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n the 500m - Mesh Classification based on the Combinations of Building Needs in Busan

부산시 500m 메시 레벨에서의 건물용도 구성에 따른 유형화 분석

  • Hwang, Kwang-Il (Division of Mechanical and Information Engineering, Korea Maritime University) ;
  • Choi, Duk-In (Graduate School of Refrigeration and HVAC Engineering, Korea Maritime University) ;
  • Kim, Da-Hye (Dept of Mechanical & Information Eng., Korea Maritime University) ;
  • Yang, Ing-Chan (Dept of Mechanical & Information Eng., Korea Maritime University) ;
  • Yoon, So-Ra (Dept of Mechanical & Information Eng., Korea Maritime University)
  • 황광일 (한국해양대학교 기계.정보공학부) ;
  • 최덕인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냉동공조공학과) ;
  • 김다혜 (한국해양대학교 기계정보공학부 냉동공조에너지시스템공학) ;
  • 양잉찬 (한국해양대학교 기계정보공학부 냉동공조에너지시스템공학) ;
  • 윤소라 (한국해양대학교 기계정보공학부 냉동공조에너지시스템공학)
  • Published : 2010.04.22

Abstract

This study classify the every mesh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based on the building need. The number of the effective meshes is 3289, all of those meshes are databased with simplified 7 building needs. The area for residential, commercial, educational needs occupy 92.4 % among all the areas. To simplify the multiple variable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s performed before the cluster analysis. Ans as the result 5 classification are obtained.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작성한 500m메시 별 건물용도별 면적 구성에 근거한 유형화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3289개의 유효한 메시를 대상으로 7개 용도군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였고, 그중 주거용, 상업용, 교육용 공간이 전체 공간의 92.4%를 차지하고 있으며, 용적율 50% 이상인 메시는 325개로 전체의 약 10% 수준이었다. 다양한 변수를 단순화하기 위해 주성분분석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클러스터분석을 수행하여 모든 메시를 5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