021), "서울대도시권의 주거이동 특성과 주거이동 영향요인분석: 2001-2019년 서울.인천.경기 이동가구",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14. 한지혜.최승비.김갑성(2015), "상대주거비용의 변화가 전세가구의 점유형태 및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 「주택연구」, 2015(23): 5~29.
  15. 황윤희.정재호(2022), "주거환경 특성이 주거만족도와 주거보유의식 및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 「부동산학보」, 2022(87): 117~136.
  16. Alonso, W. (1964), Location and Land Use: Toward a General Theory of Land Rent,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7. Knox, P. and S. Pinch (2009), Urban Social Geography: An Introduction 6th Edition, New Jersey: Prentice Hall.
  18. Lee, E. S. (1966), "A Theory of Migration", Demography, 3(1): 47~57. https://doi.org/10.2307/2060063
  19. Mcfadden, D. (1973), "Conditional Logit Analysis of Qualitative Choice Behavior", in Frontiers in Econometrics, (ed.) Zarembkam, P., 105~142, New York: Academic Press .
  20. Rossi, P. H. (1955), Why Families Move: A Study in the Social Psychology of Urban Residential Mobility, Glencoe: Free Press.
  21. Tiebout, C. M. (1956), "A Pure Theory of Local Expenditures", Th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416~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