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거개선

검색결과 698건 처리시간 0.021초

도심거주 고령자의 주거환경 만족도 분석: 천안시를 사례로 (Analysis of Content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among the Downtown Residents, the Aged: Taking Cheonan City for example)

  • 임준홍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14-122
    • /
    • 2015
  • 본 연구는 천안시 도심에서 생활하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충남사회지표 자료를 이용하여 분산분석, 군집분석 등 통계적 분석방법을 통해 주거환경 만족도를 분석하고, 향후 도심을 고령자가 선호하는 주거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어떤 주거환경 항목을 우선적으로 정비하여야 하는가를 제시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심에서 생활하는 고령자의 주거이동 의향은 전체 응답자의 6.9%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주거이동 의향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심에서 거주하는 고령자의 전반적인 주거환경 만족도는 6.09점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높아 도심을 고령자 친화 공간으로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성과 고졸이상, 100만원 이상의 소득자, 1세대 가족형태를 가진 사람의 도심주거환경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주거환경 요소 중 문화와 교육요인, 근린 간의 교류와 신뢰, 교통사고 등의 만족도가 낮아 이를 개선하여야 한다. 특히 우선적으로 이웃 간의 신뢰와 교류가 확대될 수 있는 커뮤니티 기반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도심주거환경에 불만족하고 있는 여성들을 도심으로 끌어 들이기 위해서는 교통사고와 범죄 등 일상생활 속에서의 안전성을 보다 강화하여야 한다.

주거환경에 대한 거주민의 만족도와 영향요인 분석 - 직방 아파트 리뷰 빅데이터와 딥러닝 기반 BERT 모형을 활용하여 - (Analysis of Resident's Satisfaction and Its Determining Factors on Residential Environment: Using Zigbang's Apartment Review Bigdata and Deeplearning-based BERT Model)

  • 권준현;이수기
    • 지역연구
    • /
    • 제39권2호
    • /
    • pp.47-61
    • /
    • 2023
  •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주거지 선택 및 이주 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으로, 도시에서의 삶의 질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최근 온라인 부동산 서비스의 증가로 주거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만족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사람들이 평가하는 내용을 바탕으로 주거환경 만족 요인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 이는 기존에 활용되던 설문조사 등의 방식보다 더 많은 양의 평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를 대상으로 온라인 부동산 서비스인 '직방'에서 수집된 약 3만여 건의 아파트 리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리뷰에 포함된 추천 평점을 토대로, 아파트 리뷰를 긍정적, 부정적으로 분류하고, 딥 러닝 기반 자연어 처리 모델인 BERT(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를 사용하여 리뷰를 자동으로 분류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후 SHAP(SHAPley Additive exPlanation)를 이용하여 분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어 토큰을 도출함으로 주거환경 만족도의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더 나아가 Word2Vec을 이용하여 관련 키워드를 분석함으로써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 개선을 위한 우선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거주자의 정성평가 자료인 아파트 리뷰 빅데이터와 딥러닝을 활용하여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긍정적, 부정적으로 자동 분류하는 모형을 제안하여 그 영향요인을 도출하는데 의의가 있다. 분석결과는 주거환경 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아파트 단지 인근 주거환경 평가, 신규 단지 및 기반시설의 설계 및 평가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제주지역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공간 선호경향분석 (Analysis of Preference of Residential Space on Residers of Public Rental Hosing in Jeiu)

  • 김태일;이용호;김수이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59-166
    • /
    • 2005
  • This study is focused on Resider's Preference of Residential Space to improve Residence Unit Plan. Three Rental Housing Complexes in Jeju which supplied by 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KNHC) were selected for more detailed Resider's Preference research, which were constructed within 5years. Questionnaire of Total 360 sheets were distributed for each Rental Housing Complexes and total 299 sheets were returned.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the followings. Generally satisfaction of environment and living area of home is not high. And also it seem that many residers want to live in housing of average 25.87 pyeong in housing scale. In view and direction of housing Especially, many residers tend to select housing that view is better than direction. With based on like this results, it is proposed housing plan's develop and political supports reflected Jeju's culture condition, life style, climate and so on.

유휴공간 활용을 통한 주거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idential-Environment Improvement with using of unused and misused space)

  • 은소진;이종국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67-17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open space in the office buildings located in urban commercial strip, in terms of its relationships to street, to building, and to order surrounding facilities. Theoretical basis of this research is that public outdoor spaces are to be the intermediate territory set between streets and a buildings. 5 commercial buildings in Seoul are selected as sample cases and they were closely analyzed in a comparative manner. Based on this comparison, several planning guidelines are suggested for the activation of the space, mainly in terms of the location of public open space in relation to street, the design techniques and devises reflecting the purpose of the space, and territorial arrangement and furniture layout, and the patterns of relationship to surrounding space and facilities.

  • PDF

커뮤니티 맵 작성을 위한 지역특성 추출과정에 관한 연구 - 광주 양림동 거점확산형 주거환경개선 시범사업을 대상으로 - (A study on characters of a district for the community map)

  • 김규리;허윤경;양병옥;김주석;이연숙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31-234
    • /
    • 2008
  • Urban redevelopment make a short term effects without consideration about resident‘s lives. so, there are many problems and planners solve the problems to improve urban redevelopment based on resident leaded direc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inherent district which is character by residents. Most of them could be explained in relation to life, religious leadership,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and democratic movement. Group interviews at a field site were carried as the main methodology by people who have an intimate knowledge of the place facts. This research has implication on a cognitive and emotional community map of residents compared to the just physical and geographical map. The places and place recognition activities and movement can be a basic foundation for residents participation in improving their housing neighborhood environment.

  • PDF

임대주택 주동계획의 사회통합적 증진에 대한 임차인 반응 연구 (A syudy on Renter's Response to Plannin of National Rental Housing for Improving Social Integration)

  • 김경연;이연숙;박민아;허윤경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02-107
    • /
    • 2008
  • The National Rental Houring has been built for solving the lack of house for the low-income group. However the national rental housing that the low-income group didn't feel aliention' we should improve the quality of National Rental hou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s for improving the social integra as the preference of Rental lived in Gwangju.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residents had marginal characteristics such as low income, the aged and were satisfied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o they want to stay there as long as they can. However, they were dissatisfied with the scale of housing, housing faciliti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mprove housing condition witch they enhance their self existence.

  • PDF

공동주택용 국내.외 감지기의 설치 및 시험 기준 비교

  • 손봉세;이채원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67-68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전체 화재발생 건수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주거공간에 대한 화재 및 인명안전의 개선 대책에 관한 기초연구이다. 주거공간은 다른 어떠한 방호공간보다 가장 높은 수준의 안전이 요구되는 소방대상물이다. 국내의 주거공간을 대표하는 공동주택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화재감시시스템이며 이를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도 감지기의 성능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감지기의 성능은 인간의 두뇌와 같은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이미 일본의 경우는 공동주택 전용의 화재감시시스템을 개발하고 기준으로 제정하여 널리 보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미국은 공동주택 전용의 화재감시시스템이 별도로 존재하지는 않지만 화재특성 및 화재하중 등에 대한 시험을 통해 다양한 방호공간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상세한 코드가 정립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동주택에 적합한 전용 화재감시시스템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연구로서 국내와 방재선진외국의 감지기 설치 및 성능을 검증하는데 필요한 설치 및 시험 기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 PDF

경주시 노후아파트의 주거환경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of deteriorated Apartment in Gyeongju)

  • 최무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09-11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deteriorated apartment in Gyeongju. We surve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seven buildings in the subject housing, the renovations of each unit and the overall environment, and the residents' perceptions. The findings show that the residents of the deteriorated apartment in Gyeongju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current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at they prefer the reconstruction to improve their environment. The results also include that the residents feel burdened with the reconstruc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ceive the approval from the local government and it is highly costly from the view points of the residents. It is recommendable to establish the logical judging criteria on the reconstruction. reuse, or renovation of the deteriorated apartment in a small local city such as Gyeongju and to offer the objective and specific programs on the basis of the established criteria for the improvemen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future.

소가구 증가에 대응한 공동주택지 지구단위계획 개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istrict Unit Plan in Apartment Housing with the Increase of 1~2 person Households)

  • 윤정중;최상희
    • 지역연구
    • /
    • 제34권3호
    • /
    • pp.29-42
    • /
    • 2018
  • 우리 사회의 인구성장이 둔화되고 가구형태도 1~2인의 소가구가 53.3%로 과반을 넘고 있어 향후 이를 주거단지에서 어떻게 계획으로 수용하여 적절한 주거공간을 만들어갈지가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가구화 증가 추이에 대해 기존의 지구단위계획이 적절히 대응하고 있는지를 고찰하고, 소가구화에 대응한 향후 지구단위계획의 요소별 개선방안과 적용성 제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6개 주거단지를 대상으로 소가구와 관련한 지구단위계획의 지침과 내용을 분석하고 문헌고찰 및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1인 가구 증가에 대응하여 다양한 주거유형의 지구단위계획상 반영이 필요한 사항들을 제안하고, 소형공동주택, 쉐어하우스, 독신자전용주거 등 1인 가구 주택특성에 맞는 가구 획지, 건축물 배치, 건축물 형태 및 외관 등과 관련한 계획요소도 제시하였다. 또한 무인택배시설, 게스트하우스 등 부대복리시설의 도입, 유치원 등 수요가 낮은 부대복리시설의 재검토 등 1인 가구 거주특성을 고려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계획요소와 방안들은 향후 공동주택의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과 운영기준 등을 작성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거환경개선사업이후 주거 환경 변화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주거환경개선사업의 물리적 환경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s in Residential Environments after Residential Environments Improvement Projects)

  • 김영화;이상홍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10호
    • /
    • pp.3-12
    • /
    • 2018
  • This research aims at analyzing the changes in residential environment after a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focusing on the analysis into the physical environment of a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and examining in what direction the changes by residents' own efforts occurred after public support, such as infrastructure. The present residence development method has becom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pulling down method and is focused on regeneration. By examining in what direction the target residence is being changed because of the development by residents' own efforts after the government's public investment at this time, this study also aims at investigating the direction to develop a guideline for residential improvement for later improvement of deteriorated residence. As for the contents of the analysis, changes in public support, such as infrastructure, and other areas afte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were compared and analyzed from the land use, street system, and condition of buildings befor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through field survey,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registered land and building data and so on. The biggest change since th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was that at the beginning of the project, the application of special provision of building laws and different financial supports led to lots of newly built buildings. Since then, their number has decreased rapidly, and in most cases, there have been some changes in part, such as changes in the use of land or repair of disposal tanks. Most newly built buildings were multi-household houses, and it has caused road capacity and parking lot capacity, etc., to be exceeded, which has worsened the pleasantness of the living environment. In addition, other problems have also appeared, for example, the lack of residence supporting facilities yet with a higher level of residential density. Regarding the changes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fte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maintenance of houses were conducted in some degree as diverse alleviation policies to improve poor residence, yet the absence of the guideline for the direction of developing the whole district has made the residence environment more dense and deteriorated. To solve these problems, in advance to a residential improvement project, specific management methods based on short-, mid- and long-term plans for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by residents' own efforts and a sustainable guideline seem to be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