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거공간구성

검색결과 269건 처리시간 0.033초

청년주거의 안전 불평등 해소 및 정주성 제고를 위한 주거 욕구 우선순위 탐색: 지역차별(낙인효과)과 성별(결핍욕구)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Priorities of Housing Needs to Address Safety Inequality and Enhance Settlement Stability for Young Adults: Focusing on Regional Discrimination (Stigma) or Gender Difference (Deficiency Needs))

  • 김태형;이지원;김지연
    • 지역연구
    • /
    • 제40권3호
    • /
    • pp.3-21
    • /
    • 2024
  • 안전한 주거환경은 인간의 삶의 질을 제고하고 자아실현을 통한 지역 사회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특히, 욕구 충족을 위한 물리적·심리적 환경이자 안정감과 불안감 해소에 영향을 미치므로 지역의 정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안전은 주요한 주거 욕구에 해당하나, 현재 주택 정책은 주택 공급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경향을 보이며, 청년 1인 가구의 정주성을 높이기 위한 상위 욕구 충족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년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주거 욕구 충족과 안전 불평등 해소를 위해 범죄 위험인식에 대한 실제 범죄 발생 간의 차이가 나타나는 낙인효과 발생 지역을 도출하고 범죄 발생에 비해 범죄 위험 인식이 낮은 지역을 비교집단으로 설정하여 주거 욕구 항목의 만족도와 중요도 차이를 맨-휘트니 검정과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해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성별에 따른 주거욕구의 만족도와 중요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주거욕구의 차이를 분석한 후 정책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주거욕구에 대한 지역의 낙인효과와 성별에 따른 결핍욕구를 고려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아파트 단위주거 평면의 규모별 공간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 (An Analysis of the Unit Plan Characteristics for the Apartments at Metropolitan Seoul Area in the Context of Space Syntax Model)

  • 이동원;오도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81-8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unit floor plan characteristics of the apartments built in Seoul Metropolitan area by using the Space Syntax methodology and finally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in the unit floor plans. So the unit floor plans are analyzed using sector graphs from justified graph and computer programs based on the Space Syntax model and compared by siz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ector graphs are summarized in 14 types. The total depth of spaces is not in proportion to the plan area. And the global and local integration and intelligibility ar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area. But in the case of largest areas(265$m^2$ and above), the integration and intelligibility increase.

삼척지역 농촌재래주택의 주거유형과 공간확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ousing Type and Space Extension of the Traditional Houses in Samcheok Region)

  • 최장순;김진원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25-3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idential space composition and extension of Jeonja-jip and Dureong-jip in Samcheok reg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appears three residential plan types - Jeonja-jip with Anmaru(a room made of wooden floor), Jeonja-jip without Anmaru and Dureong-jip with Anmaru- in survey region. It was needed the extension of residential space at Jeonja-jip(a house type with two-row rooms which be composed of 田type under one roof) and Dureong-jip(a house type with inner floor which be surrounded by rooms under one roof) because of shortage of sleeping space, working space and keeping space owing to growing large family. The solutions of these shortages will be the extension of space in houses. Jeonja-jip's basic type which is the Kyup-Jip(a house type with two-row rooms under one roof) of 一 type with 6 Kans(Kan, a unit to count room to divided with four posts) is transformed and extended to 田shaped house with 11 Kans toward X-axis orientation. Dureong-Jip's basic type which is ㄱ type with 7 Kans is transformed and extended to the Sekyup-Jip with 9 Kans and the Nekyup-Jip(a house type with four-row rooms under one roof) with 12 Kans toward Y-axis orientation by insertion and addition. Jeonja-jip was developed into Kyup-Jip with front 4 or 5 Kans and side 2 Kans instead of being done into Sekyup-jip or Nekyup-Jip with insufficient day lighting and ventilation problems. Jeonja-jip and Dureong-jip were stronger than any other traditional houses in tendency to reserve Magu(cowshed) and Chikkan(toilet) in a house.

Passive Sampler를 이용한 $SO_2$ 공간농도분포 조사와 토양오염 상관성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s between Distribution of Sulfur Dioxide Concentration and Soil Environments by Using Passive Samplers)

  • 송영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1025-1029
    • /
    • 2005
  • 공단지역에서 아황산가스의 오염농도와 공간분포를 조사하기 위해 토지이용 유형별로 약 500 m 격자망을 구성하여 76개의 지점에 패시브샘플러를 설치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아황산가스를 비롯한 대기오염물질이 공업단지, 주거지 및 녹지지역의 토양에 미치는 오염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120개 지점에서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토성과 중금속 농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아황산가스 농도와 Cu 및 Pb와의 상관도는 0.05 및 0.04로 낮게 도출되었으나, 공업지역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을 경우 상관도는 0.17 및 0.08로서 각각 3.3배와 2배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 연구결과는 대기오염농도의 공간분포 및 토양오염과의 상관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공업지역, 주거지역 및 녹지지역으로 구분하여 도면에 표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인간, 동 식물이 장기간 오염환경에 노출정도와 대기위생 및 공중보건 위험성평가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한국 노인주거시설의 공간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Elderly Housing facilities in Korea)

  • 오혜경;홍이경;김현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2권6호
    • /
    • pp.133-14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atial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elderly housing facilities in Korea, in order to refer them in establishing the basic plan for elderly housing in Korea. The case study performed in this study from October 16 to October 31 is based on ten housi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KOREA. During the site visits, the interview with the custodians, survey of the space, picture taking and diagram gathering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type of floor plan was classified into ㅁ type, L type, and ㅡ type. And they hadn't an outside space called a garden(courtyard). 2. The kinds of common spaces could be grouped as the space for basic living, for leisure, and for convenient living. Also it was all common that the housing facility had common diningroom laundry room once, and activity room. The type of the common spaces was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the centralized type where the shared space wa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housing facilities, the distributed type, depending on the degree of separation between common spaces and units, and another each building type. 3. The kinds of units was classified into studio, oneroom, one bedroom and two bedroom. 4. Elevator, safety grab bar, emergency bell, and the door handle of lever or bar type were placed in these facilities.

적외선 센서를 활용한 통합형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관광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 개발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IR Sensor and Development of Tour Information Application)

  • 김종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41-543
    • /
    • 2021
  • 최근 제주도내 자동차 보유 대수와 관광객 렌트카 이용이 급증함에 따라 주거나 상가 밀집 지역에서 주차 문제는 갈수록 심화되고 있어 이에 따른 주차 공간 확보 및 기존 주차 공간의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주변 맛집 정보, 관광정보, 실시간 주차장 이용현황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도입하여 도내 무료 공영주차장 및 유료주차장의 주차 가능 공간을 실시간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웹, 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제 주차장에 설치된 적외선 센서와 CCTV 이미지를 분석하여 현재 주차장의 사용 중인 공간과 비사용 중인 주차 가능 면수를 실시간 분석하여 서비스 이용객들의 편의를 제공한다.

  • PDF

부산시 500m 메시 레벨에서의 건물용도 구성에 따른 유형화 분석 (An Analysis on the 500m - Mesh Classification based on the Combinations of Building Needs in Busan)

  • 황광일;최덕인;김다혜;양잉찬;윤소라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91-192
    • /
    • 2010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작성한 500m메시 별 건물용도별 면적 구성에 근거한 유형화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3289개의 유효한 메시를 대상으로 7개 용도군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였고, 그중 주거용, 상업용, 교육용 공간이 전체 공간의 92.4%를 차지하고 있으며, 용적율 50% 이상인 메시는 325개로 전체의 약 10% 수준이었다. 다양한 변수를 단순화하기 위해 주성분분석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클러스터분석을 수행하여 모든 메시를 5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 PDF

공동주택의 실내공간구성에 대한 확대 및 노인가족 노인의 선호 - 울산지역의 공동주택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 (Preference of the Old-aged for Interior Space Organization of Multi-family Houses - Focused on the Elderly of Multi-family Houses in Ulsan -)

  • 이춘엽;오찬옥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3-11
    • /
    • 2009
  • The ratio of old persons among the total population is rapidly increasing and the apartment has become to the representative housing type in Korea. This means that many old persons would live in multi-family houses. Therefore the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preferred characteristics of interior space organization in multi-family house by the aged. The characteristics were the number and usage of bedroom, necessity and type of dress room, type of living room, arrangement of work centers in kitchen, LDK type, the number and layout of bathroom, and type of entrance and balcony. The subjects were 122 old persons who lived in multi-family houses in Ulsan. The individual interview was carried out for collecting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the followings;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space organization in multi-family houses preferred by the elderly were three bedroom, two bathroom, DK or LDK type, open planned living room, L shape arrangement of kitchen work center, entrance connected directly to outdoor space such as elevator hall or corridor, and the balcony located in front of living room and at the back of small bedroom. Even thouth the average age of population has increased, many apartments still be planned and provided without consideration of old persons.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plan the multi-family houses for the elderly.

가상현실 기반 3차원 공간에 대한 감정적 반응 - 다른 평면 구성을 가진 1인 주거에 대한 뇌파 반응을 중심으로 - (Emotional Responses toward 3D Space based on Virtual Reality - Focus on EEG Response to Single-Person Housing with Different Plan Configuration -)

  • 명지연;전한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12호
    • /
    • pp.55-6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ffection of plan configuration on human emotion using Virtual Reality. A total of four different plan configuration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prior study and built using Virtual Reality. The EEG was measured and then calculated using FFT to measure human emotion in different plan configurations. The measurements were shown to lead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four types of brainwaves between the plan types(p<0.05).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plan configuration may exacerbate psychological disorder among single-person household and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o counteract those stress among single-person household by changing the plan configuration in the earlier designing stage.

한국전통 실내공간의 구성방법과 요소 분석을 통한 의미 고찰 - 조선조 추사고택을 중심으로 - (An evaluation of the composition and elements in Korean traditional interior space - On Choosa-Gotack in the Chosun dynasty -)

  • 천진희
    • 디자인학연구
    • /
    • 16호
    • /
    • pp.101-110
    • /
    • 1996
  • 추사고택은 조선조 상류주택의 전형적인 사례로서 실내공간의 구성방법과 요소를 분석해 본 결과 다양한 요인을 배경으로 한 분화과정 속에서 다기능을 수용할 수 있는 융통성을 가진 전형화 된 공간의 특성을 지니게 되었다고 요약할 수 있다. 계단식의 입면을 구성하는 엄격한 계층성에 의한 장소 성을 표현되는 일례가 되며, 마루와 온돌의 높이는 신분상의 위계질서와 음양사상을 나타내고 있다. 입면을 구성하는 목가구식 구조의 노출천장과 창호는 4계절의 기후변화 속에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에 적합하며, 자연미와 전통적 조형미가 어우러져 한옥 고유 미를 창조하고 있다. 추사고택에서 천장 고와 입면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치수를 조사해본 결과, 대청의 입면 적 척도는 각 부재의 치수와 함께 사용자의 인체치수와 관계가 있었다. 평면 구성상의 특징은 규격화이며, 이것은 칸의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기둥 간격 차이는 성별, 인체 치수 차이로 추측할 수 있다. 또한 1칸을 기본 모듈로 하여 규칙적인 공간 단위를 병렬로 증식시켜 확장한 것은 주인의 일상생활이 하인의 도움을 받아 이루어졌기 때문에 동선을 그리 중요하게 여기지 않은 결과이다. 추사고택 안채는 폐쇄적인 ㅁ 자형, 사랑채는 개방적인 ㄱ 자형으로 구성되어있는데, 이는 조선조의 남녀 지위차등과 내외사상, 그리고 자연 환경 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주거의 평면 구성에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가 조선시대 상류 주택 중 한 사례에 한정되었으므로, 현존하는 많은 사례 조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본 연구의 미비점이 보완되어 더욱 체계적인 연구가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