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거문화사

Search Result 8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Examination of Urban Gardening as an Everydayness in Urban Residential Area, Haebangchon (도심주거지에 나타나는 일상문화로서의 도시정원가꾸기에 대한 고찰 - 용산구 용산동2가 해방촌을 중심으로 -)

  • Sim, Joo-Young;Zoh, Kyung-J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3 no.2
    • /
    • pp.1-12
    • /
    • 2015
  • This study explores urban gardening and garden culture in residential area as an everydayness that has been overlooked during the modern period urbanization and investigates the meaning and value of urban gardening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formations and growth in spontaneous urban residential area, Haebangchon. The result identified that urban gardening as a meaning of contemporary culture is a new clue to improving the urban physical environment and changing the lives and community network of residents. Haebangchon is one of the few remaining spontaneous habitations in Seoul, and was created as a temporary unlicensed shantytown in 1940s. It became the representative habitation for common people in downtown Seoul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the 60s and the local reform through self-sustaining redevelopment projects during the 70s through the 90s. This area still contains the image of times during the 50s to the 60s, the 70s to the 80s and present, with the percentage of long-term stay residents high. Within this context, the site is divided into third quarters, and the research undertaken by observation and investigation to determine characteristics of urban gardening as an everydayness. It can be said that urban gardening and garden culture in Haebangchon is a unique location culture that has accumulated in the crevices of the physical condition and culture of life. These places are an expression of resident's desires that seeking out nature and gardening as revealed in densely-populated areas and the grounds of practical acting and participating in care and cultivation. It forms a unique, indigenous local landscape as an accumulation of everyday life of residents. Urban gardens in detached home has retained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dwelling and the garden, or 'madang', and takes on the characteristic of public space through the sharing of a public nature as well as semi-private spatial characteristic. Also, urban gardens including small kitchen garden and flowerpots that appear in the narrow streets provide pleasure as a part of nature that blossoms in narrow alley and functions as a public garden for exchanging with neighbors by sharing produce. This paper provides the concept of re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vate-public area that occurs between outside spaces that are cut off in a modern city.

Revaluation of the Modernization in the Korean Housing Culture Since 1980s′ (1980년대 이후 한국 주거문화에 나타난 근대화의 재평가)

  • 은난순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22 no.5
    • /
    • pp.59-73
    • /
    • 2004
  • Since 1980s' Korea had a great change on the housing culture by the supply of multi-family housing stock both on the macro-social and micro-social asp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environments which were estimated its modernization, and to examine the personal life under the change of housing environments. So I would like to revaluation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zation between the 1980s' and 1990s'. Therefore references were made to various papers, reports, the statistical data, newspaper reports, advertisements and magazines during that period. As a result, this paper came to the remarks as follows: 1. The success of modernization on the housing environments since 1980s' was the Quantitative growth of housing supply by multi-family housing. In spite of this, the Quantitative growth of housing supply and the improvement in Quality like housing space per person had the characters which was 'out of valence on the division'. 2.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modem housing life by the development of housing industries could be said the improvement owing to develop of facilities and equipments. The introduction of up-to-date facilities and equipments realized the convenience and the rationality of living in the house. Although the improvement on the physical things deteriorated the modernized spaces to uniform things by commercial strategies. 3. The life in the multi-family housing which gives protection to personal privacy was settle down on the extremely individualized life without common things within the neighbors. Multi-family housing which was a production of process of modernization came true the growth in an appearance and the variety in the inside, but for the aspect of residents' everyday life in the multi-family housing, the Korean traditional relationship was collapsed and a sense of incompatibility within the residents was created.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Pungsu(Fengshui) (한국 풍수론 전개의 양상과 특색)

  • Choi, Wonsu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0 no.6
    • /
    • pp.695-715
    • /
    • 2015
  • The history of Korean Pungsu can be approached from two perspectives. One is through the history of its theoretical formation and evolution, and the other is through the history of its social and cultural formation and evolution. The former, i.e. Pungsu theories, was produced and developed by intellectuals as an elaborate system of cosmic knowledge and logic. The latter, i.e. Pungsu culture, was consumed and adopted by various social groups in their spatial life practices. It was Chinese intellectuals that originally initiated and carried out the production,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fengshui theoretical system. Intellectuals in neighboring countries adapted Chinese fengshui to their local environment, incorporating their own historical and cultural features, and practiced this transformed and indigenized form of geomancy. The evolution of Korean Pungsu can be summarized as having the following five characteristics. First, Koreans accepted fengshui from China, pragmatically adapting it to fit the Korean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 and then used it for social discourse on space. Second, Pungsu had a comprehensive and varied influence on Korean culture throughout its different historical periods. Third, combined with social thought led by differing social classes, Korean Pungsu existed as an element of social discourse. Fourth, Koreans' theoretical preferences of fengshui were for the landform method over the liqi (理氣) method. Fifth, the Bibo philosophy wa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Korean Pungsu.

  • PDF

집중안전포커스 - 안전이 뒷받침 될 때 회사가 성장한다 -(주)싸이니티-

  • Yeon, Seul-Gi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66
    • /
    • pp.15-17
    • /
    • 2011
  • (주)싸이니티는 시스템 창호와 커튼을 설계 생산 그리고 시공하는 업체다. 즉 제조업의 성격을 갖고 있는 전문건설업체인 것. 지난 1999년 설립된 이곳은 10년이 조금 넘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관련 업계에서 우수한 기술력과 시공능력으로 명성이 자자하다. 포스코건설, SK건설, 대우건설, 삼성건설 등 국내 대표 1군 건설사들이 이곳의 주 협력사일 정도. 이런 역량에 힘입어 이곳은 최근 건설불경기로 숱한 전문건설업체들이 쓰러져 갈 때도 홀로 성장을 거듭해왔다. 이곳의 이같은 거침없는 성장의 비결은 무엇일까? 그 해답은 '빈틈없는 안전관리'에서 찾을 수 있다. 우선적으로 근로자들이 안심하고 직업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기술력과 생산성을 극대화한 것이다 안전으로 주거문화의 수준을 한차원 높이는 전문건설사가 되겠다는 (주)TK이니티의 경기 안산 본사와 인천 송도 현장을 찾아가 봤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8)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4 s.384
    • /
    • pp.105-110
    • /
    • 2001
  • 중국의 원림건축은 성시건축, 주거건축, 궁궐건축, 사묘건축, 단묘건축, 능묘건축 등과 더불어 중국고전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유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어떤 건축유형도 원림건축 만큼 중국인의 정신세계와 조형세계를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은 없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중국을 정점으로 한국과 일본이 함께 일궈낸 한자문화권의 범주 속에서 세 나라가 각기 가지고 있는 건축미학의 차별성도 비교적 명확하게 담겨져 있다. 따라서 중국 고전 원림건축에 대한 이해는 최근들어 우리 건축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비교건축의 시각을 여는 발판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나아가 우리 자신의 존재가치와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고 믿는다. 이 연재는 모두 10회로 구성하였으며 먼저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기본적인 발전과정을 서술하고 이어서 그 설계원리를 규명해 보며, 다음으로 몇가지 대표적인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실천의 과정을 탐색하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오늘의 중국 현실에서 그러한 가치들이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한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9)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5 s.385
    • /
    • pp.83-88
    • /
    • 2001
  • 중국의 원림건축은 성시건축, 주거건축, 궁궐건축, 사묘건축, 단묘건축, 능묘건축 등과 더불어 중국고전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유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어떤 건축유형도 원림건축 만큼 중국인의 정신세계와 조형세계를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은 없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중국을 정점으로 한국과 일본이 함께 일궈낸 한자문화권의 범주 속에서 세 나라가 각기 가지고 있는 건축미학의 차별성도 비교적 명확하게 담겨져 있다. 따라서 중국 고전 원림건축에 대한 이해는 최근들어 우리 건축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비교건축의 시각을 여는 발판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나아가 우리 자신의 존재가치와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고 믿는다. 이 연재는 모두 10회로 구성하였으며 먼저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기본적인 발전과정을 서술하고 이어서 그 설계원리를 규명해 보며, 다음으로 몇가지 대표적인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실천의 과정을 탐색하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오늘의 중국 현실에서 그러한 가치들이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한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4)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11 s.379
    • /
    • pp.51-59
    • /
    • 2000
  • 중국의 원림건축은 성시건축, 주거건축, 궁궐건축, 사묘건축, 단묘건축, 능묘건축 등과 더불어 중국고전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유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어떤 건축유형도 원림건축 만큼 중국인의 정신세계와 조형세계를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은 없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중국을 정점으로 한국과 일본이 함께 일궈낸 한자문화권의 범주 속에서 세 나라가 각기 가지고 있는 건축미학의 차별성도 비교적 명확하게 담겨져 있다. 따라서 중국 고전 원림건축에 대한 이해는 최근들어 우리 건축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비교건축의 시각을 여는 발판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나아가 우리 자신의 존재가치와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고 믿는다. 이 연재는 모두 10회로 구성하였으며 먼저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기본적인 발전과정을 서술하고 이어서 그 설계원리를 규명해 보며, 다음으로 몇가지 대표적인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실천의 과정을 탐색하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오늘의 중국 현실에서 그러한 가치들이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한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7)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3 s.383
    • /
    • pp.100-104
    • /
    • 2001
  • 중국의 원림건축은 성시건축, 주거건축, 궁궐건축, 사묘건축, 단묘건축, 능묘건축 등과 더불어 중국고전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유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어떤 건축유형도 원림건축 만큼 중국인의 정신세계와 조형세계를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은 없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중국을 정점으로 한국과 일본이 함께 일궈낸 한자문화권의 범주 속에서 세 나라가 각기 가지고 있는 건축미학의 차별성도 비교적 명확하게 담겨져 있다. 따라서 중국 고전 원림건축에 대한 이해는 최근들어 우리 건축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비교건축의 시각을 여는 발판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나아가 우리 자신의 존재가치와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고 믿는다. 이 연재는 모두 10회로 구성하였으며 먼저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기본적인 발전과정을 서술하고 이어서 그 설계원리를 규명해 보며, 다음으로 몇가지 대표적인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실천의 과정을 탐색하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오늘의 중국 현실에서 그러한 가치들이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한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완)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6 s.386
    • /
    • pp.74-79
    • /
    • 2001
  • 중국의 원림건축은 성시건축, 주거건축, 궁궐건축, 사묘건축, 단묘건축, 능묘건축 등과 더불어 중국고전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유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어떤 건축유형도 원림건축 만큼 중국인의 정신세계와 조형세계를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은 없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중국을 정점으로 한국과 일본이 함께 일궈낸 한자문화권의 범주 속에서 세 나라가 각기 가지고 있는 건축미학의 차별성도 비교적 명확하게 담겨져 있다. 따라서 중국 고전 원림건축에 대한 이해는 최근들어 우리 건축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비교건축의 시각을 여는 발판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나아가 우리 자신의 존재가치와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고 믿는다. 이 연재는 모두 10회로 구성하였으며 먼저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기본적인 발전과정을 서술하고 이어서 그 설계원리를 규명해 보며, 다음으로 몇가지 대표적인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실천의 과정을 탐색하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오늘의 중국 현실에서 그러한 가치들이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한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3)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7 s.375
    • /
    • pp.61-65
    • /
    • 2000
  • 중국의 원림건축은 성시건축, 주거건축, 궁궐건축, 사묘건축, 단묘건축, 능묘건축 등과 더불어 중국고전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유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어떤 건축유형도 원림건축 만큼 중국인의 정신세계와 조형세계를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은 없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중국을 정점으로 한국과 일본이 함께 일궈낸 한자문화권의 범주 속에서 세 나라가 각기 가지고 있는 건축미학의 차별성도 비교적 명확하게 담겨져 있다. 따라서 중국 고전 원림건축에 대한 이해는 최근들어 우리 건축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비교건축의 시각을 여는 발판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나아가 우리 자신의 존재가치와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고 믿는다. 이 연재는 모두 10회로 구성하였으며 먼저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기본적인 발전과정을 서술하고 이어서 그 설계원리를 규명해 보며, 다음으로 몇가지 대표적인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실천의 과정을 탐색하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오늘의 중국 현실에서 그러한 가치들이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