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거가치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6초

Fuzzy Analytic Hierarchy Process for the Evaluation of Old Dwelling Façade Design Factor

  • Park, Jin-A
    • 감성과학
    • /
    • 제16권3호
    • /
    • pp.333-340
    • /
    • 2013
  • 생활양식이나 형태 변화에 따른 전통적인 주거건축들의 전통성, 공공성과 사유권의 균형, 계승 발전, 보존에 부가되는 공동체의 활성화와 효용성 등 환경 개선이라는 과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들 역사 경관 권역의 경관훼손 가능성이 점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적 경관의 고유한 특성과 다양성을 가질 수 있도록 전통적 주거건축의 입면디자인 속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전통적 주거건축의 입면디자인 평가"에 영향을 미친 속성을 파악하기 위해, 입면디자인 평가척도 (지붕, 창호, 기둥, 벽면, 마루, 주초석, 기단)를 기준으로 쌍대비교를 실시하여 도출된 Synthetic Evaluation Value를 Fuzzy 방법을 통해 Fuzzy Integral (Choquet Integral) value를 추정하여, 가치속성을 규명하였다. 속성 간 가중치 산정결과에 ${\lambda}$-value를 이용하여 Sensitivity Analysis를 실시하여 유효함을 검증하였다. 전통적 주거건축의 입면디자인 평가에 영향을 미친 가치속성을 추정하는데 있어 유의미한 방법론이며, 복합 가치속성을 도출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 PDF

도시지역 토지이용을 고려한 침수피해액 산정 (Estimation of Flood Damage Considering Land Use in Urban Area)

  • 탁용훈;이재광;김영도;강부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4-4
    • /
    • 2018
  • 도시의 발전으로 인해 시 도를 비롯한 시가 및 건조지역의 토지이용은 매우 복잡하게 변화되었다. 과거 농경이 주된 경제활동인 경우 주거지역은 매우 단순한 형태로 구성되었고 논, 밭, 산림 지역 등이 주를 이루었지만, 도시로 산업이 집중, 발달하고 인구가 밀집되며 주거지역, 상업, 공업, 교통지역 등 시가지역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게 변화되었다. 도시가 발달하며 주거지의 건물가치와 상업 및 공업지역의 자산, 교통 및 공공시설의 공공적 가치가 상승하였고, 침수 발생시 사유재산 및 사회적 피해가 증대되고 있다. 시가 및 건조지역은 대부분 불투수율이 높은 지역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이러한 도시에서 침수가 발생할 경우 지표수의 이동, 매설된 관거의 형상과 통수능에 의한 월류가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여, 도로 및 건물의 형태에 의해 매우 복잡한 형태로 침수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도시의 침수피해를 분석하기 위해 복잡하고 고 가치화된 도시의 토지이용 특성을 잘 반영한 침수 피해분석이 필요하고, 피해를 줄이고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치수시설의 도입에 따른 피해액 감소 및 경제성 분석이 우선시 되어 효율성과 타당성을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토지이용 특성이 반영되지 않을 경우 피해액을 다소 과소, 과대하게 산정할 수 있다. 홍수피해의 경제성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에는 다차원 홍수피해 산정방법이 있으며, 경제성 분석은 하천의 정비상태, 하도 및 관거, 제방 및 유수지 등 홍수 방지시설 등 구조적, 비구조적 대책을 모두 대상으로 하여야 하며, 인명과 재산이 집중된 도시의 경우 보다 정확한 피해액을 산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과거 침수피해가 있었던 도림천 유역을 대상으로 도시지역의 유출모의에 적합하다고 알려진 SWMM 모형을 활용하여 도시유출 해석 및 침수현상을 분석하였으며, 다차원 홍수피해 산정방법을 활용하여 주거, 상업 및 공업자산을 반영하기 우해 토지이용 특성에 따른 침수피해액을 분석하였다.

  • PDF

주거가치에 따른 코하우징 거주의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ntion to live in Cohousing According to Housing Value)

  • 조정현;홍서정;곽유미;곽인숙;최정신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23-130
    • /
    • 2006
  • This is a basic study to investigate possibility to application of cohousing model into Kore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respondents' housing value, and its influence on intention to live in cohousing. Research method used for this study was a social survey. Respondents were 214 married people residing in Seoul and its outskirts by accidential sampl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12.0 program using frequency, mean, average,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multiple regression and logit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Housing valu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named as individualism oriented housing value, tradition oriented housing value, and economy oriented housing value. Housing values were different by respondents groups. For example, individualism oriented housing value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age and housing area. Tradition oriented housing value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sex, occupation, and period of residence, while economy oriented housing value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number of family members, housing type, and home ownership. In detail, men than women, single-income family than double-income family, and detached house resident than flat resident had higher tradition oriented housing value. The younger than the elder, and Seoul resident than outskirts resident had higher economy oriented housing value. Also home owner than tenant, and the higher tradition oriented group had stronger intention to live in cohousing than others.

  • PDF

서울 근교 신도시 , 분당지역 아파트 거주자의 주거가치와 주거만족 (Housing Values and Satisfaction of the New Town Bundang Apartment Residents)

  • 조성명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77-85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quality if New Town housing environment,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design policy to elevate it.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rated to 272 homemakers living in apartment in Bundang. From 1st of May to 31st of May in 1995. Used statistical method was Frequency. Percentage. Mean, Factor Analysi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 is as follows : 1) Housing value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 convenience, beauty, sociality, education, and economy, Resident ranked first economy among housing values the second is convenience, the third beauty, the forth education, while the most unimportant value is sociality. 2) House satisfaction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 house size and plane structure, environment and facilities, interior decoration materials and facilities and building design. Residents were found to show the middle degree satisfaction on their house. 3) Housing complex satisfaction was ciassified four types : community facilities, management stage, neighborhood connection and complex facilities. Resident showed dissatisfaction on their apartment complex relatively. 4) Residents showed dissatisfaction on the interior decoration materials and facilities, local facilities and management attitude relatively.

  • PDF

도시청소년의 주거가치와 주거만족도 (Housing Values and Housing Satisfa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Adolescents)

  • 김미희;정미영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9-18
    • /
    • 2003
  •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housing satisfaction and housing values, as well as family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residence. Questionnaires are administered to 526 adolescents from the four residential areas in Kwangju. Most of the adolescents are satisfied with their housing environment, especially indoors, however, they show a lower level of satisfaction toward the appearance and organization of the unit plan. It is found that the level of the safety, comfortability and social values predicted a meaningful variance in the level of housing satisfaction. Those with a higher degree of safety and social values tend to be associated with stronger housing satisfaction, whereas those with lower comfortability values are more associated with stronger housing satisfaction. Groups with higher household incomes are mo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their housing environment. Groups living within a younger and larger house are mo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their housing environment. Also, owners tend to show a stronger degree of housing satisfaction than renters.

컨조인트 분석을 통한 공동주택 구매시 주거환경 선호도 연구 - 광주광역시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Residential Environment at the Stage of Purchasing Apartments using Conjoint Analysis - focused in Gwangju City -)

  • 이현철;박현구;고성석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7-35
    • /
    • 2009
  • With the change of construction environment, the main body of construction industry was moved from project suppliers to consumers. Accordingly in order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project suppliers have to concentrate on marketing for diversification. Thus, it is required to utilize real estate marketing from the beginning of development project to introduce 'consumer-centered marketing strategies' instead of 'supplier-centered marketing'.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at consumers consider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en selecting apartment. According to the study, when residents select their apartment in residential area, they valued those attributes with investment, location, dwelling attribute, apartment complex attribute, unit price per square meter, in order. This result will contribute to qualitative improvement of housing development project.

비주거 한옥의 제도적 지원 필요성을 결정하는 가치요인 분석 (An Analysis of Decision Factor about the Necessary for Governmental Support of non-Residential Han-ok)

  • 남상덕;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4876-4883
    • /
    • 2013
  • 본 연구는 한옥보전 구역 내에서 비주거용 한옥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비주거한옥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한 근거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비주거한옥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비주거한옥의 가치를 평가하였다. 분석에는 로지스틱분석을 활용하였으며, 비주거한옥에 대한 제도적 지원 필요성에 동의하는 경우 어떠한 가치요인을 중요하게 판단하였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주거환경이 열악한 한옥의 활용, 한옥 외관상 가치, 지역의 생활복지 서비스 제공, 관광객 수용, 상업공간 제공, 역사성 부족, 한옥에 대한 개방성 강화 등의 7개의 요인이 비주거한옥에 대한 제도적 지원 필요성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수요-공급 기반 지하철 접근성이 토지가격에 미치는 비선형적 영향: G2SFCA 적용을 중심으로 (Non-linear effects of demand-supply based metro accessibility on land prices in Seoul, Republic of Korea: Using G2SFCA Approach)

  • 강창덕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2권2호
    • /
    • pp.189-210
    • /
    • 2022
  • 세계 주요 도시는 자동차로 인한 교통 정체, 에너지 과소비, 환경오염 등을 해결하는 대안으로 대중교통을 주목하고 있다. 아울러 대중교통에 대한 쉬운 접근성이 그 이용을 높인다는 점에서 여러 연구는 대중교통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대중교통은 부동산 가치 평가와 투자 결정에도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이 연구는 대중교통 접근성에 대한 기존 접근방법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수요-공급 기반 접근성 기법으로 서울시 지하철역에 대한 접근성을 측정한다. 그 다음 그 영향을 용도별, 분위별 토지가격을 통해 분석하였다. 다층헤도닉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지하철에 대한 수요와 공급을 모두 고려한 접근성은 주거용과 비주거용 토지가격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영향은 비주거용보다 주거용에 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둘째, 총 세 개의 함수로 측정한 접근성 가운데 Exponential 함수에 의한 접근성은 주거용 토지가격에 가장 적합했으며, 비주거용 토지가격에는 Power 함수로 측정한 접근성이 가장 설명력이 높았다. 셋째, 토지 가격 분위별 영향을 보면, 주거용과 비주거용 토지가격 모두 가장 비싼 분위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분위별 가격에서도 모형적합도 측면에서 주거용은 Exponential 함수로 측정한 접근성, 비주거용은 Power 함수로 측정한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공공투자가 인근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뿐만 아니라 부동산 가치평가, 대중교통 서비스로 인한 우발이익의 회수 방안 모색, 대중교통 투자로 인한 주거비 상승 대책 마련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미래주거예측 (Prediction for Future Housing using Delphi Technique)

  • 안세윤;주한나;김소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09-222
    • /
    • 2020
  • 본 논문은 주거의 미래변화를 전망하고 대응방안을 연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델파이 기법을 통해 주거의 미래를 예측하였다. 먼저, 미래주거 예측 시기를 구분하고, 대상을 주거형태, 주거공간, 주거수요, 건축기술변화로 설정하였으며, 대상에 미치는 Impact Factor를 조사, 분석 하였다. 결과는 ① 사회적, 가치적 관점이 주거형태, 공간, 수요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며, 정치적 관점의 영향은 적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② 형태적 측면에서 고층빌딩에 다운사이징 주택 수요 증가, 기술적 측면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원격의료지원 서비스와 홈케어 실현 가능성이 높게 예측하였다. 그에 따라 ③ IoT가 미래주거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측하였으며, ④ 공유경제에 의한 코하우징, 그와 관련된 법 제정, 고층, 고밀 주택 보급으로 유지관리를 위한 서비스, 거주자 맞춤형 주거지원 혹은 임대차 시장 선진화, 건축기술 발전으로 미래형 주거확산 등이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