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종 동정

검색결과 2,312건 처리시간 0.028초

마산만 일대 와편모조류의 분류학적 연구 I. Prorocentrum 속에 대하여 (Taxonomical Studies on Dinoflagellates in Masan Bay I. Genus Prorocentrum Ehrenberg)

  • 유광일;이준백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6-55
    • /
    • 1986
  • 남해안 일대의 내만에서 다발하고 있는 적조의 원인생물은 다수종의 와편모조 류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중에서도 Prorocentrum속은 이 일대에서 발생하는 적조의 중요한 원인종으로 지금 까지 마산만 일대에서 8종이 보고 된 바 있다. 본인들은 적조원인 생물인 와편모조류의 올바른 동정을 통하여 이들의 분류 체계를 확립할 목적으로 1982년 1월에서 12월에 이르는 1년간에 걸쳐 마산만에서 시료를 채집하였 다 그 결과 Prorocentrum속의 다음의 5종을 동정하였다: Prorocentrum balticum, P.dentatum, P.minimum,P.micans,P.tricstium. 이중에서 Prorocentrum dentatum은 한국산 미기록종으로 기재한다.

  • PDF

한국산 Moina 속 (새각 강, 지각 목, 모이나물벼룩 과) 물벼룩류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n Genus Moina (Branchiopoda, Cladocera, Moinidae) of Korea)

  • 윤성명;김원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8권1호
    • /
    • pp.89-106
    • /
    • 1992
  • 1983년 7월부터 1991년 7월까지 남한의 각종 담수역 65개 지점에서 채집된 모이나물벼룩류의 표본들을 검토한 결과 한국미기록종 1종을 포함한 3종이 동정되었다. 한국산 Moina속 물벼룩류 4종에 대한 검색표와 함께, 본 연구에서 동정된 3종에 대하여 단위생식하는 암컷 뿐만이 아니라 국내에서 잘 알려져 있지 않았던 수컷 및 휴지란 등을 기재하고 도판을 작성하였다.

  • PDF

한국산 애기물결자나방속의 분류학적 정리(II) (Taxonomic Review of the Genus Eupithecia (Lepidoptera : Geometridae : Larentiinae) from Korea (II))

  • 오성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40-449
    • /
    • 1993
  • 한국산 애기물결자나방속을 정리한 결과 2차로 11종이 분류 동정되었으며 이들중 E. okadai Inoue, E. scribai Prout, E. perpaupera Inoue, E. kobayashii Inoue, E. tripunctaria Herrich-Schaffer, E. virgaureata Doubleday 등 6종이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확인되었기에 보고한다. 저자(1992)에 의해 신종으로 기재된 E. bicornuta는 재검토 결과 E. hamogrammata의 수컷으로 밝혀져 후자의 동정이명으로 정리한다. 따라서 1차로 발표한 13종을 합하면 한국산 Eupithecta속은 총 24종이 된다.

  • PDF

새우, 게 및 바다가재의 부산물로 만든 소스의 휘발성 향기 성분 (Volatile Flavor Compounds Identified from the Sauces Made with Waste of Shrimp, Crab and Lobster)

  • 이경임;조지은;안형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9-128
    • /
    • 2007
  • 식품의 조리과정 중에 부산물로 나오는 갑각류 폐기물을 이용하여 소스를 제조하여 canister system을 이용하여 농축한 후 GC/MSD를 이용해 휘발성 성분을 동정하였다. 그 결과 총 휘발성 성분의 개수는 72종이었으며 그 중 새우를 사용하여 만든 소스의 휘발성 성분이 45개로 가장 많았다. 새우 소스의 휘발성 성분은 10종의 alkane, 4종의 ketone, 3종의 aldehyde 및 7종의 alcohol이었으며 3-methyl-2-butanone, 2-pentanamine, isobutane, 3- methyl-butanal, furan, carbon disulfide, dimethyl sulfide가 주요한 성분이었다. 꽃게 소스에서는 18개의 휘발성 성분이 동정되었고, 4종의 alcohol류, 5종의 alkane류, 3종의 aldehyde류 및 ketone, acid와 amine이 각각 1종 검출되었으며, 2-methoxy ethanol, trimethyloxirane, 3-buten-1-ol이 꽃게 소스에서 주요한 휘발성 성분으로 나타났다. 바다가재 머리부분을 이용한 소스에서 16종의 휘발성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alkane류 2종, aldehyde와 alcohol이 각각 1종씩 동정되었고 formic acid, 1-propanethiol, $\beta$-pinene, allyl sulfide가 주요한 향기 성분으로 나타났다. 바다가재 껍질을 이용한 소스에서 휘발성 성분이 18종 검출되었으며, acid류, pentane, 3-methyl 1-butanol 및 2, 4-dimethyl- 3-pentanone이 주요한 휘발성 성분인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저염 발효오이로부터 16S rDNA-PCR과 RFLP분석을 통한 부패균의 신속한 확인 (16S rDNA-PCR and RFLP Analysis for rapid identification of Spoilage Bacteria from low Salt Cucumber Brine)

  • 김재호;장혜영
    • KSBB Journal
    • /
    • 제19권1호
    • /
    • pp.72-77
    • /
    • 2004
  •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인한 저염식품의 개발 필요성에 맞추어 오이발효에 염의 농도를 낮추게 되면 정상적 일차발효 후에 이차발효가 진행됨으로써 결국 부패하게 된다. 장기간에 걸쳐 다양한 균의 복합적 작용으로 진행되는 저염 발효오이의 부패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이에 관련된 균을 분리 동정하였다. 부패발효액을 무기배양하여 균을 분리하고 이들의 16s rRNA 유전자 부분을 universal primer를 이용한 PCR로서 증폭하여 서열분석 하였다. 분석된 800 염기 길이의 서열 전체를 그대로 이용하여 NCBI의 BLAST로서 유사종을 찾고 RDP의 Sequence Aligner와 Sequence Match에서 재확인하여 분리된 균을 3속 8종으로 동정하였다. Database 내의 표준균 서열을 기반으로 한 제한효소 지도와 동정된 균의 PCR 생성묵의 제한효소 처리결과(RFLP)를 비교하여 동정 결과를 실험으로 검정하였다. 동정과정에서 sequencing 결과 전체를 이용하는 점과 RDP를 통한 확인과 RFLP를 이용한 검정은 동정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한층 증가시켰다. 또 분리된 8종은 개별적 특징의 조사나 적절한 조합을 이룰 때의 상호 의존도 등을 조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여러 균에 의한 복합적 과정인 부패를 순차적 혹은 요인별로 나누어 살펴보는 연구를 가능하게 한다.

16S-23S rRNA Intergenic Spacer Region을 이용한 어류 병원성Streptococcus iniae의 분자생물학적 동정 (Use of 16S-23S rRNA Intergenic Spacer Region for identification in the fish pathogenic Streptococcus iniae)

  • 정용욱;강봉조;박근태;허문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1-98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어류 연쇄구균증 병원체 동정에 있어서 Streptococcus iniae에 대한 구체적인 국내 연구 보고가 없어, 기존에 수행되고 있는 동정방법을 근간으로 16S-23S intergenic spacer region (ISR)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보다 명확한 동정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API 20 strep system에 의한 생화학적 성상을 분석해본 결과 정확한 종 동정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기존의 연구에서 보고된 API 20 strep system에 의한 S. iniae의 생화학적 성상과 높은 유사성을 보이는 10균주를 분리할 수 있었다. S. iniae 16S rRNA gene 서열 유래 종 특이적 primer Sin-1 5'-CTAGAGTACACATGTACT(AGCT)AAG-3'와 Sin-2 5'-GGATTTTC CACTCCCATTAC-3'에 의한 PCR-assay 결과 시험균주 10 균주 모두 동일하게 약 300bp의 증폭산물이 관찰되었고, 비 특이적인 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시험균주 모두 3개의 16S-23S ISR operon 구조가 관찰되었으나 S. iniae 표준균주 (KCTC 3657)의 경우 단일 구조가 관찰되었다. 16S-23S intergenic spacer region (ISR)의 염기서열을 분석해본 결과 기존에 보고된 S. iniae (Genbank accession number AF 048773)와 96%의 상동성을 보였으며 전체서열에서 상동성을 보이는 근연종이나 근연속은 검색되지 않아 최종적으로 S. iniae로 동정하였다.

거제도 해산 연체동물상 (Malacofauna of Geojedo Island, Korea)

  • 노분조;최병래;이종락;길현종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4권3호
    • /
    • pp.257-278
    • /
    • 1998
  • 1992년 7월부터 1997년 7월까지 거제도 연안 14개 지점에서 채집된 표본들을 동정, 분류한 결과 4강 63과 149종이 밝혀졌고 이 중 한국 미기록종 1종 (Odostomia omaensis 기생이빨고둥)을 포함하여 45종 91종은 거제도 미기록종이었다. 거제도 해산 연체동물은 과거의 문헌에 기록된 것을 포함하여 다판강 5과 13종, 복족강 38과 105종, 이매패강 22종 45종, 굴족강 1과 1종으로 총 66과 164종이며 이에 대한 목록과 한국미기록종에 대한 재기재를 하였다.

  • PDF

제주 동부지역에서 발견된 국내 미기록 자생버섯 보고 (Domestic Unrecorded Species Found in the Eastern Part of Jeju Island)

  • 이승학;고평열;전용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05-11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2016년 5월에서 9월까지 제주 동부지역에서 채집된 317종의 버섯들 중 국내 미기록된 4종을 보고하고자 한다. 미기록종으로 추정되는 버섯의 정확한 동정을 위하여 채집된 자실체에서 분리한 DNA의 염기서열을 버섯의 유전자은행을 통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Agaricus flocculosipes, Amanita concentrica, Coprinopsis strossmayeri, Favolus acervatus로 동정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국내 미기록종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현미경을 이용하여 버섯의 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는 모두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한 버섯과 일치하였다.

남해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연체동물의 분포 (Distribution of Benthic Molluscs in Soft Bottom of the Southern Sea of Korea)

  • 제종길;장만;박홍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0-48
    • /
    • 1991
  • 한국해역 종합 해양자원도 작성연구(남해)의 일환으로 저서생물 분포 연구를 위한 조사가 1990년 7월과 8월에 남해에 위치한 83개 조사정점에서 수행되었다. 각 정점에서 van Veen그랩으로 3회씩 채집된 저서 생물 표본 가운데 연체동물만을 선별 그들의 분포 양상을 파악하고자 종 동정과 함께 군집구조 분석을 하였다. 조사에서 채집된 연체동물은 모두 679개로 다섯개 강에 102종으로 동정되었으며, 이매패류가 출현종수(84.3%)에서나 출현개체수(92.3%)에 있어서 절대우점하였다. 전체 연체동물군집에서 우점하는 일곱 종(이매패류 여섯 종, 무판류 한 종)이 전체 출현개체수의 61.0%를 차지하였다. 남해의 연체동물은 종은 다양한 반면에 서식밀도나 생물량은 매우 빈약하였다. 출현종의 서식 유무에 따른 유사도로써 집괴분석한 결과 다섯개의 조사정점군으로 나누어지고, 이 들은 특징적인 분포 특성을 갖는 두 정점군과 혼합된 특성을 나타내는 세정점군으로 대별되었다. 전자의 두 정점군은 Raetellops Pulchella와 Periploma otohimeae로 대표되는 황해의 저층냉수의 영향을 받는 세립퇴적물 군집과 뚜렷한 대표종은 없지만 대마난류의 영향을 받는 이질성의 조립퇴넉물 군집으로 정의할 수 있었다. 대마난류의 영향을 받는 정점군의 군집은 황해저층냉수의 정점군에 비해 종 다양도는 높지만, 서식생물량은 현저히 적었다. 아울러 연체동물의 분포와 남해의 퇴적환경이나 수괴의 조성과 변화를 고려하여 남해에 서식하는 저서생물 군집에 있어서 네 개의 분포구역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여 그 범위와 경계를 제안한다.

  • PDF

한국산 멸치젓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Korean Salt-Fermented Anchovy)

  • 차용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19-724
    • /
    • 1992
  • 한국산 멸치젓의 휘발성 성분을 SDE/GC/MSD로 분석한 결과 총 73개의 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aldehyde류(17종), ketone류(10종), alcohol류(12종), N-함유 화합물류(8종), ester류(7종), S-함유 화합물류(5종), furan류(5종) 및 alkane류를 포함한 9종의 기타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중 58종의 화합물은 표준품과의 Rl로서 동정되었으며 나머지는 database에 의한 PBM search로서 잠정적으로 동정되었다. 함량면에서는 aldehyde류가 가장 많았고 다으으로 alcohol류, furan류, ester류, ketone류 순이였다. 특히 3-methylbutanal, 1-penten-3-ol, ehtylacetate, 2-ethylfuran 등의 화합물의 함량이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