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거양식

Search Result 11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한국인의 주거양식에 의한 지역구분 시론

  • 옥한석;신영근;정소희;우지은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05a
    • /
    • pp.165-167
    • /
    • 2003
  • $\ulcorner$2000년 인구 및 주택 조사$\lrcorner$ 자료에 의하면 전체 가구 중에서 단독주택 가구가 40.38%, 공동 주택 가구가 58.79%를 차지하고 있다.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등으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이 이제 우리의 일상적인 주거양식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공동주택 주거양식은 현대적인 생활양식으로 우리의 보편적인 주거형태이며 대도시뿐만 아니라 중소도시의, 심지어 면 소재지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주요한 주거 공간이 되었다. 이러한 현대적인 주거 생활은 도시화의 상징이자 도시 생활양식의 확산에 있어서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중략)

  • PDF

The Application Tendency of Western Classic Style Appeared to Residencial Space Interior Composition Elements (주거공간 실내구성요소에 나타난 서양 고전양식의 적용경향)

  • 오혜경;이지현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3 no.4
    • /
    • pp.115-12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pplication tendency about the interior elements of the western classical style which appears in Korean residential space. The examined objects were 324 pictures of 99 residential spaces from the different monthly magazines between Sep.1994 to Sep.1999.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tendency of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kind of space, it has appeared much in Iivingroom, master bedroom and dining room of apartments and houses. As for the single application in residential space, Rococo and Neo-Classic style was shown most, and the cases applied through the mixture of Renaissance style and Nee-classic style appeared most. 2. The tendency of application arroding to the interior elements of space, the wall of Nee-Classic style and the ceiling of Renaissance style, the window and door of Nee-classic style, and the furniture of Rococo style were being applied much.

  • PDF

A Case Study on Transition of plan-type by Transfiguration of Housing Complexes in Seoul Area (서울지역 집합주거단지의 변모에 따른 평면형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 Jun, Byung-Kwun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16 no.3 s.62
    • /
    • pp.46-57
    • /
    • 2007
  • 본 연구는 현대 집합주택의 개발의 실험적 토대가 되었던 1960년대 이후 1990년대 초반까지의 서울지역 아파트단지들을 중심으로 단지의 측면과 단위평면의 측면에서 시대적 변천과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여 국내 집합주거의 양상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인식하고, 국내 집합주거의 질적 향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추후 연구의 한 준거를 제시토록 한다. 이를 위하여 집합주거의 생성과 현황에 대하여 일반적인 고찰을 진행하여, 국내 주거양식이 점차로 고층, 고밀화되어가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러한 주거양식의 집합화가 점차로 정책적인 차원에서 더욱 고려되어지고 있음을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시대적 틀 속에서 고찰해 본다. 이와 함께 집합화되는 주거양식이 단위평면속에서는 어떻게 변천해 왔는지를 규모와 제실구성, 설비 및 구조방식, 내부공간 구성방식등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한국 주택의 공간구조 변천에 대하여 -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평면분석

  • No, Hyeong-Rae
    • Korean Architects
    • /
    • no.2 s.382
    • /
    • pp.60-66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6)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2 s.382
    • /
    • pp.67-73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Performance Review and Revitalizing Support Plans for Rural Residence though Current Status Survey (현황조사를 통한 농촌주거의 성능검토 및 재생지원방안)

  • Park, Junmo;Kim, Okkyue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6 no.2
    • /
    • pp.3-11
    • /
    • 2015
  • The urban has been improved houses and facilities as accelerating industry and society, while the rural area was inferior to the city. Furthermore, there was not a maintenance in time as ageing, and did not expect to rebuilding of using proper techniques and materials for financial reasons. This study find a way to make a revitalizing plan for appropriate real state. For this, perform a current status survey that 900 rural residences of 36 rural villages in Chungcheong area. As a result, Korean traditional structure is a half in residential type, and has poor residential conditions by comparison with western pattern. The structural type comprises two type that a pure structure and a mixed structure, and Korean traditional structure is a mixed structure more than a pure structure. It is considered continuous changes by a resident due to a pure structure was not satisfy various functions. It need appropriate plan to improve a rural residence for each characteristics.

경관풍수에 의한 전원주택의 입지선정: 북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 옥한석;박우평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05a
    • /
    • pp.152-157
    • /
    • 2003
  • 1980년대 초반 개별형 전원주택이 출현한 이후 1990년대 단지형 전형주택이 공급되어 전원주택형의 주거 생활 방식이 자리잡아 가고 있다. 이것은 도시생활 양식에서 전원생활 양식으로의 변화를 의미하며 도시를 벗어나 주거를 옮기는 과정, 이른바 도시 탈출 과정으로 보아야 한다. 전원주택은 대부분 양호한 자연환경과 중심도시와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입지 하는 경향이 있다(구동회,1999). 이 연구는 전원주택의 출현을 우리 사회의 주거 추세의 하나로 받아들이면서, 전원주택이 과연 어떤 곳에 입지 하는 것이 바람직할까 하는 문제 의식에서 착수하게 되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