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종 동정

검색결과 2,312건 처리시간 0.031초

보리등겨로 제조한 메주의 향기성분 (Flavor Components of Barley Meju manufactured with barley bran)

  • 최웅규;손동화;권오준;이은정;곽동주;권오진;정영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3호
    • /
    • pp.196-201
    • /
    • 2000
  • 시금장 대량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보리메주의 발효기간에 따른 향기성분을 조사하였다. pH는 발효기간에 따라서 pH $5.2{\sim}5.6$로 별차이가 없었다. L값과 b값은 발효기간이 지남에 따라서 점차 감소하였으며, a값은 발효 5일째까지는 점차 증가 하였으며 15일차이후에는 점차 감소하였다. 보리메주에서 분리 동정된 향기성분은 총 75종이었다. 관능기별로는 aldehyde와 ketone류가 각각 10종이 동정되어 다수를 차지하였고, acid와 phenol류가 각각 9종, alcohol류와 hydrocarbon류가 7종, ester류는 6종, pyrazine류는 3종, 질소함유화합물과 furan류가 각각 2종, 그리고 기타 11종이 동정되었다. 함량별로는 ethyl acetate가 $67.8{\sim}89.1%$로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였으며, hexadecanoic acid($1.21{\sim}12.00%)$, tetramethylpyrazine($0.06{\sim}12.30%$) 등의 순으로 많았다.

  • PDF

한국미기록 컵히드라충류 3종 (Three New Records of Thecate Hydroids from Korean Waters)

  • Jung Hee Par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4권1호
    • /
    • pp.59-66
    • /
    • 1998
  • 안면도, 거제도 및 제주도산의 동정된 컵히드라충류 가운데 3종, 토톤혹히드라(Obelia tottoni), 다역테히드라(Sertularella polyzonias), 부푼주름컵테히드라(Symplectoscyphus turgidus)가 한국 미기록종으로 판명되어 재기재하고 보고한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동정된 한국산 컵히드라충류는 8과 109종 6아종이 된다.

  • PDF

한국산 Synaphobranchidae과 어류 1 미기록종, Dysomma anguillare (First Record of Shortbelly Eel, Dysomma anguillare(Synaphobranchidae, Anguilliformes) from Korea)

  • 이충렬;김용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3-207
    • /
    • 2000
  • 1996년 우리나라의 서해연안에서 채집된 뱀장어목 어류 1종을 동정한 결과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서식이 확인되지 않았던 Synaphobranchidae과에 속하는 Dysomma anguillare Barnard로 동정이 되었다. 본 종은 외부 형태적으로 D. ophisthoproctus와 유사하나, 상하악의 앞부분은 근육질의 작은 돌기를 가지며, 눈이 퇴화되었고, 체장은 아주 짧고 꼬리가 매우 길며, 항문이 가슴지느러미의 끝 아래에 위치하고 비늘이 없는 점 등이 특징적이다. 본 종은 체장이 짧고 꼬리가 길다는 특징에 따라 한국명을 긴꼬리장어과, 긴꼬리장어속, 긴꼬리장어로 명명하였다.

  • PDF

Aspergillus oryzae 누룩으로 담금한 탁주 술덧의 발효 과정 중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Aspergillus oryzae Nuruks.)

  • 이택수;한은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66-372
    • /
    • 2001
  • Aspergillus oryzae균을 파종하여 만든 누룩으로 담금한 탁주 술덧의 발효과정 중 휘발성 향기성분을 GC와 GC-MS를 사용하여 분석 동정한 결과 ester 24종, alcohol 21종, acid 10종, aldehyde 9종, 기타 4종 등 68종의 향기 성분이 동정되었다. 동정된 향기성분 수는 담금일에 ester 13종, alcohol 12종을 비롯한 총 36종이었으나, 발효 2일에 ester 10종, alcohol 8종을 포함한 29종이 추가 검출되어 65종으로 증가되었다. 발효 12일에는 68종으로 향기 성분수가 최대에 달하였다. ethanol, 3-methyl-1-butanol, 2-methyl-1-propanol, benzeneethanol등 alcohol류 12종, ethyl acetate, ethyl caprylate, ethyl butyrate 등 ester류 13종, acetaldehyde, isobutyl aldehyde등 aldehyde 4종, pentanoic acid , acetic acid등 acid 6종 등 총 35종은 발효 전과정을 통하여 검출되었다. 향기 성분의 면적비율은 ethanol이 $79.86{\sim}89.54%$로 발효 전기간을 통하여 탁주 술덧에서 타 성분 보다 월등히 높았다. ethanol을 제외하고 발효 전과정을 통하여 면적비율이 높은 성분은 ethyl caprylate, 3-methyl-1-butanol, benzeneethanol이었다. 이외 발효기간에 따라서 2-methyl-1-propanol, 1-hexanol, 2,3-butanediol(D.L), 1-dodecanol, 2-phenylethyl acetate, ethyl acetate, monoethyl butanoate, diethyl succinate, ethylbenzoic acid, acetic acid, isobutylaldehyde등의 성분도 동종 계열간의 향기 성분중 면적비율이 다소 높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 PDF

Aspergillus kawachii 누룩으로 담금한 탁주 술덧의 발효 과정 중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Aspergillus kawachii Nuruks)

  • 이택수;최진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44-950
    • /
    • 2005
  • Asp. kawachii균을 파종하여 만든 누룩으로 담금 한 탁주 술덧의 발효과정 중 휘발성 향기성분을 GC와 GC/MS를 사용하여 분석 동정한 결과 ester 22종, alcohol 20종. acid 10종, aldehyde 8종, 기타 3종 등 63종의 향기 성분이 동정되었다. 동정된 향기성분 수는 담금 일에 ester 13종, alcohol 13종을 비롯한 총 32종이었으나, 발효 2일에 ester 6종, alcohol 3종을 포함한 13종이 추가 검출되어 45종으로 증가되었다. 발효 12일에는 63종으로 향기 성분수가 최대에 달하였다. Ethanol, 3-methyl-1-butanol, 2-methyl-1-propanol, benzeneethanol등 alcohol류 12종, ethyl acetate, ethyl caprylate, ethyl butyrate 등 ester류 12종, acetaldehyde, iso-butyl aldehyde등 aldehyde 3종, octanoic acid, 1,2-benzenedicarboxylic acid 등 acid 2종, 총 29종은 발효 전 과정을 통하여 검출되었다. 향기 성분의 면적비율은 ethanol이 72.18-91.32%로 발효 전 기간을 통하여 탁주 술덧에서 타 성분보다 월등히 높았다. Ethanol을 제외하고 발효 전 과정을 통하여 면적비율이 높은 성분은 ethyl caprylate, 3-methyl-1-butanol, benzeneethanol 이었다. 이외 발효기간에 따라서 2-methyl-1-propanol, 1-hexanol, 2, 3-butanediol(D.L), 1-dodecanol, 2-phenylethyl acetate, ethyl acetate, monoethyl butanoate, diethyl succinate, ethylbenzoic acid, acetic acid, iso-butylaldehyde 등의 성분도 동종 계열간의 향기성분 중 면적비율이 다소 높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메주와 콩 고오지를 혼용하여 담금한 고추장 숙성중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Kochujangs with Meju and Soybean Koji during Fermentation)

  • 최진영;이택수;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035-1042
    • /
    • 2000
  • 메주와 콩고오지로 담금한 혼용고추장의 숙성 과정 중 휘발성 향기성분을 포집하여 GC-MSD로 분석, 동정한 결과 알코올 13종, 에스테르 17종, 유기산 7종, 알데하이드 6종, 기타 9종 등 52종의 향기성분이 동정되었다. 동정된 향기성분 수는 담금일에 알코올 7종, 에스테르 9종 등 24종이었으나, 30일에 알코올 1종, 에스테르 3종을 비롯한 6종이 추가 검출되어 30종으로 증가하였다. 150일에는 49종으로 향기성분 수가 최대에 달하였다. 숙성 전과정을 통하여 검출된 향기 성분은 에탄올, 2-methyl-1-propanol, 3-methyl-butanol, 1-butanol 등 알코올류 6종, ethyl acetate, ethyl butyrate, ethyl caproate, ethyl carpylate 등 에스테르류 9종, 산류 2종, 알데하이드 2종, 기타 3종 등 22종이었다. 향기성분의 면적 비율은 담금일과 30일에 1-butanol이, 숙성 60일, 90일 및 150일에 에탄올이, 120일에 3-methyl-1-butanol이 각각 가장 높았고 숙성기간에 따라서는 ethyl acetate, 2-methyl-1-propanol, ethyl butyrate, acetaldehyde, ethoxyethene, ethenone, methylbenzene의 면적 비율도 높았다.

  • PDF

진해만에서 분리한 무독성 Alexandrium tamarense (Dinophyceae) 동정을 위한 molecular probe 이용 (Species Identification of Nontoxic Alexandrium tamarense (Dinophyceae) from Chinhae Bay, Korea, Using Molecular Probes)

  • Cho, Eun-Seob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01-308
    • /
    • 2004
  • 진해만에서 분리한 무독성 Alexandrium tamarense와 이미 보고된 독성을 가진 A. tamarense종 간의 접속공, 제1상판, 후속공의 형태를 상호 비교하였다. 형태적으로 독성종과 거의 일치되지만, HPLC나 생체실험에서 진해만에서 새롭게 분리한 종은 독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lectin반응결과 무독종 A. tamarense은 PNA와 강한 반응을 보여, 세포표면에 lactose나 galactose와 같은 물질이 많이 분포하고 있음을 보였다. 또한, 단백질 전기영동시 무독종은 유독종과 달리 21 kDa 정도 부위에서 종 특이적 밴드를 보였다. 따라서 PNA lectin이나 면역학적 방법을 이용하면 무독종 A. famarense을 신속하게 동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가지(Solanum melongena L.) 잎으로부터 페놀 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 (Phenolic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eggplant (Solanum melongena L.))

  • 백동렬;이민지;백남인;서경화;이윤형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2호
    • /
    • pp.103-106
    • /
    • 2016
  • 가지 잎으로부터 3종의 phenylpropanoid, 1종의 flavonoid glycoside, 그리고 1종의 norsesquiterpenoid glycoside 화합물을 분리 동정하였다. 가지 잎을 80 % MeOH로 추출하였으며, 얻어진 추출물을 n-hexane, EtOAc, n-BuOH 및 물 층으로 계통분획을 실시하였다. 이 중 n-BuOH 분획에 대하여 $SiO_2$, ODS 및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 실시하여 5종의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였다. Nuclear magnetic resonance, infrared spectroscopy 및 mass spectrometry의 spectroscopic data를 해석하여 이 화합물들을 caffeic acid (1), chlorogenic acid (2), cryptochlorogenic acid (3), panasenoside (4), 및 (6R,7E,9R)-4,7-megastigmadien-3-one-9-${\beta}$-${\small{D}}$-glucopyranoside (5) 로 각각 동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화합물 3과 4는 가지 잎에서 처음으로 분리, 동정하였다.

Rhizopus japonicus 누룩으로 담금한 탁주 술덧의 발효 과정 중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Rhizopus japonicus Nuruks)

  • 이택수;한은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691-698
    • /
    • 2000
  • Rhizopus japonicus균을 파종하여 만든 누룩으로 담금한 탁주 술덧의 발효과정 중 휘발성 향기성분을 GC와 GC-MS를 사용하여 분석 동정한 결과 ester 24종, alcohol 19종, acid 9종, aldehyde 10종, 기타 4종 등 66종의 향기 성분이 동정 되었다. 동정된 향기성분 수는 담금일에 ester 14종, alcohol 12종을 비롯한 총 39종 이었으나, 발효 2일에 ester 6종, alcohol 4종을 포함한 17종이 추가 검출되어 56종으로 증가 되었다. 발효 12일에는 66종으로 향기 성분수가 최대에 달하였다. ethanol, 3-methyl-1-butanol, 2-methyl-1-propanol등 alcohol류 12종, ethyl acetate, ethyl caprylate, isoamyl acetate 등 ester류 14종 acetaldehyde 등 aldehyde 6종, pentanoic acid 등 acid 5종등 총 38종은 발효 전과정을 통하여 검출되었다. 향기 성분의 면적비율은 ethanol이 $76.2149{\sim}92.1155\;%$로 발효 전기간을 통하여 탁주 술덧에서 타 성분 보다 월등히 높았다. ethanol을 제외하고 발효 전과정을 통하여 면적비율이 높은 성분은 3-methyl-1-butanol, 2-methyl-1-propanol, ethyl caprylate, benzene-ethanol, 2,3-butanediol이었다. 이외 발효기간에 따라서 ethyl acetate, diethyl succinate, octanoic acid, acetic acid, isobutyl aldehyde 등의 성분도 동종 계열간의 향기 성분중 면적비율이 높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 PDF

음식물류폐수처리를 위한 유기물분해 미생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Organic Compounds-Degrading Bacteria for the Treatment of Food Wastewater)

  • 정두영;송인근;김영준
    • 유기물자원화
    • /
    • 제15권2호
    • /
    • pp.128-135
    • /
    • 2007
  • 음식물폐수, 축산폐수, 지렁이 등, 다양한 분리원으로부터 음식물류폐수내 섬유소, 지방, 단백질 등 유기 성분을 처리하기 위한 유기물분해 미생물을 분리하여 그 특징을 밝히고 균주를 동정하였다. 음식물류폐수에서 분리된 6종의 균주를 비롯하여 음식물폐수내 삼성 유기물에 대한 분해능이 우수한 11균주를 최종적으로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분자생물학적 동정결과, 9종은 Bacillus 속으로 밝혀졌고, 2종은 Enterobacter 속 및 Pantoea agglomerans로 동정되었다. 유기물분해효소 활성도 조사결과, 음식물폐수로부터 분리된 FWB-5 (Bacillus pumilus)와 FWB-6 (B. lichenisformis) 및 축산폐수로부터 분리된 OD-4 (Pantoea agglomerans)의 균주에서 섬유소에 대한 효소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을 비롯하여 전체적으로 효소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FWB-5 및 OD-4의 경우, 효소활성을 위한 최적 생장온도 및 pH는 각각 $37^{\circ}C$ 및 7.0으로 나타났으며, FWB-6의 경우, $25^{\circ}C$에서 단백질 및 지질에 대한 효소활성도가 높게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