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좌골신경 손상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2초

Effects of swimming on functional recovery and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mRNA expression after sciatic crushed nerve injury in rats

  • ;;;김창주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6권2호
    • /
    • pp.128-139
    • /
    • 2004
  • 말초신경은 외상이나 질병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손상되기 쉬우며, 손상의 정도가 심하거나 치료가 지연되는 경우에는 심각한 기능 소실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영이 말초신경손상후 운동기능의 회복과 뇌유인성 신경영양인자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mRNA의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 좌골신경에 압박 손상을 가하고 수영을 적용한 후 보행궤적분석 (walking track analysis)과 역전사연쇄반응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좌골신경 압박손상된 쥐는 특징적인 보행패턴을 나타내어 좌골신경기능지수 (sciatic function index, SFI)가 현저히 낮아졌으며, BDNF mRNA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좌골신경 압박 손상후 수영을 한 쥐에서는 SFI가 현저히 향상되었으며, BDNF mRNA의 발현은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말초신경손상후 수영이 BDNF mRNA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기능 회복을 촉진시키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 PDF

개에서 Chloramphenicol주사에 의한 좌골신켱손상시의 치료효과의 비교 (Comparison of Therapeutics on Chloramphenicol Injection-induced Sciatic Nerve Injury in Dogs)

  • 이주명;연성찬;권오경;남치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78-385
    • /
    • 1998
  • Chloramphenicol주사에 의한 좌골신경손상을 유발한 후 Prednisolone을 이용한 약물처치군, 전침군 및 전침과 약물을 병용한 군에서 각각 회복속도를 비교하였다. 정상보행 횟수, pinching을 통한 감각신경의 통감반응,그리고 병리조직소견 등을 죠사한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Enrofloxacin, cefazolin, cephalexin, penicillin 등의 좌골신경주위 주사게 서는 신경마비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chloramphenicol을 주사할 경우에는 좌골신경손상으로 인한 편측성 후지마비가 유발되어 knuckling 반응을 보였다. Chloramphenicol을 투여한후 좌골신경손상에 대한 각 처치에서 정상보행 횟수는 8-12주까지는 침술처치군이 약간 중가하 였으나, 처리군간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기간동안 chloramphenicol 에 의한 신경손 상에 대한 각 처치군별 병리조직 소견은 호전양상이 관찰되지 아니하였다.

  • PDF

손상된 흰쥐의 좌골신경에 저출력 레이저 조사후 전기생리학적 변화 (Electrophysiological Changes after Low-Power Infrared Laser Irradiation on Injured Rat Sciatic Nerves)

  • 배춘식;신수범;김권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4-119
    • /
    • 2006
  • 저출력 적외선 레이저가 손상된 말초신경의 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의 양측 좌골신경에 압궤손상을 준 뒤, 레이저 조사 기간에 따라 1, 3, 5 및 7주군으로 나누어 손상된 좌골신경의 신경전도속도와 진폭을 측정하여 신경재생의 정도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좌골신경전도속도 검사에서 압궤손상 유발후에 손상전보다 유의하게 전도속도가 지연되었으나, 레이저를 조사한 실험측은 치료후 3주에 현저하게 신경전도 속도가 증가하였다. 좌골신경 진폭 검사에서 압궤손상 유발후에 손상전보다 유의하게 진폭이 감소하였으나, 레이저를 조사한 실험측은 치료후 3주에 복합근 활동전위의 진폭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저출력 레이저 조사는 손상된 좌골신경의 기능회복에 있어, 주로 손상 초기의 회복속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되는 바, 향후 말초신경 손상의 재활치료에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손상된 말초신경의 재생에 미치는 전자침의 효과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on the Regeneration of Injured Peripheral Nerve)

  • 등영건;김동희;캉송젠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1호
    • /
    • pp.1-8
    • /
    • 2002
  • 손상된 말초신경이 정상상태로 회복되는데 침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좌골신경을 인위적으로 손상시킨 후 침을 처리한 군 (AG)과 자연적으로 치유된 군 (CG)의 좌골신경내의 유발전위 증가율, 척수내 효소활성도의 변화 및 좌골신경의 미세구조를 비교.관찰하였다. 유발전위 증가율은 CG에서보다 AG에서 높았고, acid phosphatase 활성도는 1CG와 2AG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정상상태로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손상된 좌골신경의 미세구조적 변화는 CG보다 AG에서 높은 회복율을 나타내었으며 단지 AG에서만 좌골신경 주위에 지방조직이 발달되어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상과 같이 손상된 말초신경이 정상상태로 회복되는 속도는 전자침을 처리한 군에서 높았으며, 특히 다른 치료기간보다 초기시기에서 침의 효과가 매우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좌골신경 손상 후 운동이 쥐의 축색 재생과 성장관련 단백질(GAP-43)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ercise on Axonal Regeneration and Growth-associated Protein (GAP­43) Expression Following Sciatic Nerve Injury in Rats)

  • 서태범;윤성진;김경태;윤재석;윤진환;박성태;한인선;남궁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86-491
    • /
    • 2005
  • Growth-associated protein (GAP-43)은 손상된 신경 재생 시 axonal growth를 확인할 수 있는 가장 널리 알려진 단백질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좌골신경 손상을 준 쥐에 저강도 운동 수행 후 좌골신경에서 발현되는 GAP-43 단백질의 양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손상된 부분으로부터 신경섬유의 재생 정도를 조직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운동이 말초신경 손상을 가한 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CAP-43의 정량적인 분석은 western blotting을 통해 확인하였고, 좌골신경의 조직학적인 분석은 immunofluorescence staining과 anterograde로 DiI 주입, 척수 내의 motor neuron은 retrograde로 DiI를 주입 한 후 형광현미경에서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좌골신경이 손상된 쥐에게 운동을 수행시킴으로써 CAP피3단백질이 비운동 그룹보다 더 많은 양이 발현되고, 손상된 부위에서 재생하는 신경섬유의 길이와 양이 더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운동을 수행한 그룹에서 DiI에 염색된 motor neuron의 수가 더 많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운동이 좌골신경이 손상된 쥐의 재생을 촉진시킬 것으로 생각된다.

슬근 좌골 결절 견열 손상의 지연 수술후 발생한 좌골신경 손상 - 증례 보고 - (Sciatic Nerve Injury Following a Delayed Surgical Procedure for the Hamstring Muscle Avulsion from the Ischial Tuberosity - A Case Report -)

  • 김휘택;류총일;윤평주;이종서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5-78
    • /
    • 2002
  • 슬근의좌골결절부착부 견열손상은스포츠인구의증가와군대훈련을받고있는 젊은 남자에게 간혹볼수있는손상이며 대부분은젊은성인 특히 운동선수에게주로발생한다. 이는 슬관절이신전된상태에서고관절이 과도히굴곡되면슬근에강력한 긴장을 일으켜야기된다. 조기에진단하여 견열된 근육을 좌골에 부착시키는 수술적 치료로 기능을 회복시키고 기형을 교정할수있으나진단과치료가지연되면기능적으로나임상적으로양호한결과를얻기어렵다. 좌골결절에서슬근견열골절의수술적치료후생길수있는합병증은이소성골형성과고정실패외에크게알려진것이없으며, 특히좌골신경손상은보고된적이없다. 저자들은수상후3개월된슬근의좌골결절부착부파열을수술적치료한후좌골신경손상을경험하여보고하는바이다.

  • PDF

화타협척혈 침자극에 의한 손상 말초신경의 재생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f the Effects of Acupuncture Stimulation at Huatuo Jiaji(EX B2) Points on Axonal Regeneration of Injured Sciatic Nerve in the Rats)

  • 김대필;박영회;금동호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9-61
    • /
    • 2008
  • 목적 : 좌골신경 압좌손상으로 유발된 쥐의 모델을 이용하여 손상된 말초신경의 재생효과에 관한 침자극 효과를 세포분자학적, 조직학적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아울러 손상 좌골신경을 지배하는 척수신경근과 가까운 부위 경혈자극과 좌골신경이 지배하는 말초부위 경혈자극과의 침자극 효과를 비교 연구하였다. 방법 : 한쪽 좌골신경에 압좌손상을 유발 한 실험쥐들을 1주, 2주로 나눈 뒤 각각에 대해 격일로 1주군은 3회, 2주군은 6회의 침자극을 시행하였다. 손상 좌골신경의 재생효과를 비교실험하기 위해 정상군, 압좌손상만을 유발한 실험군, 침자극 군으로 나누었다. 침자극 군 중 한 군은 손상신경을 지배하는 척수신경근에 가장 가까운 2개의 화타협척혈(EX B2)에 자침(근위부 자극군)하였고, 다른 한 군은 말초부위에 위치한 족삼리혈(ST 36)과 위중혈(BL 40) 2곳에 자침(원위부 자극군)하였다. 실험 후 각각의 조직을 분리하여 Western blotting 혹은 Hoechst staining으로 Gap-43, Cdc2, Cdk2, Erk1/2 단백질을 분석 및 좌골신경의 각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Retrograde tracing을 통해 L5의 DRG와 척수에서 말초신경 재생 효과를 관찰하였고, Immunofluorescence staining을 통해 신경돌기 가지의 신장 정도를 파악하였다. 결과 : 좌골신경 손상 7일된 실험쥐의 근위부와 원위부 침자극군에서 GAP-43와 Cdc2 단백질수준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Cdk2 단백질수준은 압좌손상 실험군에서 강하게 증가하였지만 침자극군과 비교해서 별다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hospho-Erk1/2 단백질수준은 침자극군에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손상 7일과 14일 된 실험쥐의 손상 원위부에서 슈반세포 수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근위부 침자극군에서 더욱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Retrograde tracing을 이용한 검사 결과 침자극군에서 L5의 DRG와 척수의 염색 세포 수가 증가된 것으로 나타나 침자극이 축삭재생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L5의 DRG 감각신경의 신경돌기 가지 신장정도 및 GAP-43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측정한 결과 근위부 침자극군에서 효과적으로 GAP-43 단백질의 발현 및 신경돌기 가지가 신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실험결과 침치료가 손상 좌골신경의 재생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여지며, 특히 손상된 좌골신경을 지배하는 척수신경근 주위 화타협척혈에 대한 침자극이 말초부위의 침자극에 비해 신경재생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피신경전기자극과 전침자극이 흰쥐 좌골신경 압좌손상 후 척수내 c-fos 발현과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and Electroacupuncture on C-fos Expression in Spinal Cord and Functional Recovery After Rat Sciatic Nerve Crush Injury)

  • 이현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87-195
    • /
    • 2009
  • 본 연구는 흰쥐를 대상으로 좌골신경 압좌 손상 유발 후 경피신경전기자극과 전침자극을 적용하고 진통효과와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동물은 경피신경전기자극군을 적용한 TENS군, 전침자극군을 적용한 EA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하였고, 각각의 군은 전기자극 적용기간에 따라 1일군, 7일군 및 14일군으로 나누었다. 경피신경자극과 전침자극을 적용한 결과,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통각신경활성의 지표로 이용되는 c-fos 발현의 감소, 발도피지연시의 증가, 좌골신경기능지수의 증가를 통해 전기자극이 말초신경 손상에서 통증억제와 기능회복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피신경전기자극군과 전침자극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운동이 좌골신경 손상 F344쥐의 Neurotrophins, BDNF, NT-3, GAP-43 단백질 발현과 축삭재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ercise on Neurotrophins, BDNF, NT-3, GAP43 Protein Expression and Axonal Regeneration after Sciatic Nerve Injury in F344 Rats)

  • 윤진환;서태범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64-47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흰쥐의 좌골신경을 손상시킨 후 트레드밀 운동을 적용하여 신경돌기 성장과 좌골신경의 축삭 재생 및 신경성장 인자 발현 그리고 신경기능지수의 변화를 연구했다. 본 연구결과 좌골손상 후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한 그룹이 비운동군에 비해 축삭재생이 촉진되었고, 원위부의 좌골신경에서도 NGF, BDNF단백질 발현이 상당히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좌골신경지수를 검사한 결과에서도 운동을 실시한 흰쥐가 비운동 흰쥐에 비해 기능적 회복이 상당히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좌골손상 후 운동의 실시가 좌골신경의 축삭재생 촉진과 신경영양인자의 발현증가를 통해 기능적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신경 손상 후 환측의 동작분석을 통한 충격파가 신경재생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hock Wave on Nerve Regeneration in Motion Analysis of Affected Side after Nerve Injury)

  • 이중호;최영덕;성연범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533-540
    • /
    • 2019
  • 본 연구는 체외 충격파 치료를 이용하여 신경 손상 흰쥐의 신경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체중이 230~280g고 생후 6주의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 30마리를 사용하였다. 무작위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좌골신경 손상 후 체외 충격파 치료를 받는 실험군(n=15)과 좌골신경 손상 후 체외 충격파 치료를 받지 않는 대조군(n=15)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체외충격파 치료를 적용하기 위해서 체외 충격파 치료기(OPTIMUS, SALUS TALENT 3, Korea)를 이용하였으며 낮은 출력(low intensity)을 이용하여 오른쪽 후지의 좌골신경 압좌 부위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트피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환측 후지의 입각기 시간과 보폭거리를 측정하였다. 환측 후지의 입각기 시간과 보폭거리의 그룹 간 변화량 비교에서 체외 충격파 치료를 적용한 실험군과 체외 충격파 치료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 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체외 충격파 치료는 신경재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