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거기본조례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f Housing Welfare Regulations of City & Province (시·도별 주거복지 관련 자치법규에 대한 연구)

  • Rhee, Ji-Sook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27 no.6
    • /
    • pp.77-84
    • /
    • 2016
  • The increase rate of total population slows down and the ratio of the elderly population & single-household in our country is growing rapidly. Korean's housing penetration has already exceeded 100%. So people focus on the qualitative aspects of housing, namely housing welfare than the quantitative supply of housing The purpose of the study proposes the desirable direction for housing welfare policy based on the housing welfare regulations. The data for the analysis was collected through the regulations of 8 cities and 9 provinces. So housing welfare contents like housing welfare business, housing welfare center, etc. were extracted from 4 Housing Welfare Support Regulations, 5 Housing Basic Regulations and 8 Housing Regula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o stabilize housing and improve housing, the contents of housing welfare contained in related ordinance are still insufficient. Continue to be effective and housing welfare work, it shall be presented in detail in the regulations with respect to the financing plan. To those who need the housing welfare will have to be built an effective delivery system that can be delivered in a timely manner. For housing welfare for the elderly, housing welfare business information is detailed and broken down, it should be codified.

Light Pollution of Street in Residential Area (주거지역의 옥외 가로조명 광공해에 관한 연구)

  • Yi, So-Mi;Kim, Jeong-Ta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4.05a
    • /
    • pp.9-14
    • /
    • 2004
  • 우리나라의 도시 옥외조명은 1988년 서울올림픽을 전후하여 관심이 확대되었으며, 서울시는 1996년 서울시 경관조명기본방향을 설정하고 숭례문 등 각종 문화재에 옥외조명시설을 설치하기 시작하였다. 최근 옥외조명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설치하고 있는 초기단계에 있어 옥외조명을 계획하는데 반드시 고려해야하는 광공해에 대해서는 아무런 인식 없이 과다한 조명으로 광공해를 유발시키고 있다. 미국과 유럽, 일본 등 선진외국에서는 일찍부터 광공해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옥외조명조례의 제정과 가이드라인의 발표로 양호한 조명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광공해가 거주자와 보행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주거지역의 옥외가로조명의 광공해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외국의 경우 광공해가 발생하는 지역의 조명환경개선사업을 펼쳐 광공해에 따른 악영향을 줄임과 동시에 조명에너지 절약의 효과도 가져왔다. 국내의 경우 전반 확산형(Non-Cutoff) 가로등이 보행자에게는 눈부심을 일으키고, 거주자에게는 프라이버시 침해와 숙면에 방해를 가져오므로 차폐된 조명기구를 사용해 이런 영향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국내의 경우 아직 광공해에 대한 기준이나 가이드라인이 없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과 기준안 마련이 시급하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egal Policies for Activating Public Open Space in Urban Environment Improving Project of Seoul City (서울시 도시환경정비사업 내 공개공지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 Kim, Do-Kyong;Kim, Ku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9 no.5
    • /
    • pp.21-32
    • /
    • 2011
  • The district units planning suggests not only detailed standards of building as parts of the whole plan in the district but also a guideline of the arrangement, shape and pavement of the public open space, in order to move away from the rigid image of an institution which causes the formal creation of it. This triggered various problems. While the basic plan for adjustment of urban environments(established in 2005) was being reorganized in order to reflect changed conditions of the city center, the sector of public open space was subdivid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development by district. We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conditions before and after the adjustment, so as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 reorganized institution is effective for the plan of public open space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remarkable change between the basic plan and the reorganized institution in that items which were not an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building codes were established due to lack of guidelines related to public open space under the law of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al improvement. Low regulations should set up criteria for establishment from a concrete, effective microscopic aspect appropriate to the significance of public open space by the linking of public open space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ereas high regulations such as building codes should specify essential components.

A Study on an Effective Operation of Crimes Against Children (아동대상범죄 예방을 위한 실효적 방안에 관한 연구)

  • Lee, Eu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339-34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아동은 성인에 비하여 신체적 정신적으로 미성숙하며, 특히 범죄에 있어서는 스스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한 존재로서 우리 사회 전체가 함께 협력하여 범죄로부터 최우선으로 보호하여야 할 대상이다. 그리나 최근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강력범죄 및 학교 내외에서 발생하는 범죄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해마다 이에 대한 대안 및 정책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아동들은 주로 학교나 통학로, 주거지를 비롯한 주요 활동범위 내에서 범죄 피해를 당한다. 이러한 범죄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도입된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 기법 (CPTED)'은 도입 초기에 기대와는 달리 지역사회와의 고립이 초래되고, 일률적인 학교 시설 내에 CPTED가 범죄의 사각지대를 만드는 등의 부작용이 초래되고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아동대상범죄 예방활동 역시도 지역 내 소통부재 및 예산확보 문제 등으로 지역 내 시설의 차별이 생기기도 하며, 제대로 된 범죄 예방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CPTED의 가이드라인 제정 및 공간의 차이를 통한 다양한 기법의 적용방법을 모색하여 학교 내 시설에서의 아동대상범죄를 예방하고, 전 세계적 추세의 통한 아동안전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조례제정 및 기본원칙을 제언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