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간재활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4초

Sauve-Kapandji 수술 후 한방재활치료에 대한 증례보고 (A Case Report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Treatment after Sauve-Kapandji Procedure)

  • 조은별;금지혜;백동기;이정한
    •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9-59
    • /
    • 2019
  • 본 증례에서는 넘어진 후 상완골 골절 진단 하에 수술하였으나 뒤늦게 원위 요척관절 탈구로 진단되어 1차 수술 후 정복 소실되어 Sauve-Kapandji 수술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방재활치료를 약 3주간 시행하였다. 관절가동추나, 침 치료, 한약물 치료 등 한방재활치료 결과 우측 팔꿈치, 손목, 손가락 관절 가동범위, 수술부위 통증, 근력, 상지 기능 등에서 의미 있는 호전을 보였다. 본 연구는 단일 증례 보고라는 한계가 있으나, 한방재활치료가 수술 후 환자의 전반적인 경과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우울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안태규;김고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211-218
    • /
    • 2017
  • 본 연구는 부산 M병원에서 전산화 단층촬영이나 자기공명영상촬영에 의해 뇌졸중을 진단받고 입원한 뇌졸중 환자 중 이 연구의 취지를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하겠다고 서면으로 동의한 환자를 대상으로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우울 및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연구이다. 뇌졸중환자 44명을 대상으로 2016년 07월 04일부터 2016년 08월 12일까지 6주간 주 5회 1일 30분씩, 총30회기 동안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 22명과 전산화인지재활프로그램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 22명을 6주간 주 5회 30회기를 실시하였다. 중재 전과 후의 우울은 우울척도 검사(BDI)를 통해 알아보았고, 인지기능은 신경학적 인지상태 검사(NSCE), 일상생활활동은 한국판 수정바델지수(k-MBI)를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실험군에서는 우울감의 감소, 인지기능의 증진 및 일상생활활동의 증진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대조군의 경우 우울감,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이 실험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진하지는 않았다는 결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우울,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임상에서 뇌졸중 환자의 우울, 인지, 일상생활활동을 위한 치료로서 전산화인지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신경되먹임 뇌파 훈련과 컴퓨터보조 인지 재활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와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and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on Cognition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in PostStroke.)

  • 정민우;심선화
    • 재활치료과학
    • /
    • 제1권1호
    • /
    • pp.57-70
    • /
    • 2012
  •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신경되먹임(Neurofeedback; NFB)을 통한 뇌파 훈련과 컴퓨터보조 인지 재활(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CACR)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뇌졸중 후 3개월에서 1년 이내이며, 경기도 소재 병원에서 입원치료중인 환자 44명을 NFB군(14명)과 CACR군(14명), 대조군(16명)의 세 그룹으로 배치시켰다. NFB 훈련과 CACR 훈련은 6주간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사전, 사후 평가기간을 포함하여 총 9주간 연구를 진행하였다. 측정은 인지, 상지 기능을 측정하였으며 훈련 전후와 그룹간의 인지, 상지 기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대상자들의 훈련방법에 따른 인지기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형 간이정신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 MMSE-K) 총점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NFB군은 실험전 16.92 점에서 실험 후 20.50 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CACR군은 실험 전 17.85 점에서 실험 후 22.14 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대조군도 실험 전 18.62 점에서 실험 후 19.25 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사후검정 결과 실험방법 간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상지기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뇌졸중 상지 기능인 뇌졸중 상지 기능 검사(Manual Function Test; MFT) 총점을 분석한 결과 상지운동 영역에서 NFB군은 실험 전 4.64 점에서 실험 후 5.50 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CACR군은 실험 전 3.92 점에서 실험 후 5.35 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대조군도 실험 전 3.68 점에서 실험 후 4.75 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사후검정 결과 실험방법 간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는 NFB 훈련과 CACR 훈련, 전통적 재활훈련 이후 인지기능과 상지 기능의 향상을 제시하였으며 앞으로 각 개인에게 적절한 훈련방법을 적용한 NFB 훈련과 CACR 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프로토콜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신경가소성 원리를 이용한 강제유도운동치료에 대한 고찰: 경직성 편마비형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A Review of the Plasticity and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 Children With Spastic Hemiplegic Cerebral Palsy)

  • 조상윤
    • 재활치료과학
    • /
    • 제2권1호
    • /
    • pp.13-23
    • /
    • 2013
  • 강제유도운동치료는 최근 신경재활 분야에서 가장 주목 받고 있는 상지 재활 치료방법 중 하나로 하루 6시간씩 주 5일 2주간 강도 높은 훈련을 환측 팔에 제공하고, 건측의 사용을 억제하기 위해 깨어 있는 시간의 90%를 구속하는 치료방법이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강제유도운동치료의 임상적 한계를 바탕으로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가 많이 적용되고 있다.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는 하루 5시간씩 주 5일, 10주간 건측을 억제하고 하루 30분간 손상측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이는 일상생활 수행 평가인 소아 운동 활동 측정표(Pediatric Motor Activity Log; PMAL)와 상지 질적 평가(Quality of Upper Extremities Skills Test; QUEST), 환측의 상지 기능을 평가하는 멜버른 상지 평가(Melbourne Assessment of Unilateral Upper Limb Function; MAULF), 환측과 건측의 양손 협응을 보기 위한 Assisting Hand Assessment(AHA)를 통해 강제유도운동치료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본 고찰에서는 강제유도운동치료 적용 후, 신경학적 변화를 살펴본 연구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경직성 편마비형 뇌성마비 아동에게 강제유도운동치료 또는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적용한 결과, 신체부분의 움직임의 양에 따라 대뇌피질에 나타나는 신체 부위의 크기가 변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반대측 운동피질의 활성을 증가시켜주고, 동측 피질의 활성을 감소시켜 신경재조직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강제유도운동치료는 신경가소성의 원리를 이용한 상지 재활 치료 방법이라 하겠다.

뒤십자인대 및 뒤가쪽 복합체 동반 수술 후 재활운동에 따른 기능회복 차이 (Differences in Functional Recovery according to Exercise Rehabilitation after Posterior Cruciate Ligament with or without Posterolateral Complex Reconstruction)

  • 김현목;하성희;공두환;김창국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27-335
    • /
    • 2022
  • 본 연구는 뒤십자인대 단독 재건술과 뒤가쪽 복합체 동반 수술 후 재활운동에 따른 기능회복의 차이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뒤십자인대 단독 재건술을 받은 환자 16명과 뒤가쪽 복합체 동반 수술을 받은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24주간 재활운동에 따른 무릎관절 인대 이완, 주관적 설문지, 등속성 근 기능의 변화를 수술 전, 수술 후 12주, 24주에 걸쳐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뒤십자인대 단독 재건술군과 뒤가쪽 복합체 동반 수술군의 무릎관절 인대 이완 차이(p = 0.048), IKDC 주관적 점수(p < 0.001), Lysholm 무릎 점수(p < 0.001), Tegner 활동 점수(p = 0.027), 등속성 폄 근력(p = 0.040)은 기간에 따른 통계적 차이가 나타났으나 집단 및 상호작용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p > 0.05). 등속성 굽힘 근력 결손률은 기간, 집단, 상호작용 효과 모두 차이가 없었다(p > 0.05). 본 연구 결과, 뒤십자인대 단독 재건술과 뒤가쪽 복합체 동반 수술 후 24주간의 재활운동은 기능회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가상현실 기반의 일상생활활동 훈련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및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과 : 예비연구 (Effects of Virtual Reality-Bas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Training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Rehabilitative Motivation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A Pilot Study)

  • 문종훈;전민재
    • 재활치료과학
    • /
    • 제8권4호
    • /
    • pp.41-51
    • /
    • 2019
  • 목적 : 본 예비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의 일상생활활동 훈련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및 재활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7명의 외상성 뇌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중재 전-후 설계를 수행하였다. 대상자들은 하루 30분, 주 2~3회, 4주간 가상현실 기반의 일상생활활동 훈련을 수행하였다. 중재 전과 후로 평가를 수행하였다. 측정은 수정바델지수, 기능적 독립척도(인지), 의지 설문지가 평가되었다. 중재 전과 후의 변화는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으로 분석하였고, 상관관계는 스피어만 상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 중재 후, 외상성 뇌손상 환자는 한국판 수정바델지수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기능적 독립척도(인지)와 재활동기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p>.05). 기능적 독립척도(인지)는 재활동기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p<.05, r=.755). 기능적 독립척도(인지)의 사회인지영역은 재활동기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p<.05, r=826). 결론 : 가상현실 기반의 일상생활활동 훈련은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사회인지와 재활동기의 개선여부가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

공압운동기기의 하지 슬관절 운동 시 재활운동 효과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Validation of Exercise Effect in Rehabilitation during Knee Extension of the Lower Limbs using Pneumatic Exercise System)

  • 이호준;강승록;김경;정구영;유미;김정자;권대규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1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공압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공압용 슬관절 운동시스템을 개발하였고, 재활운동 시 운동효과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피험자는 평소 운동을 주 1회 이하로 실시하며 슬관절 신전과 굴곡에 이상이 없는 대학생 수준의 20대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방법은 기존의 유압식 슬관절 운동장비와 개발된 운동시스템을 이용하여 하루 12회씩 3세트의 슬관절 신전 및 굴곡운동을 실시하고, 주 3회 실시하며 실험은 총 4주간 반복되었다. 운동부하 프로그램은 유압식의 수동형 운동부하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의 능동형 운동부하로 나누어 제공하였다. 운동부하 프로그램에 따른 실시간 근육활성 패턴과 운동 전 후 근육활성도를 비교함으로써 재활운동에 대한 운동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수동형 운동부하보다 능동형 운동부하에 보다 높은 근육활성도를 이끌어 냈으며 운동 4주 후 더 큰 근력증진 효과를 나타냈다. 장비 중심의 운동부하 보다 사용자 중심의 운동부하가 더 효과적으로 근력을 증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재활환자나 노약자들에게 안전하고 효율적인 재활운동프로그램으로 활용 될 것이며 또한 재활장비에 적용되어 재활치료관련 종사자들에게 보다 쉽고 편리한 재활운동처방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재활승마 프로그램 참여가 자폐성 장애인들의 수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Participation in the Rehabilitation Horseback Riding Program on Sleep for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손성민;전병진
    • 재활복지
    • /
    • 제21권4호
    • /
    • pp.195-208
    • /
    • 2017
  • 본 연구는 자폐성 장애인들의 수면 문제와 수면 패턴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수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지적장애인 거주시설에서 치료적 접근으로 적용 가능한 재활승마 프로그램을 규칙적으로 제공하여 대상자들의 수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자폐성 장애인들의 취침시간, 기상시간, 총 수면시간, 수면 중 깨는 빈도를 분석하여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경기도 Y시 지적장애인 거주시설에서 거주하고 있는 자폐성 장애인 10명이며, 2015년 03월 01일부터, 05월 31일까지 총 12주간 재활승마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재활승마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수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면 평가지를 통해 취침시간, 기상시간, 총 수면시간, 수면 중 깨는 빈도를 조사하였으며, 기술통계, 프리드만 검정(Friedman)을 실시하여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취침시간이 빨라졌으며, 총 수면시간이 증가하였고, 수면 중 깨는 빈도가 감소하여 재활승마 프로그램이 대상자들의 수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재활승마 프로그램 적용이 참여 대상자들의 수면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자폐성 장애인들에게 시설 내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재가 뇌졸중 환자 가족의 주간재활간호 서비스 요구와 관련요인 (The Need for Rehabilitation Day Care Program Service of Stroke Survivor's Family)

  • 서문자;김금순;김인자;조남옥;최희정;정성희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07-218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basic data required to plan and develop Rehabilitation Day Care Program for the stroke survivor's family in Korea. The subjects comprised of 92 stroke survivor's family who discharged from 4 hospitals in Seoul during the past 2 yea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3, 1998 to September 18, 1998, through interviews with questionnaires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and service need of rehabilitation day care program at the outpatient clinics by trained nursing graduates.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10.0 program.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the general need of rehabilitation day care program of stroke survivor's family was 3.10(range 1-4). The highest need among the service categories of the rehabilitation day card program was self-care and restorative activities category(3.30), and health services referral category, recreation category, psychosocial activities category in order. The needs of each category are as follows. In the health services referral category, the need for dental examination and medical examination were highest, followed by the need for physical 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In the psychosocial activities category, the need for family counselling was highest. In the self-care and restorative activities category, the need for ROM exercise training was highest, followed by bowel training, and ambulation training. 2. The need of family for rehabilitation day care program service displayed a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education, ADL, and the level of depression, and a reverse correlation with age, illness intrusiveness, depression, knowledge, subject and object burden and relationship with stroke survivors. 3. The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following results. For the need for rehabilitation day care program service, 22.6% of the variance was initially explained by level of family's knowledge about caring method for stroke survivors, 8.8% was the level of subjective burden and 5.4% was relationship with stroke survivors. In conclusion, above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to develop stroke survivors' rehabilitation day care program.

  • PDF

재가 뇌졸중환자의 주간재활간호 프로그램 서비스 요구조사 (The Need for Rehabilitation Day Care Program Service of Stroke Survivors)

  • 정성희;서문자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9-44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basic data required to plan and develop Rehabilitation Day Care Program for the stroke Survivors at home in Korea. The subjects comprised of 118 stroke survivors who discharged from 4 hospitals in Seoul during the past 2 yea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3, 1998 to September 18, 1998, through interviews with questionnaires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activities of dally living, depression and service need of rehabilitation day care program at the outpatient clinics by trained nursing graduates.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program.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of the general need of rehabilitation day care program of stroke survivors was 2.78(range 1-4). The highest need among the service categories of the rehabilitation day care program was self-care and restorative activities category, and health services referral category, recreation category, psychosocial activities category in order. The needs of each category are as follows ; 1) In the health services referral category, the need for speech therapy was highest, followed by the need for physical 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2) In the psychosocial activities category, the need for self-help group was highest. 3) In the self-care and restorative activities category, the need for bathing was highest, followed by bowel training, and ambulation training. 4) The need for the recreation category was 2.62. 2. Among the need for the effect related to the utilization of day care program, the need for survivors'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highest and was followed by the need for caregiver's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following results ; 1. The need for rehabilitation day care program service displayed a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education, ADL, and the level of depression, and a reverse correlation with age. 2. The need for the effect related to the utilization of rehabilitation day program displayed a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education, ADL, and the level of depression. The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following results : 1. For the need for rehabilitation day care program service, 28.4% of the variance was initially explained by one variable, level of depression. The level of depression plus two variables, survivors' age and ADL, explained 34.2% of the variance in the need for rehabilitation day care program service. 2. For the need for the effect related to the utilization of rehabilitation day care program, 12.4% of the variance was initially explained by one variable, level of depression. The level of depression plus one variable, level of education, explained 20.4% of the variance in the need for the effect related to the utilization of rehabilitation day care program. In conclusion, above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when we are planning to develop stroke survivors' rehabilitation day care progra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