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종 다양성

Search Result 3,31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iversity of ampicillin resistant bacteria in domestic streams (국내 하천에 분포하는 ampicillin 내성균의 다양성)

  • Go, Eun Byeul;Chung, In-Young;Kim, Hyuk;Seok, Kwang-Seol;Kim, Byeori;Yoo, Yong-Jae;Jang, Yejin;Chae, Jong-Chan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51 no.4
    • /
    • pp.440-443
    • /
    • 2015
  • The widespread emergence of antibiotic resistant microorganisms in clinics and natural environments has attracted public concern. Especially, microorganisms inhabiting natural environment is considered as a source responsible for increasing the abundance of antibiotic resistant genes in ecosystem. In this study, the diversity of culturable bacteria resistant to ampicillin was investigated with water samples collected from seven locations in Korea. The genera belonging to Aeromonas and Acidovorax were dominant among the isolated 498 strains. The 66% of isolates showed multi-drug resistance against more than six antibiotics among tested fourteen ones and isolates resistant to seven antibiotics were the most prevalent with 19.7% abundance. Using the antibiotics susceptibility results, the intrinsic resistance profile was suggested for the most dominant genera, Aeromonas, Acidovorax, Pseudomonas, and Elizabethkingia.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fermented seasoning pastes using edible insects by SPME-GC/MS (SPME-GC/MS 이용 식용곤충 페이스트형 발효조미료의 향기성분분석)

  • Cho, Joo-Hyoung;Zhao, Huiling;Chung, Chang-Ho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50 no.2
    • /
    • pp.152-164
    • /
    • 2018
  • Fermented seasoning pastes were prepared by Aspergillus oryzae and Bacillus subtilis using three edible insects, Tenebrio molitor larvae (TMP), Gryllus bimaculatus (GBP), and Bombyx mori pupa (SPP), with soybean (SBP) as a negative control. Volatile compounds were extracted by the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HS-SPME) method and confirmed by 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ry (GC-MS). In total, 121 volatiles from four samples were identified and sub-grouped as 11 esters, 18 alcohols, 23 aldehydes, 5 acids, 10 pyrazines, 2 pyridines, 7 aromatic hydrocarbons, 10 ketones, 19 alkanes, 9 amides, 4 furans and 3 miscellaneous. TMP, GBP, SPP and SBP had 48, 54, 36, and 55 volatile compounds, respectively. Overall, 2,6-dimethylpyrazine and trimethylpyrazine were found by a high proportion in all samples. Tetramethylpyrazine, a main flavor of doenjang, a Korean fermented seasoning soybean paste, was identified as one of the major compounds in TMP, SPP, and SBP. SBP had benzaldehyde, hexanal, n-pentanal, and aldehydes and SPP with pyrazines.

A Hierarchical Architecture for Supporting Mobility in Tactical Networks (이동성 지원을 위한 계층적 전술통신망 아키텍처)

  • Yang, Sung-Min;Lee, Kil-Sup;Lee, Sung-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397-399
    • /
    • 2005
  • 최근 우선 네트워크 상에서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인프라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국군 전술통신망은 이기종, 다특성 통신장비로 구성된 네트워크가 복합적으로 운용되고 있다. 임무수행을 위한 신속한 상황인식과 지휘통제가 최상위 지휘관으로부터 이동중인 최하위 전투원까지 이음새없는(seamless) 통합망을 통해 전달되어야 하나 현재 각 네트워크간 통합기술이나 통합 아키덱처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가용한 이동 네트워크 기술 현황을 제시하고, 현 한국군 전술통신망의 특징과 장단정을 제시한 후, 복합적인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노드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계층적 전술통신망 아키텍처에 대한 통신망 설계시 고려사항, 전체 아키텍처 구조 및 각 계층별 노드의 구조와 이들 노드간의 인터페이싱, 이동노드에 대한 이동성 관리 방안을 제안한다.

  • PDF

Arthropod Diversity in Walnut Orchards (호두나무 포장 내 절지동물의 다양성)

  • Jung, Jong-Kook;Lee, Hyoseok;Lee, Seung Kyu;Koh, Sanghyun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56 no.2
    • /
    • pp.121-133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 of arthropods, including various insect pests and their natural enemies, in walnut orchards. Furthermore, we tried to compare the species richness and community structure of arthropods by three different sampling methods, including beating, funnel trap, and pitfall trap. Arthropods were surveyed in three walnut orchards located at Gimcheon, Buyeo, and Hwaseong in South Korea from May to September, 2016. A total of 408 arthropod species were identified from 4,372 individuals, and 63 species were collected in all study sites. The species richness was the highest in funnel trap, while the abundance was the highest in pitfall trap.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insects collected by the beating method was more similar to that of the funnel trap than the pitfall trap. Although the distributions of the economically important pes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tudy sites, six species, including Dichocrocis punctiferalis, Pseudaulacaspis pentagona, Gastrolina depressa, Lycorma delicatula, Metcalfa pruinosa, and Pochazia shantungensis, are the potentially important pests in walnut orchards. We also found a variety of predators and parasitoids, which will be important for walnut pest management.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Yedang Reservoir and Characteristics by Sampling Gears (예당호 어류 종조성과 채집도구에 따른 어류 특성)

  • Tae-Sik Yu;Chang Woo Ji;Yong Jun Kim;Gun Hee Oh;Young-Seuk Park;Ihn-Sil Kwak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5 no.4
    • /
    • pp.285-293
    • /
    • 2022
  • Sampling gears for collecting fish are diverse, and the community of fish varies according to the sel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sampling gears.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ies in Yedang reservoir using four sampling gears (kick net, cast net, gill net, and fyke net). The kick net and cast net were inefficient in collecting the number of individuals. However, they increased the species diversity of fish inhabiting the waterfront. Although not many individuals were collected, the gill net mainly collected large fish. The largest number of individuals was collected in the fyke net, and the dominance was high due to the high species selectivity. Through Self-Organizing Map (SOM) analysis, large fish were collected in the gill net, whereas small fish were collected in the fyke net. The characteristics and efficiency of the fish differed depending on the sampling gears. It is expected that researchers will need to use it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mpling gears when investigating the fish community.

Inhabitation Status and Protection Discipline of Wildbirds in Urban Area - in the case of Seoul City - (도시내 야생조류의 서식현황과 보호대책 - 서울시를 사례로 -)

  • 이우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2
    • /
    • pp.240-248
    • /
    • 1997
  • 기존 연구 문헌의 고찰로 서울시 야생조류상의 현황 및 관리방안은 다음과 같이 결론지을 수 있다. 1. 서울시 야생조류상에 대하여 물새와 산새를 모두 연구한 결과가 아직 발표되지 않아 정확한 현황은 파악하기 어려우나 번식기에는 약 40 여종, 겨울철에는 40여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앞으로 정교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2. 도시림 뿐만 아니라 주변의 패치를 동시에 고려한 통합적 접근방식(intergrated approach)으로 도시림을 연구하여 관리해야 할 것이다. 3. 도시림의 면적은 도시림에 번식하는 야생조류의 종 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지배적인 인자로써 도시림이 더 이상 다른 토지이용 형태로 전환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가장 기초적인 관리 지침이다. 4. 대면적의 숲이 세분화 될 경우, 여름철새의 번식에 지장이 있을 수 있으므로 대면적 숲의 세분화를 막아야 하며, 가능한 한 생태통로(eco-corridor)로 세분화 된 숲을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5. 도시림에 생육하는 임목 중 대경급 임목은 나무구멍을 둥지자원으로 이용하는 조류의 중요한 은신처와 둥지이므로 대경급 임목을 대신할 수 있는 인공새집의 설치는 나무구멍을 둥지로 이용하는 조류의 번식 종 수를 높이는 방법이다. 또한, 도시림이 시민에 의해 과도하게 이용될 경우, 관목층이 제거되어 관목층을 둥지자원으로 이용하는 조류의 서식에 불리한 조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등산로 주변에 관목성 수목을 밀식하여 등산로의 확폭과 파괴를 막아야 할 것이다. 풍부한 먹이 자원을 제공하기 위하여 관목층 보호를 꾀하고 임목의 조림과 무육에 힘써야 할 것이다. 6. 동일한 면적에서 번식 조류 종 수를 높이는 방법은 엽층의 피도량을 늘이는 것이다. 현재 서울의 도시림은 엽층의 분화보다는 우선, 피도량의 증가를 위해 노력해야 하며 후에 엽층의 다양성을 높여 산림의 수직적 구조를 다양하게 만들어야 할 것이다. 7. 들고양이와 들개에 의한 소형 조류의 피해가 늘고 있으므로, 야생조류의 천적인 들고양이와 들개를 구제해야 할 것이며, 이에 앞서 서식실태가 조사되어야 할 것이다. 8. 한각을 비롯한 지천의 하변에 서식, 월동하는 물새류와 서식지에 대한 연구와 관리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9. 산불방지와 도시림 정비의 일환으로 실시해 온 관목층과 낙엽 및 죽은 가지를 제거하는 비과학적인 관행과, 하천유지유량을 높이고 하변 정비 및 산불 방지으 ㅣ한 방편으로 진행된 하변 식생 제거는 전문가와 충분히 제고한 후, 없어져야 할 것이다.

  • PDF

Intraspecific Relationship Analysis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Lines Collected by RAPD Markers (홍화 수집종의 RAPD에 의한 유연관계 분석)

  • Kim Jae-Chul;Choi Seong-Yong;Shin Dong-Hyun;Kim Se-Jong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9 no.2
    • /
    • pp.336-339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genetic diversity on Safflower collections and to identify the variations which could be utilized in Safflower breeding. The RAPDs analysis was used to clarify the genetic relationships among 32 Safflower collections. Among 37 primers applied in RAPD analysis, 25 primers that generated appropriate PCR products for identification of the genetic characters in safflower collections were used. Amplified PCR showed the highly reproducible bands at $0.1{\sim}4.0kb$. The number of bands amplified in each primer showed the variations ranging from 1 to 9, with the average of 5.6. A total of 25 bands were identified among twenty-five selected primers and 23 bands (19.2%) showed polymorphism. Based on the similarity value of 0.042 in dendrogram derived from the cluster analysis, the 32 Safflower collections were classified into 6 groups. The two main groups, II and III included 12 collections (38%) and 12 collections (38%), respectively.

Amphibian Fauna in the Mt. Myungji (명지산 일대의 양서류)

  • 계명찬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1 no.2
    • /
    • pp.203-207
    • /
    • 2003
  • Amphibian biodiversity, community structure and habitats were surveyed in the Mt. Myungji area from April 2002 to March 2003. During the survey period 2orders, 4 families, 7 species of amphibians were observed. Bombina orientalis (DI =45.1%) was dominant and Bufo stejnegeri (DI = 12.8%), Rana rugosa and Rana dybowskii (DI = 9.9% each) Rana nigromaculata and Rana huanrenensis (DI 1.4% each), and Onycodactylus fisheri (DI = 7.0%) followed. Frequency of occurrence of O. fisheri and B. stejnegeri was large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altitude and human residence in their habitats.R. nigromaculata and R. huanrenensis showed low frequency of occurrence (<10%) suggesting the decrease in habitation density in this area. The species richness (R'), general diversity (H'), and evenness (E') of amphibians in this area were 0.98, 2.12, and 0.76, respectively, suggesting relatively healthy condition of amphibian community in this area.

Natur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of Wikstroemia trichotoma and W. ganpi, Thymelaeaceae (산닥나무(Wikstroemia trichotoma), 거문도닥나무(W. ganpi) 자생지 생육환경 및 입지환경 특성)

  • Yonghwan Son;Hyun-Jun Kim;Sun-Young L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60-60
    • /
    • 2022
  •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팥꽃나무과(Thymelaeaceae) 산닥나무속(Wikstroemia) 식물은 산닥나무[Wikstroemia trichotoma (Thunb.) Makino], 거문도닥나무[W. ganpi (Siebold & Zucc.) Maxim.] 2종이 분포하고 있다. 산닥나무는 낮은 산지의 그늘진 계곡에서 주로 자생하며, 거문도닥나무는 임연부에서 주로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자생지는 기후변화, 남획 등을 이유로 과거에 비하여 축소되어 유전자원의 현지 내·외 보전이 적극적으로 권장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삼지닥나무, 산닥나무, 거문도닥나무의 생육환경 특성을 파악하여 보존 및 증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확인된 자생지는 3지역 7개소로 산닥나무는 순천지역, 영암지역, 거문도닥나무는 고흥지역에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닥나무는 해발고도 72-248 m, 사면 방위는 북사면, 동사면, 경사는 30-55°의 급경사지에서 주로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방형구(10×10 m) 내 개체수는 8-20 개체가 확인되었다. 거문도닥나무는 해발고도 65-76 m, 사면방위는 동사면, 경사는 20-60°, 개체수는 15-25 개체가 확인되었다. 군집분석은 지표종 분석을 통해 가장 유의한 2개 군집으로 나뉘었으며, 산닥나무는 소나무 군집(Pinus densiflora Sieblod & Zucc.), 거문도닥나무는 곰솔(Pinus thunbergii Parl.) 군집으로 확인되었다. 군집의 안전성, 다양성을 나타내는 척도인 종다양성, 최대종다양도, 균재도 및 우점도지수는 소나무 군집 1.2303, 1.2788, 0.9621, 0.0389, 곰솔 군집이 1.1821, 1.2359, 0.9552, 0.0448로 확인되었다.

  • PDF

Floristic Inventory and It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lgific Talus Slope in a Specific Area of Forest Biodiversity in South Korea (산림 생물다양성 특정지역 풍혈지의 식물목록 및 그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 Jong-Won Lee;Ho-Geun Yun;Tae Young Hwang;Se-Hoon Jeong;Jong Bin A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44-44
    • /
    • 2022
  • 본 연구는 산림 생물다양성 특정 지역인 풍혈지 25개소를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취약한 북방계식물 등의 현지내·외 보전 대책 수립과 풍혈지의 산림유전자원보호지역 지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는 풍혈의 바람이 나오는 핵심지역 10m 를 중심으로 동서남북으로 각각 50m 범위에서 실시하였고, 2016년 4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계절별로 각 1~2회씩 수행하였다. 한국의 25개소 풍혈지의 관속식물상은 125과 486속 947종 23아종 75변종 7품종 총 1,05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조사 면적은 최대 0.09km2로 우리나라 산림면적 62,860km2의 0.00014%에 불과하지만, 우리나라 관속식물의 4,724종 중에서 22.27%가 출현하였다. 이는 풍혈지역이 산림생물다양성의 가치가 매우 높은 지역임을 확인해 볼 수 있다. 특기할만한 식물은 멸종위기야생생물이 산작약, 으름난초 등 6분류군, 희귀식물과 적색목록은 월귤, 개병풍 등 67분류군, 한반도 특산식물과 고유종이 병꽃나무 등 58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개느삼 등 총 31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북방계식물은 토끼고사리 등 181분류군, 석회암지대 식물은 덕우기름나물 등 3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외래식물은 개망초, 달맞이꽃 등 75분류군이 확인되었고, 귀화율 7.13%와 도시화율 12.12%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대상지인 풍혈지 25개소의 식물지리학적 특정식물은 월귤, 흰인가목, 꽃개회나무, 각시괴불나무, 산솜방망이 등으로 파악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