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종 동정

검색결과 2,312건 처리시간 0.025초

제주도산 사미류의 분류학적 연구 (Systematic Study on the Ophiuroidea from Cheju Island , Korea)

  • 노분조;신숙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권2호
    • /
    • pp.208-224
    • /
    • 1987
  • 제주도산 사미류의 분류학적 연구를 하기 위하여 1965년 7월부터 1987년 7월까지 제주도의 6개 지역(제주도, 비양도, 서귀포, 신천, 역산포, 우도)에서 채집하여 보관중이던 표본을 동정·분류하였다. 그 결과 2 복 9과 19종의 사미류가 제두도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이들중 Gorgonocephalus dolichodactylus Dderlein , 1911, Astrocladus ludwigi9Dderlein, 1896) , Astroboa arctos Matsumoto, 1915 al camphipholis pugetana Lyman , 1861 4 종은 한국미기록종이다.

  • PDF

한국산 낚시지렁이과 (빈모강)의 분류학적 검토 (Taxonomic Review of the Family Lumbricidae (Oligochaeta) in Korea)

  • 홍용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6권1호
    • /
    • pp.1-13
    • /
    • 2000
  • 1996년부터 1998년까지 저자가 직접 채집한 표본과 송의 표본(1965-1971)을 동정 분류한 결과 낚시지렁이과의 한국미기록 1종, 혹낚시지렁이 Aporrectodea tuberculata을 포함한 7종을 확인하였다. 한국산 낚시지렁이는 3속 10종이 된다.

  • PDF

한국 남해 해산해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한국 3미기록종- (A Systematic Study on the Marine Sponges from The Sough Sea of Korea-Three new record for Korea-)

  • 심정자;변효숙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7권1호
    • /
    • pp.111-116
    • /
    • 1991
  • 한국산 해산해면동물의 분류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한국해양연구소의 1987년부터 1988년까지 남해안일대에서 채집된 60표본을 동정한 결과 Spirastrella insignis과 Spirastrella abata 그리고 Carninus awashimensis 3종이 한국미기록종으로 밝혀져 이것들을 간단히 기재한다.

  • PDF

한국 근해에 분포하는 Oithona속의 요각류 (Cyclopid Copepods of Genus Oithona in Korean Waters)

  • 유광일;임동현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9권2호
    • /
    • pp.91-102
    • /
    • 1993
  • 한국근해의 10개의 지역에서 채집된 동정한 결과 Oithona속의 18종이 밝혀졌으며, 이들 중에 대한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그 중 다음의 9종을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Oithona atlantica, O. attenuata, O. davisae, O. hamata, O. longisphina , O. oculata, O. simplex, O. tenuis, O. vivida.

  • PDF

한국산 전갱이과 어류 1 미기록종, Decapterus tabl (A New Record of the Carangid Fish, Decapterus tail (Pisces, Carangid) from Korea)

  • 김용억;고정락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56-160
    • /
    • 1994
  • 1993년 4월 부산시 부산 공동어시장에서 채집된 전갱이과 어류 1개체가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에 1개의 작은 토막지느러미가 있는 점에서 전갱이아과 Caranginae에 속하는 종으로, 가라지속 Decapterus의 한국 미기록종인 홍기가라지(국명신칭) Decapterus tabl로 동정되었기에 이를 기재하였다. 본종은 상대적으로 측선이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측선의 경사 부위에 모비늘이 없으며, 측선 모비늘수가 34-48개이고, 두정부의 비늘은 안구의 중앙 뒤쪽까지 분포하고 있다. 또한 복추골에 2개의 측돌기공 및 꼬리지느러미가 적색인점 등이 동일 속의 다른 종들과 잘 구분된다.

  • PDF

한국에 있어서 Longidoridae과 선충의 분류학적 연구 1.한국산 Longidoridae과의 3 미기록종에 관하여 (A Taxonmical Study on The Family of Longidoridae(Nematoda) in Korea. 1. There Unrecorded Species of Longidoridae)

  • 최영연;문일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65-170
    • /
    • 1988
  • 한국산 Longidoridae 과 선충을 채집하여 분류동정한 결과 경상북도에서 Xiphinema속의 X. zulu, X. setariae 그리고 Longidorus속의 L. sylphus등 3종이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밝혀졌으며 이들의 형태적 특징, 채집지, 기주식물 등을 보고한다.

  • PDF

한국산 청자고둥상과 (복족강: 신복족목)의 분류 및 기재 (Classificationand Description of Conoidea (Gastropoda: Neogastropoda) from Korean Waters)

  • 최병래;제종길;이태환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3권2호
    • /
    • pp.103-140
    • /
    • 1997
  • 최근 15년동안 전국에서 채집된 청자고둥상과를 동정, 분류하였다. 지금까지 기록된 한국산 청자고둥상과는 33종으로 본 연구에서 다음의 한국미기록 7종을 추가하였다. Etrema (Etremopa) streptonotus(Pilsbry, 1904), Pseudoetrema fortilirata (Smith, 1879), Mangelia(Guraleus) deshayesii (Dunker, 1860), Philbertia (Kermia) tokyoensis(Pilsbry, 1895), conus Capitanellus Fulton, 1938, Conus 림퍄연 Lama가, 1810, Terebra Lima Deshayes, 1857. 이로써 한국산청자고둥상과는 총 3과 21속 40종이 기록된다.

  • PDF

마른명태 식해의 향기성분과 기능성 (Functional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yungtae(Alaska pollack) sikhae)

  • 구태호;장운빈;최희진;우희섭;손규목;최청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535-542
    • /
    • 2002
  • 동시증류추출장치를 사용하여 추출한 전통마른명태식해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질량분석법으로 동정하였다. 식해에서 분리동정된 155종의 화합물로는 82종의 hydrocarbon류, 31종의 알콜류, 20여종의 알데히드, 13종의 ketone, 9종의 ester류 및 기타 2 종류의 화합물이 확인되었다. 마른명태식해에서 동정된 물질 중에서 ${\alpha}$-zingibirene 전체 상에 농도에서 11.03%를 차지하였으며(E)-di-2-propenyl disulfide(7.95%), ${\beta}$-cironellol(6.02%), methyl allyl disulfide(3.58%), cryptone(3.39%), camphene(3.23%), pentanol(3.21%), penadecanal(2.66%) and ${\beta}$-phellandrene(2.06%) 동정되어 이러한 성분들이 식해의 주요 향기 성분으로 나타났다. 식해의 메탄올 추출물을 용매 분획하여 얻은 각 분획물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200{\mu}m$ DPPH radical을 50% 환원시키는데 필요한 $SC_{50}$값이 헥산과 물층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ethylacetate 층은 $327.92{\mu}g/mL$, butanol 층은 $968.83{\mu}g/mL$으로 나타났다. 혈압상승 억제효과를 살펴본 결과 헥산과 물 분획물에서는 전혀 효과가 없었으며 ethylacetate 층에서는 $IC_{50}$이 1.462mg/mL, butanol 층에서는 1.207mg/mL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xanthine oxidase에 대한 $IC_{50}$은 ethylacetate 층은 3.439mg/mL, butanol 층은 2.083mg/mL로 나타났다.

국내 표고버섯 주요 버섯파리의 분자생물학적 종 동정 및 발생양상 (Molecular identification of fungus gnats from shiitake mushroom in Korea)

  • 권선정;김형환;송진선;김동환;조명래;양창열;강택준;안승준;전성욱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01-207
    • /
    • 2013
  •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버섯파리는 가장 문제가 되는 주요해충이다. 버섯파리에 의한 피해를 입은 농가는 표고버섯의 생산 뿐만 아니라 상품성이 현저히 떨어져 많은 피해를 입고 있다. 국내 표고버섯 재배양식은 크게 원목과 톱밥배지에 의한 방법으로 나뉘는데 재배양식의 차이 및 지역 간 주요 피해원인이 되는 버섯파리의 종과 분포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봄부터 가을까지 경기도와 충청도 지역의 주요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버섯파리를 채집하였다. 채집은 황색 끈끈이트랩(참고, Yellow sticky trap)을 이용하였고 버섯파리의 종 동정은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버섯파리류의 다양한 종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원목을 이용하는 표고버섯 재배지에서는 Bradysia difformis, B. alpicola가 우점종인것으로 나타났고, 톱밥배지로 표고버섯을 재배하는 농가의 경우, B. difformi와 Scatopsidae sp.의 종이 다량 동정되었다. 그 외에도 B. trispinifera, B. longimentura, B. chlorocornea, B. protohilaris 및 Lycoriella ingenua가 동정되었다.

경상도 전통마른오징어 식해의 향기성분 및 기능성 (Functional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Traditional Kyungsando Squid sikhe)

  • 최청;이희덕;최희진;손준호;김성;손규목;차원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45-352
    • /
    • 2001
  • 경상도 전통마른오징어 식해를 제조하여 $5^{\circ}C$에서 보관하면서 GC와 GC-MS를 이용하여 향기성분의 원인 물질을 분석, 동정하였다. 식해에서 동정된 물질 중에서 ${\alpha}-zingibirene$이 19.73 mg/kg으로 전체상대 농도에서 가장 높았으며 (Z)-Di-2-propenyl disulfide, ${\alpha}-curcumene$, methyl alkyl disulfide, $(E-E)-{\alpha}-farnesene$, pentanol, z-citral, $3-ethyl-1,2-dithi-5-ene-{\beta}-elemene$, acetic acid 및 ${\beta}-phelland$ rene의 함량 순으로 동정되어 이러한 성분들이 식해의 주요성분으로 나타났다. 식해의 향기성분은 hydrocarbone류가 49종, 알데히드류가 15종, 알콜류가 33 종, 케톤류 및 에스테류 11 종을 포함하여 총 162 종을 동정하였다. 식해의 메탄올 추출물을 용매 분획하여 얻은 각 분획물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200\;{\mu}m$ DPPH radical을 50% 환원시키는데 필요한 $SC_{50}$ 값이 헥산과 물층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ethylacetate 층은 $310.64\;{\mu}g/mL$, butanol 층은 $1096.49\;{\mu}g/mL$으로 나타났다. 혈압상승 억제효과를 살펴본 결과 헥산과 물 분획물에서는 전혀 효과가 없었으며 ethylacetate층에서는 $IC_{50}$이 1.623 mg/mL, butanol 층에서는 1.303 mg/mL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xanthine oxidase에 대한 $IC_{50}$은 ethyl acetate 층은 3.591 mg/mL, butanol 층은 2.083 mg/mL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