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종 동정

검색결과 2,312건 처리시간 0.042초

한국산 유종섬모충류의 분류학적 연구 1. 진해만 (Taxonomical Studies on Tintinnids (Protozoa : Ciliata ) in Korean Coastal Waters. 1. Chinhae Bay)

  • 유광일;김영옥;김동엽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4권1호
    • /
    • pp.67-90
    • /
    • 1988
  • 본 연구는 해양생태계의 저차생산 단계의 생산자로 중요시 되고 있는 유종섬 모충류(Tintinnina)의 분류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진해만 일대에서 1978년부터 1984년까지 6년간에 걸쳐 채집된 시료와 1986년부터 1987년까지 추가 채집된 시료를 사용하여 유종섬모충류를 동정 분류한 결과, 총 6과 11속 289종이 출현하였다. 이들 28종은 모두 국내에서 처음으로 동정 분류된 것이므로 이를 한국산 미기록종으로 기재한다.

  • PDF

울산광역시 삼산동 매립장 침출수 정화를 위한 AquaMats(R)상에서 미생물의 분리 및 동정에 관한 연구

  • 이준우;김좌관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395-398
    • /
    • 2006
  • 울산 삼산동 매립장 침출수의 수질정화 공정을 위해 새로운 여재인 AquaMate$^{(R)}$가 사용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AquaMat$^{(R)}$에 서식하고 있는 여러 미생물 중 우점종으로 여겨지는 3종의 미생물을 각각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이들 미생물은 그램 염색 결과 모두 간균 형태의 그램 음성으로 나타났으며, 각각 Agrobacterium radiobacter, Pseudomonas cepacia, Flavobacterium indologenes로 판명되었다. 이들,3종의 미생물은 모두 침출수에서는 잘 자라지 못하였으나 yeast extract같은 생장촉진물질의 존재 하에서는 침출수에서 빠른 생장속도를 보여주었다.

  • PDF

어성초 휘발성 정유성분의 동정과 분획물의 향특성 및 항균활성 -I. 어성초의 휘발성 정유성분의 동정- (Identification of Volatile Essential Oil, and Flavor Characterization and Antibacterial Effect of Fractions from Houttuynia cordata Thunb -I. Identification of Volatile Essential Oil Compounds from Houttuynia cordata Thunb -I. Identification of Volatile Essential Oil Compounds from Huttuynia cordata Thunb-)

  • 강정미;차인호;이영근;류홍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09-213
    • /
    • 1997
  • 민간요법에서 각종 질병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어성초의 항균활성 물질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속증류추출장치를 이용하여 포집한 휘발성 정유를 GC-MS로 각 성분을 분리 동정했다. 그 결과 어성초의 휘발성 정유는 GC column에서 52종의 화합물로 분리되었으며, 이중 44종의 화합물이 GC-MS에서 동정되었다. 밝혀진 화합물들은 terpene류 25종, aldehyde류 7종, alcohol류 4종, ketone류 3종 및 기타 5종이며, 이들 중 주요 화합물은 ${\beta}-myrcene$, ${\beta}-ocimene$, decanal, 2-undecanone 및 geranyl propionate이었다.

  • PDF

김치에 서식하는 Gram 양성세균의 분리 및 동정의 재평가 (Reevaluation of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Gram-positive Bacteria in Kimchi)

  • 임종락;박현근;한홍의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04-414
    • /
    • 1989
  • 김치발효 중 Gram 양성세균 또는 유산균의 분리와 동정을 시도하였다. 종의 다양성은 분리배지와 온도에 영양을 받았고, 다양성은 온도가 낮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MRS는 세균의 분리에 KM(김치재료로 만든 자연배지)은 종의 수를 파악 하는데 각각 적합하였다. 분리균의 동정은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ogy (1986)를 기초로 하여 작성한 이 분농생표(dichotomous Identification scheme)에 의하여 선행하였다. 각 온도(5, 15, $25^{\circ}C$)에서 동정된 Gram 양성세균은 Leuconostoc 5종, Streptococcus 4종, Pediococcus 3종, Bacillus 2종 그리고 Ltobacillms 18종이였다. 각 온도에서 출현 빈도가 높은 종은 $25^{\circ}C$에서 LactobaIlus ptantanmz, Streptococcµs faffinolactis, Leuconostoc maιnteroid, subsp mlsentιroides 이었고, $15^{\circ}C$에서 L. mesenteroides Lactobacillus fructosus, L. maen teroid,l.I subsp. mesent,roid, 이였고, $5^{\circ}C$ 에서 Leuconostoc sp.(65.2 빈도)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그리고 각 온도에 따른 김치발효 중 지금까지 알려진 Pediococcus cerevisiae 와 Streptococcus faecalis는 분리되지 않았다.

  • PDF

한국의 털진드기상 및 검색표 (진드기 목 : 털진드기 과 와 Leeuwenhoekiidae) (Fauna and Key to the Chigger Mites of Korea (Acarina ; Trombiculidae and Leeuwenhoekiidae))

  • 이한일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6권1호
    • /
    • pp.57-70
    • /
    • 1990
  • 한국산 털진드기 종을 다룬 모든 문헌을 조사 정리한 결과 총 43종이 보고되었는데, 그중 Salchia brennani ventralis 는 오동정한 것으로 W. comataxila 이었고 Shunsennia gracilis 는 S. hertigi 의 동종이명일 가능성이있으나 문헌상으로는 확인할 수 없었다. Leptotromibidium intermedium 의 경우 문헌상의 근거가 전혀 없어 국내 서식종으로 인정할 수 없었다. 필자가 직접 표본을 조사하여 확인할 수 있었던 종은 모두 17 종이었는데 그 가운데 Leptotromibidium akamushi 는 L.zutum 의 , L.miyajimai 는 L.orientale 의 오동정이었다. 결국 한국산 털진드기류는 모두 2과 , 12속, 39종이 된다. 이 중 2 종은 조류에 , 7종은 박쥐에, 그리고 29종은 설치류에 각각 기생하는 종이고 1종은 조류와 포유류에 공동기생하는 종이다. 현재 한국산 털진드기를 동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검색표로는 29종을 아룬 Southwick (1968) 의것이 있을 뿐이고, 우리나라와 동물상이 유사하나 일본 종에 대한 검색표도 우리나라 토착종 21종이 들어 있지 않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기존 검색표는 다리의 강모식(leg setal formula) 이나 촉수의 강모식( palpal setal formula)등 관찰하기 어려운 형질을 많이 사용하고 있어서 동정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필자는 현재까지 한국 종으로 정리된 총 39종에 대한 검색표를 만들었는데, 관찰이 용이하면서도 변이가 적은 형질을 최대한 사용하였고 특히 종 특징을 잘 나타내는 배판(scutum)의 형질을 주로 사용하였다. 실용성이 보다 큰 도식형 검색표( pictorial key)도 함께 만들었는데 원저자들의 도표에서 배판(scutum)을 그대로 전사하여 종 간 비교를 용이하게 하였다.

  • PDF

논발생(發生) 담수조류(淡水藻類)에 관(關)한 연구(硏究) IV. 수조류(輸藻類), 유그레나류(類) 및 규조류(硅藻類)의 동정(同定) (Fresh-water Algae Occurred in Paddy Rice Fields IV. Identification of Stoneworts, Euglenoids and Diatoms)

  • 이한규;박재읍;류갑희;이정운;박영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52-361
    • /
    • 1992
  • 논조류(藻類)의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 및 효율적(效率的)인 방제법(防除法) 구명(究明)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하여 1991년 논 또는 용배수로(用排水路) 등(等)에 많이 발생(發生)하는 윤조류(輪藻類), 이앙후(移秧後) 논물에 수화현상(水花現像)을 일으키는 유그레나류(類) 및 벼 직파재배(直播栽培) 논에서 괴불을 일이키는 규조류(硅藻類)를 동정(同定)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률 얻었다. 1. 논에 발생(發生)하는 윤조류(輪藻類)로서 윤조식물문(輪藻植物門(Charophyta) 쇠뜨기말과(科)(Characeae)로 분류(分類)되는 쇠뜨기말(Chara braunii) 1종(種)이 동정(同定)되었다. 2. 논에 발생(發生)하는 유그레나류(類)에는 유그레나과(科)(Euglenaceae)로 분류(分類)되는 유그레나 2종(種), 파쿠스 1종(種), 트라케로모나스 3종(種)이 동정(同定)되었다. 3 논발생(發生) 규조식물문(硅藻植物門)(Bacillariophyta)에는 체 모양원반과(圓盤科) 5종(種), 띠돌말과(科) 3종(種), 아크난테스과(科) 1종(種), 깃돌말과(科) 9종(種), 킴벨라과(科) 1종(種), 니트찌아과(科) 2종(種) 등(等) 총(總) 6과(科) 13속(屬) 21종(種)이 동정(同定)되었다. 4. 논 수면(水面)에 나타나는 적색(赤色) 수화현상(水花現像)은 포배형성기(胞裵形成期)의 유그레나 다발생(多發生)에 기인(起因)하였다. 5. 논토양(土壤)에 발생(發生)하는 갈색(褐色) 괴불에는 우상규조목(羽狀硅藻目)에 속(屬)하는 규조류(硅藻類)가 우점(優占)하고 있었다.

  • PDF

저장 기간이 짧은 건조 구기자와 오래된 건조 구기자의 휘발성 성분 (Flavor Components in Dried Fruit of the Chinese Matrimony Vine during Storage)

  • 최성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2호
    • /
    • pp.1325-1329
    • /
    • 2014
  • 건강 기능성 한방 재료로 알려져 있는 구기자를 식품 재료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건조 구기자가 오래되면 생성되는 이취 성분이 문제가 된다. 구기자중 저장 기간이 짧은 것(시료1)과 저장 기간이 오래 된 것(시료2)에 대해 휘발성 성분을 비교 분석하여 이취를 찾고 추후 이취를 제거하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연구를 시행하였다. 각 구기자 시료에 대해서 동시증류추출장치(SDE)를 사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추출하고 GC-MS로 분석, 동정하였다. 시료1의 휘발성성분으로 aldehyde류 17종, alcohol류 8종, terpene류 6종, ester류 4종, ketone류 3종 및 furan류 3종, pyrazine류 3종 및 기타 2종을 포함한 총 45종의 향기성분을 동정하였다. 시료2의 휘발성성분으로 aldehyde류 12종, alcohol류 3종, terpene류 5종, ester류 2종, ketone류 4종, furan류 3종, pyrazine류 3종, 산인 isovaleric acid 1종 및 기타 2종을 포함한 총 34종의 향기성분을 동정하였다. 두 시료 중에서 휘발성 성분의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휘발성 성분의 차이와 함량의 변화는 구기자의 저장 기간이 길어지면 좋지 않은 냄새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지만 저장 기간이 짧은 구기자에는 없고 저장기간이 오래 된 구기자에만 동정된 역치가 매우 낮은 isovaleric acid은 구기자 제품의 저장성이 경과할 때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되었다.

Hydroids(Cnidaria : Hydrozoa: Hydroida) from Chindo Island , Korea

  • Park, Jung-He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1호
    • /
    • pp.9-17
    • /
    • 1995
  • 1994년 7월 22일부터 26일까지 한국동물분류학회 창립 10주년 기념 햅동채집이 진도에서 실시되었다. 이 기간 중 채집된 히드라충류는 8과 31종으로 $동정\cdot분류$되었는데, 이 중 8종은 진도기록종이고 나머지는 진도미기록종으로 판명되었다. 진도 미기록종 중 Halecium magellanicum과 Obelia flexuosa는 한국미기록종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 관찰되지 않은 3종의 진도기록종을 포함하여 현재까지 동정된 진도産 하드라충류는 8과 34종이 된다.

  • PDF

국내산 수박(Citrullus vulgaris S.) 과 참외(Cucumis melo L.) 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Watermelon(Citrullus vulgaris S.) and Oriental Melon(Cucumis melo L.))

  • 김경수;이해정;김선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22-328
    • /
    • 1999
  • 동시증류추출장치를 사용하여 획득한 수박(Citrullus vulgaris S.)과 참외(Cucumis melo L.)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질량분석법으로 동정하였다. 수박에서 분리동정된 37종의 화합물로는 16종의 alcohol 류, 15종의 aldehyde 류, 2종의 ester류, 2종의 ketone 류와 기타 2종의 화합물이 확인되었다. 전체 상대적 농도의 68.66%를 차지한 alcohol 류가 수박의 주요 향기성분이었으며, 불포화 $C_{9}$ 화합물인 (Z)-3-nonen-1-ol, (Z,Z)-nonadien-1-ol, (E,Z)-2,6-nonadienal, (E)-2-nonenal이 특징적 향기성분으로 나타났다. 참외에서 분리동정된 55종의 화합물로는 26종의 ester 류, 16종의 alcohol 류, 10종의 aldehyde 류와 기타 3종의 화합물이 확인되었으며, 전체 상대적 농도의 63.8%를 차지한 ester류가 참외의 주요 향기 성분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Z)-3-nonenyl acetate, (Z)-6-nonenyl acetate와 (Z,Z)-3,6-nonadienyl acetate, $C_{9}$-불포화 ester 류가 중요한 향기성분이었으며, 황함유 ester 류인 ethyl (methylthio)acetate, ethyl 3-(methylthio) propanoate 또한 참외의 향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화합물이었다.

  • PDF

국내에서 분리된 미기록 진균 18종 보고 (A Report of Eighteen Unrecorded Fungal Species in Korea)

  • 안금란;최민아;김지은;서은지;김준영;김성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92-303
    • /
    • 2017
  • 2016년 버섯 재배사 내 실내공기, 식물병반(동백나무의 잎, 줄딸기, 은방울꽃, 생강나무), 버섯 배양배지 재료, 오염된 가구 등에서 진균을 분리 동정하였다. 동정된 진균 중 18종이 국내 미기록임을 확인하였다. 동정된 진균은 버섯 재배사 내 실내공기에서 6종, 식물병반에서 6종, 버섯 배양배지 재료에서 5종, 오염된 가구에서 1종이 각각 분리되었다 이들 동정된 균주에 대한 형태학적 특성과 ITS rDNA, 18S rDNA, 28S rDNA, calmodulin gene,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gene, ${\beta}-tubulin$ gene 등의 염기서열에 기반한 분자계통학적 관계에 대하여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