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거환경 스트레스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5초

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이용만족도와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atisfaction in Elderly Care Facilities and Daily Stress of the Elderly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 사영화;조성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706-71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시설의 이용만족도와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중부권 지역의 노인요양시설 8개소의 입소노인 271명이며. 2013년 3월 10일부터 8월 25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 이용 만족이 우울을 낮추고 의료재활서비스 만족은 우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설환경에 대한 만족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 스트레스 중 가족관계와 관련된 스트레스는 우울을 높이고 자아존 중감을 낮추며 주거환경에 관한 스트레스도 자아존중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요양시설의 이용만족도보다는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을 더 잘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여러 영향요인 중 본 연구에서는 가족관계와 관련된 스트레스가 가장 강력한 예측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스트레스 요인과 우울의 종단적 인과관계 (The Longitudinal Relation between Stressors and Depression of Men in Baby Boom Generation)

  • 성준모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4호
    • /
    • pp.285-310
    • /
    • 2012
  • 본 연구는 사회 스트레스 이론을 근거로 한국복지패널 1차~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우울과 스트레스 요인간의 인과관계를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우울정도와 우울증 의심군은 시간의 진행에 따라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패널회귀분석 결과, 시간에 따른 우울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중위소득 기준 소득계층의 상승, 가족관계 만족 증가,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 증가, 주거환경 만족 증가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우울과 인과관계를 가지는 사회 스트레스 요인의 감소에 대한 사회복지 정책 및 개입방향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 PDF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완벽주의 성향과 학업스트레스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Perfectionism, Academic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 조소희
    • 한국교육논총
    • /
    • 제40권1호
    • /
    • pp.43-5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완벽주의 성향으로 인해 학생들이 받는 학업스트레스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P 지역에 있는 고등학생 29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부모의 완벽주의 성향의 평균을 중심으로 완벽주의 성향을 높게 지각하는 상집단(평균이상)과 낮게 지각하는 하집단(평균이하)의 삶의 만족도와 학업스트레스가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t-test를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완벽주의 성향의 평균을 중심으로 완벽주의 성향을 높게 지각하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완벽주의 성향과 삶의 만족도와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가족·친척관계, 자아감·일반적인 삶, 친구·대인관계, 주거환경, 신체·정신건강, 의·식·경제정도, 여가활동, 학업·하루일과 이렇게 총 8개의 하위요인에 대하여 하집단이 상집단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완벽주의 성향과 학업스트레스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시험성적 스트레스, 과제 스트레스, 학습내용 스트레스, 학원 스트레스 이렇게 총 4개의 하위변인 중 시험성적과 학습스트레스는 상집단의 스트레스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자료 분석을 통해 얻은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살펴보면 완벽주의 성향을 지닌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였을 때 상집단의 학생들이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가 더 높았으며 이로 인해 삶의 만족도 역시 같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간호대학생의 대학캠퍼스 환경인식과 건강지각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erceptions of the Campus Environment and Health Perception on Str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이정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329-338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학캠퍼스 환경인식과 건강지각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스트레스를 감소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자료수집은 2016년 12월 01일부터 12월 30일까지 G시의 3개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편의 추출하였으며 223명의 수집된 자료를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스트레스에 차이를 나타내는 일반적 특성은 연령, 실습경험, 성별, 주거형태, 성격과 식습관형태 및 학교보건실 이용경험이었다. 스트레스는 대학캠퍼스 환경인식과 건강지각 간에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식습관, 성별, 대학캠퍼스 환경인식과 건강지각이었으며, 스트레스에 대한 이들의 설명력은 23.1%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대학캠퍼스 환경을 개선하고 건강에 대한 지각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해야 할 것이다.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가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fe Stress on the Sleeping Disorder of University Student)

  • 정선희;박종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345-353
    • /
    • 2013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광주 전남에 소재한 대학생 342명을 최종분석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에 의해 시행되었다. 수면장애는 가족과 떨어져 자취하는 대학생이 많았고(p=0.042), 주거 환경에서 발생하는 소음 역시 수면장애와 연관성이 높았다(p=0.002). 또한, 대학생들이 학교생활에서 만족을 갖지 못하는 경우(p=0.007), 건강이 보통 이하 정도로 불량할 경우 수면장애가 많았다(p=0.010). 생활 스트레스 역시 수면장애와 관련이 있었고(p=0.004), 장래문제와 관련된 스트레스(p=0.002), 가치관과 관련된 스트레스가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0.001). 자취생활, 주거 소음, 학교생활의 불만족, 불량한 건강, 생활 스트레스, 특히 장래 문제 및 가치관과 관련된 스트레스가 수면장애와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수면장애를 유발하는 스트레스에 대해 다양한 요인과의 분석을 통한 연구가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주거환경 스트레스와 주거이동 성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idential Stress and Inclination to Move)

  • 고경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71-84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how inclination to move can be appeared by understanding the cognition of a resident on stress due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240 housewives living in Chiniu were Questioned statistical analysis were used with factor analysis, F-test. Duncan's Multiple range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ult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tress of residential environment were clissified by six factors indoor facility, educational environmental. indoor structure, air Pollution noise, traffic convenience. 2) The extent of a stress from residential environm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 and housing-related variable. 3) The stress of residential environment were affected by the direction of house. 4) The variable discriminating inclination to move were the stress of residential environment(air Pollution). an educational level, the type of housing possession, residential Period and the size of house.

  • PDF

기숙사와 자가의 주거환경 만족도에 따른 특목고의 기숙사 환경개선 요구도 및 학교생활 스트레스 (Need of Dormitory Environment Improvement and School-life Stress in the Special-purpose high school according to Residential Satisfaction in Dormitory and Housing)

  • 진애순;장윤옥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89-10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the need for improvements to dormitory environments and to study the stress from school-life according to residential satisfaction in dormitories and housing.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including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a residential satisfaction scale, a need of dormitory environment improvement scale, and a school-life stress scale. The subjects were 453 special purpose student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who all live in a dormitory. Factor analysis, Cronbach' $\alpha$ and MANOVA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and Scheffe test was used for post-hoc analysis. First, the lower group the satisfaction of a physical residential environment in a dormitory, the more likely it is that the dormitory environment need improv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dormitory students are much more sensit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physical residential satisfaction than to sociopsychological residential satisfaction. Also, the residents believe that change to these physical residential conditions facilitate an improvement to sociopsychological residential satisfaction. Moreover, when the satisfaction of a physical residential environment is lower group, more perceptive stress occurs from academic, health and personal factors while a lower satisfaction for the sociopsychological residential environment results in a more perceptive stress from the environ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dormitory conditions indicate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environment to adapt well to school-life, thus reducing stress. Also when simply providing a supplementary physical residential environment the sociopsychological residential environment should be considered, as this can cause conflicts between roommates. Second, the lower group the satisfaction for a physical residential environment in housing, the more likely it is that the dormitory environment need improv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for environments of inadequate housing there is a strong urge towards needing more independence and a better living environment. Third, when group feel there is a more substantial difference in the physical residential environment between dormitories and housing, it is more likely it is that the dormitory environment need to be improved. Also, when they feel there is more substantial difference in the sociopsychological residential environment between dormitories and housing, a more perceptive stress is detected from the environ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dormitory students want to have the same level of conditions as those provided in housing. Also, dormitory students want to need more physical environment improvement than sociopsychological environment improvement.

주거환경 스트레스가 주거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sidential Stressor on The housing Management.)

  • 문숙재;곽인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0권2호
    • /
    • pp.87-97
    • /
    • 1992
  • The resulting rapid urbanization in Korea in several decades caused the problem of housing shortage and the various residential stressors. In spite of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there have been very few studies that analyses systematically the effects of residential stressors on the housing adjustment attitudes and housing management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such effects by identifying, on the basis of a comprehensive theoretical model. For this purpose, 822 housewives were sampled form the household in Seoul and Chonju-City. The main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Higher tendency to housing adaptation tan housing adjustment attitudes. The lower level of stress is observed in housing adjustment than housing adaptation. 2) The higher level of housing management behavior is observed in the loser level of residential stress, the smaller level of living space, the higher level of family adaptation ability and social support.

  • PDF

고밀도 주거지역에서의 복사플럭스 영향 연구 - 서울시 중랑구 지역을 대상으로 - (Radiation Flux Impact in High Density Residential Areas - A Case Study from Jungnang area, Seoul -)

  • 이채연;권혁기;프레드릭 린드버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6-49
    • /
    • 2018
  • 본 연구는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태양복사모델링을 수행하고 검증하여, 도시 내 열스트레스 완화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지역은 항공 LiDAR 자료를 기반으로 실제 건물과 식생의 형태와 높이가 구현되었고, 보행자높이에서의 단파 및 장파복사 플럭스가 모의될 수 있도록 해상도를 향상시켰다. 고층 및 저층 건물이 고밀도로 존재하는 주거지역 $4km^2$에서 SOLWEIG 모델을 이용하여 복사플럭스를 모의하고, 지표에너지수지시스템의 Net radiometer를 이용한 복사플럭스 관측자료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여름철 맑은 날 가장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고, 같은 날에 대한 평균복사온도를 모의한 결과, 그림자영향이 적은 저층 건물지역과 도로표면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고층 건물지역과 식생지역에서는 그림자의 영향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은 보행자높이에서 도시 내 열스트레스 지역 관리를 위한 높은 신뢰도를 보여주었다. 더욱 확장되고 있는 도시재생 및 재개발에 있어서, 새로운 주거환경을 도입하기 위해 도시 기반시설을 계획할 때 자연 및 인공 도시환경 설정과 관련된 많은 기능이 적용될 수 있다.

사례조사법을 이용한 보험회사 사장실 디자인의 인간공학적 접근 (A Case Study on Human Factors Approach to Designing the Executive Office in the Insurance Company)

  • 박희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57-75
    • /
    • 1997
  • 사람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집이나 직장에서 보내게 된다. 그러므로 집과 사무실은 삶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두 개의 공간인 것이다. 인간공학적으로 디자인된 사무실은 그곳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신체적,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게되어 작업능률과 만족감을 향상시키며,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를 최소화한다. 특히 많은 책임과 권한을 가진 사장들에게 있어서 인간공학적으로 디자인된 환경은 필수적인 요건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사례조사법을 이용하여 미국 Lowa주 주도인 Des Moines에 사무실을 갖고있는 10개 보험회사 사장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관찰조사 및 실내공간 스케치를 이용하였다. 대부분의 사무실은 직접적으로 일과 관련된 디자인 부분만 강조되어 있었으며 그들의 많은 시간이 읽기와 쓰기등 시각적인 일에 쓰여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명, 특히 국부조명은 거의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상담이나 접견과 같은 활동을 위한 가구의 선택이나 실내공간계획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았다. 사용후 평가를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대상자들은 심리적, 생물학적 요구사항들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디자이너는 좀더 사용자 위주의 공간계획을 해 나가야 할 것이며 각각 다른 사무실특성, 기능, 인간관계. 특히 종업원과의 관계, 사업종류 등을 명확히 이해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