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거특성

Search Result 1,500,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아파트 거주자의 변인에 따른 주거환경 만족도의 차이에 대한 연구 -부동산 관련 창업자를 위한 소비자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 Jin, Seon-Jin;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0a
    • /
    • pp.81-108
    • /
    • 2009
  • 본 연구는 서울지역 아파트 거주자를 대상으로 거주자의 주거환경 만족도,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주거형태에 따른 주거환경 만족에 차이, 그리고 주거환경 만족도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아파트 거주자 500명을 대상으로 2009년 9월 1일부터 2009년 9월 20일까지 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Duncan Multiple Ranger's Test 등을 계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지역 아파트 거주자의 주거환경만족도는 중간이상의 수준을 나타냈으며, 사회환경 중 단지질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둘째, 거주자 변인에 따른 시설환경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거주자 변인에 따른 근린, 사회환경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주거환경 만족도 변수상호간에는 주택환경 만족도와 단지 내 환경 만족도, 단지 내 환경 만족도와 관리상태 만족도간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수중주거공간계획을 위한 수중 Habitat 사례분석 연구

  • 박상욱;김승일;이한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310-312
    • /
    • 2022
  • 거주공간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거주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사람의 생존을 위한 기본적인 환경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사회적 소통과 활동, 그리고 보다 안전하고 쾌적한 생활(업무 등 목적 행위 포함)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수중주거공간은 일반적인 거주환경과 다른 극한 환경이며, 입지에 따른 고립과 공간 활용의 제한이 있다. 따라서 수중주거공간의 거주성 확보를 위해 공간설계기술 및 관련 기준 개발이 필요하다. 수중 habitat 프로그램은 1962년부터 1977년까지 선진국 17개국이 총 65개 수중거주공간을 해저에 설치하고 운영한 것으로서 수중주거공간에 대한 많은 데이터를 축적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수중 habitat 프로그램의 사례를 분석하고, 특성을 도출하여 수중주거공간 계획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를 정리하였다.

  • PDF

Effect of Resident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on Aging in Place : Analysis of Moderated Effects of Housing Characteristics (주거환경 만족도가 지역사회 계속 거주 욕구에 미치는 영향 : 주거특성의 조절효과 분석)

  • Baek, Seong-Wook;Lee, Chan-Ho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20 no.8
    • /
    • pp.25-31
    • /
    • 2022
  •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resident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on AIP(Aging in Place), and analyzes how their relationship differs depending on housing characteristic variables (ownership type, housing type, and residential area). For this purpose, as of November to December 2020, a questionnaire analysis was conducted on 373 adult males and females residing in Busan and Gyeongn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in two ways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higher the AIP.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AIP was higher in ownership than in rental cases, and further decreased in detached houses compared to apartment houses. In addition, compared to other regions, metropolitan cities or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had a higher positive (+)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AIP. This study will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policymaking related to population and urban planning.

Clustering and classification of residential noise sources in apartment buildings based on machine learning using spectr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주파수 및 시간 특성을 활용한 머신러닝 기반 공동주택 주거소음의 군집화 및 분류)

  • Jeong-hun Kim;Song-mi Lee;Su-hong Kim;Eun-sung Song;Jong-kwan Ryu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2 no.6
    • /
    • pp.603-616
    • /
    • 2023
  • In this study, machine learning-based clustering and classification of residential noise in apartment buildings was conducted using frequency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First, a residential noise source dataset was constructed . The residential noise source dataset was consisted of floor impact, airborne, plumbing and equipment noise, environmental, and construction noise. The clustering of residential noise was performed by K-Means clustering method. For frequency characteristics, Leq and Lmax values were derived for 1/1 and 1/3 octave band for each sound source. For temporal characteristics, Leq values were derived at every 6 ms through sound pressure level analysis for 5 s. The number of k in K-Means clustering method was determined through the silhouette coefficient and elbow method. The clustering of residential noise source by frequency characteristic resulted in three clusters for both Leq and Lmax analysis. Temporal characteristic clustered residential noise source into 9 clusters for Leq and 11 clusters for Lmax. Clustering by frequency characteristic clustered according to the proportion of low frequency band. Then, to utilize the clustering results, the residential noise source was classified using three kinds of machine learning. The results of the residential noise classification showed the highest accuracy and f1-score for data labeled with Leq values in 1/3 octave bands, and the highest accuracy and f1-score for classifying residential noise sources with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model using both frequency and temporal features, with 93 % accuracy and 92 % f1-score.

Evaluation of Flood Impact Variables and Development of Flood Damage Function for Residential Buildings and Contents (주거건물 홍수피해 영향인자 평가 및 손상함수 개발)

  • Choi, Cheon kyu;Kim, Gil Ho;Kim, Kyung Tak;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4-44
    • /
    • 2017
  • 홍수 피해 특성을 파악하고 영향 인자를 평가하여 홍수 피해로 인한 손실을 추정하는 것은 홍수 예방과 피해 저감을 위한 대책 마련 및 정책수립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이 중 홍수로 인한 주거건물의 피해는 일반 주민들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홍수피해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체계적인 조사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주거건물 및 내용물의 피해가 과소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거건물 및 내용물에 대해 홍수피해 정보의 체계적인 수집을 위해 주거건물 설문조사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홍수피해 정보는 주거건물과 건물내용물의 홍수피해율과 영향인자간의 관계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국내 실정에 적합한 홍수피해 손상함수를 개발하고 적용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홍수로 인한 주거건물의 피해에 영향을 주는 대표 인자는 건물내 침수심과 출입구 높이로 평가되었으며, 건물내용물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건물내 침수심, 이송잡물로 나타났다. 한편, 주거건물과 내용물에 대한 손상함수를 건물내 침수심을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통해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손상함수는 국내 홍수피해 평가 모델인 다차원법과 비교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주거건물 피해액은 다차원법이 크게 산정되었으며, 건물내용물 피해액은 손상함수가 크게 산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주거건물과 건물내용물의 홍수피해 영향인자 평가 결과는 홍수피해 저감 대책 수립 및 향후 홍수피해를 추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the Uses and Exterior Design of Balconies in Urban Housing - Focusing on the Balconies from the Ancient Times to the 19th Century with a Culture-historical Perspective - (도시주거의 발코니에서 나타나는 내부이용 및 외부표현 특성 - 고대부터 19세기 말까지의 동.서양 주거문화사적(文化史的) 고찰을 중심으로 -)

  • Jee, Soo-In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21 no.2
    • /
    • pp.133-14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es and exterior design of the balconies in urban housing from the ancient times to the 19th century. In doing so, the paper seeks to investigate the cultural identity of the balcony in urban housing.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n the urban housing the balcony space were made for protection from the heat, light and ventilation; gardening; views toward the streets, city, waterside, inner court, domain for men; breathing french air; watching ceremony, festivals and events; simple houseworks like drying, carpet cleaning and hair coloring; lever installation and fire escape. Second, as part of exterior design the typical projecting characteristic of the balconies was emphasized and they became an impotent decorative element. The monotonous facade changed to a lively design with a rhythmical sense. On the facade the effects of horizontal movement, symmetry or asymmetry from the main entrance, and the center-projection (rialto) were created. In the urban housing the balconies were used for cultural activities which supplement and enlarge the function of the interior space, and moreover the rich effects of the facade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attractive urban landscape.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of Color Plan considering the Resident's Characteristic in Housing Space (거주자특성을 고려한 주거공간 색채계획 현황조사 연구 - 거주자 특성을 고려한 주거공간 색채계획에 관한 연구 I -)

  • Kim, Soon-Mi;An, Ok-Hee;Seo, Ji-Eun
    • Proceeding of Spring/Autumn Annual Conference of KHA
    • /
    • 2009.11a
    • /
    • pp.235-23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basic data of the color plan to satisfy the internal desire of residents by considering residents's special in housing space. So we analyzed and surveyed the current condition of color plan in housing space where age units of 30~40 are liv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when the current place of color distribution was observed, ceiling and general wall showed that N(white) systems and YR of bright tone was mostly distributed. On other hand the bottom showed that the calm tone YR was mostly distributed. we could know that residents wanted to show the special of rooms by using point wall. This tendency more presented in privacy room than public room. Through this study, we could evaluate that the special of residents is not presented in color plan of the housing space where age units of 30~40 are living. So we could think that it is needed methods of color plan considered the special of residents for discriminative characteristic of the design in housing space.

  • PDF

Luminous Characteristics of Urban Street Between Day and Night (도시가로의 주.야간 빛환경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Shim, In-Bo;Kim, Bong-Kyun;Kim, Jeong-Ta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05a
    • /
    • pp.194-201
    • /
    • 2005
  • 도시에서의 빛의 연출은 도시의 축을 부각시키고, 가로의 아이덴티티를 연출함으로서 도시의 인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야간의 경관은 인공조명을 이용한 빛의 연출로 주간과는 다른 빛환경 경관을 연출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 가로 중에서 상업가로와 주거가로를 대상으로 주 야간의 빛환경 특성을 분석하여, 가로의 용도에 따른 주야간의 빛환경 차이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두 가로의 일정길이에 대하여 수평면조도, 스칼라 조도, 휘도 및 색온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결과를 용도별, 주 야별로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측정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수평면조도의 측정 결과, 주간의 주거가로에 비하여 상업가로가 28.8[%] 높게 나타났으며 야간의 경우 87.2[%] 높게 나타났다. (2) 스칼라조도의 측정결과, 스칼라조도의 특성상 전반적으로 균일한 분포를 보이며, 수평면 조도와 마찬가지로 주간에 비하여 야간에 84[%] 높은 값이 측정되었다. (3) 휘도의 측정 결과, 주간 배경에 대한 대상의 휘도비는 상업과 주거가로가 1:2이하로 나타나 조화로운 가로경관을 연출하며, 야간배경에 대한 대상의 휘도비는 상업가로는 1:17로 활기 있는 경관을 연출하고 주거가로는 1:5로 가로경관 이미지에 적당한 강조효과가 나타났다. (4) 색온도의 측정 결과, 주간의 배경은 맑은 하늘의 색온도를 나타냈으며 대상은 상쾌하고 활동적인 이미지의 색온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야간의 경우 상업가로와 주거가로 모두 나트륨 등의 영향을 받아 전반적으로 따뜻한 느낌의 색온도가 연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