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거 공간 활용

Search Result 31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ject teaching-learning plan for 'residential space utilization' of home economics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가정과 프로젝트 교수.학습안 개발 및 효과 - '주거 공간 활용' 단원을 중심으로-)

  • Choi, Kyoungsoo;Cho, Jeasoo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5 no.2
    • /
    • pp.1-1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and implement a project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 in order to improve a creativity and character for 'residential space utilization' section of Technology 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 The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 consisting of 15-session lessons had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mixed with 6 project learning steps. In the development stage, 8 activity materials(7 individual and 1 group activity sheets) and 7 teaching learning materials(2 sets of pictures & photos, 4 moving pictures and 1 space plan resources book) were developed for the 15-session lessons. The plans applied to 5 classes 163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G middle school in Gwangju during Oct. 17th to 18th of Nov. 2011. The results from the survey and portfolio showed that the 15-session lessons had overall achieved the general goal of the project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 to improve a creativity and character. Students were stimulated by individual and group activities with creativity and character elements in the class. The students evaluated the whole process of 15 lessons were interesting and helpful to improve creativity and consideration and cooperation of aspect of character. The individual and group results of the portfolio were excellently and creatively done with the average of nearly 85% points. The researcher also found the improving process of students in the whole classes. This plan might apply to other parts of housing as well as various other areas of home economics.

  • PDF

Development indices for the Waterfront Creation (수변공간조성을 위한 지표 개발)

  • Park, Ki Bum;Ahn, Seung Seop;Moon, Sang Chul;Park, So 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06-506
    • /
    • 2016
  • 수변공간을 개발하는 방향에 있어서 홍수에 안전하고 수자원의 이용기술이 발달하면서 수자원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어 수변공간개발은 이용성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수변공간 개발인 청계천은 이제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고 여가를 즐기고 휴식을 취하는 공간으로 전국적으로 유명한 관광명소가 되었다. 청계천과 같이 유명한 수변공간이 아니더라도 지역의 주거지와 가까운 곳에 하천과 수변공간들이 이미 많은 사람들이 운동, 산책, 휴식, 여가활동을 즐기는 공간으로 인간에게 다가오고 있다. 이러한 수변공간을 개발하는 데 있어 지금까지 개발의 방향을 결정하는 주체는 지자체의 담당공무원과 기술자들에 의해 개발의 방향이 결정되어 왔다. 최근들어 이수와 치수에 있어 안정성이 과거보다 크게 상향되면서 하천은 인간에게 친숙한 공간이 되고 있다. 시대의 흐름이 수변공간의 활용이 높아지고 과거와 달리 홍수방어나 수자원을 공급하는 자연 시설이 아닌 인간이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이 가능한 공간으로 변해가고 있다. 이러한 공간을 개발하는데 있어 지형적, 사회문화적 특성을 반영시키고 이용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이용자들의 성향을 파악하고 객관적인 지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에 위치한 대표적인 수변공간인 수성못과 신천 그리고 팔거천을 대상으로 이용자들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수변공간을 개발하는 데 있어 정량적인 지표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and Analyses of Effects of ICT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 for 'Designing My Home' unit of Technology.Home Economic in High School (ICT활용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효과 분석: 고등학교 기술.가정 "나의 주거 공간꾸미기" 단원을 중심으로)

  • Park Hyun-Sook;Cho Jae-Soo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18 no.2 s.40
    • /
    • pp.15-2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nd analyze the effects of ICT based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s for 'Designing My Home' unit of Technology Home Economics subject in High School. The seven housing contents were selected from 8 textbooks and 8 teaching resources at the analyses stage. A specific homepage(ieduhome.cafe.com) was built to utilize the eight ICT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 as well as many other resources at the planning & development stages. The number of 68 highschool students have participated for the application stage during September 4-26, 2003 and the same number have studied the same contents through regular teaching learning plans as a comparison group. Experimental groups have significantly more increased in th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housing contents than have comparison groups. The same results occurred in the interests in Home Economics, Housing, and Internet utilized study. The Design report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d between two groups based on the objective evaluation criteria. The results of this study generally supported previous research and showed that the In teaching learning plans were more effective in various aspects than were the regular plans.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sidential Furniture Design Preference according to Consumers Characteristics (붙박이장의 형태, 구조 변화와 소비자 특성 연구)

  • Lee, Seung-Y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3
    • /
    • pp.146-155
    • /
    • 2008
  • As the residential culture of Korea is transformed from house oriented to apartment oriented residential environment these days, the bedroom closets are changing into the built-in furniture such as built-in closets. As the life style of consumers become richer and wealthy, the bedroom furniture is changing to respond for the forms, function,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consumer's deman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t-in closets such as structure, function and material were studied to analyze the basic changes and compared the normal closet to the built-in closet to analyze the elements in terms of environment and convenience. Moreover, to develop forms and designs to fit various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the consumers, various forms of consumer demand were analyzed.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providing the efficient form and structure that enables the use of internal space as the consumer wishes to change the design elements, and other spaces to fit the changed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Impervious Ratio in Land-use Zone Using Pervious/Impervious Map based on GIS - Focused on Bupyeong-gu Incheon - (GIS기반의 투수/불투수도를 이용한 용도지역별 불투수율 현황분석 - 인천시 부평구를 대상으로 -)

  • Oh, Seong Kwang;Kim, Kye Hyun;Lee, Chol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91-191
    • /
    • 2015
  • 무분별한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해 불투수면이 증가하고 있다. 불투수면은 빗물이 투과하지 못하는 지면을 의미한다. 이러한 불투수면은 강우 시 지면에 있는 유해물질이 그대로 인근 수계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심각한 수질 오염을 야기한다. 이와 관련하여 환경부에서는 불투수율 관리를 위하여 2013년에 전국토를 대상으로 불투수율을 산정한바 있으나, 소축척 수준의 시 또는 유역 단위 통계만을 산출하였고 대축척 수준의 소규모 개인 필지 내 조경지역 등을 반영한 불투수율 통계는 현재까지 부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천시 부평구를 대상으로 소규모 필지까지 적용 가능한 고해상도 투수/불투수도를 제작 및 활용하여 용도지역별 불투수율 현황을 분석하였다. 불투수면의 공간적 분포 확인을 위해 토지피복지도, 수치지형도, 항공사진(25cm급) 등을 활용하여 고해상도 투수/불투수도를 제작하였다. 투수/불투수도는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제작 지침인 선형 요소의 경우 폭 3m, 면형 요소의 경우 면적 $10m{\times}10m(100m^2)$를 참조하여 제작되어 개별 필지단위의 불투수면까지 확인 가능하다. 이후 용도지역도를 수집하여 GIS 환경에서 투수/불투수도와 중첩하여 용도지역별 불투수율을 산출하였다. 불투수율을 산정한 결과 부평구 전체 불투수율은 64%로 확인되었다. 또한 용도지역도 중분류상 주거지역의 경우 불투수율이 82.1%, 상업지역의 경우 91.7%, 공업지역의 경우 94.1%, 녹지지역의 경우 30%로 확인되었다. 상업지역 및 공업지역의 경우 불투수율이 90%이상으로 불투수면 관리가 시급하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 환경부에서 제작한 투수/불투수도 보다 정확한 불투수면의 공간적 분포 확인 및 불투수 면적 산출이 가능하여 불투수면 우선관리지역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불투수율이 높은 지역을 우선 선별하여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 및 그린빗물인프라(GSI, Green Stormwater Infrastructure)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 특히, 불투수율이 높은 상업지역 및 공업지역에 대해서는 연구 결과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한 개선이 요구된다.

  • PDF

Analysi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Animal Clinic Using GIS (GIS를 활용한 동물병원의 공간분포 특징 분석)

  • Pak, Son-Il;Bae, Sun-Ha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8 no.1
    • /
    • pp.118-127
    • /
    • 2012
  • Using GIS, animal clinic's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nimal clinic location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Internet's Open API service. Approximately 4,100 animal clinics are operated in South Korea in 2011. And 47 % of these are located in the Seoul area. Population, especially female population and apartment resident's ratio affects the location factor of the animal clinic. The number of 25~44 year-old woman and animal clinics are high correlation. In the animal clinic location, distance from the road is more important than the distance of the metro.

  • PDF

A study of Spatial Identification Method through Environmental Data (환경 데이터를 활용한 공간 식별 방안 연구)

  • Oh, Yoon-Seok;Choi, Jung-In;Seo, Seung-Hyun;Kim, Ju-Han;Kang, You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166-1168
    • /
    • 2017
  • 환경 데이터는 현재까지 농업, 해양, 주거 분야에서 다양하게 연구 및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순히 환경 모니터링과 제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는 저비용 센서 모듈로 각각 다른 실내 공간을 식별하는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홈 및 스마트빌딩 분야에서 환경 변화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 대도시 지하수 수질의 공간적 변화 특성

  • 유순영;윤성택;소칠섭;채기탁;이평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9a
    • /
    • pp.139-142
    • /
    • 2001
  • 서울시 대도시 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 및 오염 특성을 토지 이용 특성(청정지역, 주거지역, 농업지역, 교통혼잡지역, 공단지역)과 관련하여 고찰함으로써 대도시 지하수 수질의 효율적 관리에 활용하기 위한 3개년 모니터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여 소개한다. 총용존고체 함량(TDS)은 지하수 수질 특성 파악에 손쉽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파라미터임이 확인되며, 청정지역, 주거지역, 농업지역, 교통혼잡지역, 공단지역의 순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따라서, 서울 도시 지하수 수질은 일차적으로 부근의 도시화 특성과 밀접한 상관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한편, 청정지역의 수질 특성 자료를 제시하여 지하수 오염도 평가의 기준(배경 수질) 자료로 활용토록 하였다. 서울 동부 지역 암반 지하수의 수질 특성을 보면, 강북, 노원, 도봉 등 중랑천 상류 지역의 지하수가 동대문, 성동, 송파구 등 하류쪽의 지하수에 비해 낮은 TDS 함량을 갖는 경향이 있다. 서부 지역 지하수는 동부 지역에 비해 높은 TDS 값을 보이며, 공단부지 면적이 큰 영등포, 금천, 구로구 일대 및 종로, 중구 등 교통혼잡지역 등에서 매우 높은 TDS 함량을 나타내었다. 결국, 서울시 지하수의 TDS 함량은 수-암 반응보다는 인위적인 오염원에 의해 크게 지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IR Sensor and Development of Tour Information Application (적외선 센서를 활용한 통합형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관광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 개발)

  • Kim,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1.05a
    • /
    • pp.541-543
    • /
    • 2021
  • Recently, the number of cars owned in Jeju Island and the use of tourist rental cars have been increasing rapidly. Therefore, parking problems are getting worse in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As a result, a system is required to secure parking spaces and utilize existing parking spaces.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system for real-time sharing of free public and paid parking spaces by introducing services that provide information on nearby restaurants, tourist information, and real-time parking status. The system analyzes infrared sensors and CCTV images installed in the actual parking lot and provides convenience for service users by analyzing the space currently in use and the number of unused parking spaces in real time.

  • PDF

Chronological Analysis of the Accessibility Change of Outdoor Space in Apartment Complexes Using Space Analysis Method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시기별 접근성 변화 분석)

  • Choi, Jae-Pil;Byun, Na-Hyang;Kim, Min-Seok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21 no.4
    • /
    • pp.1-9
    • /
    • 2010
  • Since the active enhancement of large-scale apartment development in 1970, apartment complexes in Korea have shown considerable changes throughout, with respect to its planning and design. Depending on the government legislations, and economical and social issues of its time, apartments have been designed to respond to varying demands of the society; from minimal unit design to overall masterplan. As existing researches regarding development of apartment planning are conducted in individual and distinct manner, not only is it difficult to find cases of an overall critical analysis of apartment complexes, it is also rare to look for research that deals with a greater urban context, nor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site. With specific focus on apartments in the metropolitan, the focus of this research lies in critically analyzing the qualities of outdoor spaces within an apartment complex, its generational change and interpreting the value it holds for the society. With regards to analyzing its outdoor features, the core of this study deals with applying space syntax, based on the configurational properties of spatial constituen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have some implications that the accessibility change of apartment outdoor spaces was examined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and the changes of it by time were clarified in detail. And objec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were employed for an alternative to the methods used in existing related researc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