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종 경계

검색결과 394건 처리시간 0.023초

기관에 발생한 근상피종 (Tracheal Myoepithelioma)

  • 김성철;김진국;이재웅;김관민;심영목;김호중;한정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2호
    • /
    • pp.194-197
    • /
    • 1998
  • 근상피종은 방추형, 형질세포양, 상피세포양, 투명세포들의 다양한 비율로 구성되는 양성종양으로 기관내 발생빈도가 극히 희귀하여 현재까지 전세계적으로 1례가 보고 되었으며 국내에서는 아직 보고례가 없었다. 본 증례는 우측 경부 종괴를 주소로 내원한 38세 여자 환자로 갑상선 종양및 기관종괴 진단하에 절제문합술을 시행하였다. 절제된 종괴는 주위와 잘 경계지워지는 충실성 조직으로 이루워져 있으며 주로 방추형 혹은 상피양 세포로 구성되고 간간히 세포질의 투명변성이 보였다. 이들 세포는 S-100 단백과 평활근 액틴에 양성이었고 전자현미경 검색상 세포질내에 다량의 소섬유와 기저막 물질이 세포질외에서 관찰되어 양성 근상피종에 합당한 소견을 보였다. 환자는 술후 8개월째 합병증없이 정상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 PDF

특발성 종격동 섬유증 2례에 대한 보고 (Idiopathic Mediastinal Fibrosis (2 case))

  • 정재승;이성호;손호성;조성준;선경;김광택;정운용;김한겸;김형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2호
    • /
    • pp.113-117
    • /
    • 2003
  • 특발성 종격동 섬유증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특별한 원인 없이 종격동에 섬유화가 진행되는 질환이다. 본 증례는 요통을 주소로 내원한 41세 남자환자와 쉰 목소리를 주소로 내원한 65세 남자환자에서 종격동에 종괴가 관찰되었고 진단적 목적의 흉강경을 이용한 조직 생검을 시행하여 조직 소견상 특발성 종격동 섬유증으로 진단된 2 례를 보고하였다. 수술 소견은 2 례 모두에서 종괴가 매우 단단하였고 주위조직과 단단히 유착되어 있었으며 주위조직과 명확한 경계가 없이 섬유화가 심하였다. 현미경 소견에서 염증세포의 침윤과 함께 다량의 교원질 및 섬유 아세포를 관찰할 수 있었나. 수술 후 약물치료는 시행하지 않았고 5개월과 7개월 추적관찰 중에 합병증은 없었으며 종격동 섬유화의 진행도 보이지 않았다.

GIS에 의한 3차원 동물서식도 제작 (Development of Three Dimensional Animal's Habitat Map by GIS)

  • 박준규;김민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4-62
    • /
    • 2011
  • 현재 세계에 밝혀진 생물종은 160만여 종으로 한국에 밝혀진 자생종은 3만여 종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한국 국립공원 생물종은 1만5천여 종에 이르고 있다. 이 중 한국 국립공원내 멸종위기종은 133종으로 전체 멸종위기종의 6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의 보호와 관리를 위해 실질적인 분포와 이들의 서식지 관계에 대한 것을 바탕으로 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산국립공원 내에 분포하는 동물 개체군을 대상으로 GIS 프로그램을 통해 주요 서식지를 등록하고, 3차원 서식도를 제작함으로써 국립공원에 서식 중인 동물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동식물보호단 동물좌표 파일과 국립공원 경계 폴리곤파일 및 ASTER GDEM 수치표고모델을 이용하여 서식도를 제작하였다. 최신의 지형정보와 서식지정보의 융합을 통해 구축된 새로운 개념의 동물서식도는 향후, 동물의 종별 보호 관리 계획 및 서식지 보호 계획 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것이다.

하악 우측 골체부에서, 동일한 병소 내에 발생한 골내성 거대세포 육아종과 백아질 섬유종의 치험례 (CENTRAL GIANT CELL GRANULOMA AND CEMENTIFYING FIBROMA OCCURRING IN THE SAME LESION OF RIGHT MANDIBULAR BODY : A CASE REPORT)

  • 김일규;하수용;이성준;주영채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3권2호
    • /
    • pp.177-184
    • /
    • 1991
  • 저자등은, 치온부의 종괴를 주소로 내원한 10세 남아의 하악 우측 골체부에서, 동일한 부위에 함께 발생한 골내성 거내세포 육아종과 백아질 섬유종으로 진단된 증례로, 수술시 비교적 작은 크기의 백아질 섬유종은 골내성 거대세포 육아종과 비교적 경계가 잘 지워져 있었고, 두 병소의 발생기원이 서로 다른 점으로 미루어 이들 두 병소는 서로 독립하여 동일 부위에 발생한 것으로 사료되며, 임상적인 관점에서, 거대세포 육아종은 어린나이에 비교적 병소가 크고, 제1 제2 대구치의 치근 흡수 및 피판의 천공 소견을 보여 aggressive type으로 판단되어, 소파술과 전기 소작술을 이용하여 두 병소를 만족스럽게 치험하고, 1년이 지난 현재까지 수술에 따른 후유증이나 재발의 소견을 나타내지 않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강릉 남대천 하구역의 1997년 9월중 대형저서동물의 분포패턴 (Notes on the Benthic Macrofauna During September 1997 Namdaecheon Estuary, Gangneung, Korea)

  • 홍재상;서인수;윤건탁;황인서;김창수
    • 환경생물
    • /
    • 제22권2호
    • /
    • pp.341-350
    • /
    • 2004
  • 본 연구는 동해안에 위치하는 강릉 남대천 하구역의 대형저서생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7년 9월 22일에 총 15개 정점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채집된 저서동물은 총 50종, 5,664개체, 312g WWt의 생물량을 나타냈다. 중요 우점종은 빈모류에 속하는 Oligochaeta unid., 다모류의 Hediste japonica, Rhynchospio Glutaea, Poecilochaetus trilobatus, Scoloplos armiger, Spiophanes bombyx, 단각류의 Platorohestia crassicornis 등이었다. 한편, 정점간 및 종간 유사도 분석 결과에서는 각각 두 개의 그룹으로 나뉘었다. 정점간 분석에서는 하구역 정점군과 해양역 점정군으로, 종간에서는 해양성 종군과 기수-담수성 종군으로 구분되었다. 염분농도 구배에 따른 조하대 저서동물의 분포 양상을 보면, 저서동물의 출현 종 수는 하구역의 12개 정점에서는 총 13종이 출현한 반면, 해양역의 3개 정점에서는 총 43종이 출현하였다. 개체수와 생물량도 해양역이 하구역과 비교해 높았다. 생태학적 지수로써 다양도는 하구역에서 1 이하로 낮았고, 해양역에서 2 이상으로 높았다. 결론적으로, 강릉 남대천 하구역 저서동물의 분포는 하구역 입구부분에 위치한 모래톱을 경계로 염분농도가 급격하게 변화하였으며, 이것을 경계로 두 개의 정점군과 종군으로 나뉘는 특징이 있었다.

두개강내 소아 수막종 16예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MR Imaging of Intracranial Pediatric Meningiomas: Manifestations in 16 Patients)

  • 어홍;김지혜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2권2호
    • /
    • pp.188-196
    • /
    • 2008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소아 수막종의 임상적, 영상의학적, 그리고 병리학적 특징을 기술함에 있다. 대상 및 방법: 병리학적으로 진단된 수막종을 가진 16예의 소아환자를 대상으로 임상기록과 자기공명영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평균연령은 14세 (3-18세)였다. 자기공명영상은 병변의 크기, 신호강도, 경계부의 특징, 내부 구조, 조영증강, 그리고 경막과 뇌실질의 변화를 검토하였고 다른 영상 방법 및 병리소견을 함께 분석하였다. 결과: 종양의 평균 크기는 5.24 cm (1.3-18.1 cm)였으며 12예는 천막상부에 4예는 천막하부에 위치하였다. T2 강조 영상에서 높은 신호강도를 보이는 종양이 9예 있었고 4예에서 동신호강도를, 3예에서 낮은 신호강도를 보였다. T1 강조 영상에서는 낮은 신호강도 11예, 동신호강도 4예, 그리고 높은 신호강도 1예가 있었다. 모든 종양의 경계가 좋았고 조영증강을 보였다. 5예에서 종양은 균질한 양상을 보였으며 나머지에는 낭종이나 괴사에 의해 비균질한 양상을 보였다. 경막 부착 소견이 11예에서, 뇌실질 부종이 10예에서 동반되었다. 컴퓨터 단층촬영 소견은 6예에서 밝은 음영을 보였으며 5예에서 석회화를 동반하였다. 혈관 조영술 상 3예는 내경동맥에서, 4예는 외경동맥으로부터 혈액 공급이 이루어졌다. 병리검사결과 종양의 아형은 이행성 (4예), 수막세포성 (4예), 척삭성 (2예), 섬유성 (2예), 투명세포성 (1예), 유리질화성 (1예), 횡문근양 유두모양 (1예), 그리고 비정형(1예) 수막종으로 진단되었다. 결론: 소아의 수막종은 주로 10대에 발생하며 다양한 병리학적 아형을 보일뿐만 아니라 비정형적인 영상 소견으로 인해 축내 종양으로 오인될 수 있다.

  • PDF

형태특징과 지역특징 융합기법을 활용한 열영상 기반의 차량 분류 방법 (A Vehicle Classification Method in Thermal Video Sequences using both Shape and Local Features)

  • 양동원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97-105
    • /
    • 2020
  • 열 영상은 온도에 따라 방출하는 에너지의 차이를 나타낸 영상이다. 주야간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군사적인 용도로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열 영상은 물체의 경계가 불명확하고 흐릿하게 표현되는 경우가 많으며 화염 등의 열기로 인해 경계부분이 변질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열 영상을 이용하여 표적의 종류를 분류할 때 정확하게 분할된 경계선을 이용할 경우 효과적으로 분류 할 수 있지만, 물체의 경계가 잘못 추출되는 경우 분류의 정확도가 크게 감소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표적 영상의 분할 신뢰도에 따라 형태특징과 지역특징의 분류결과를 융합하는 계층적 분류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연속 영상 기반으로 분류 결과를 갱신하는 기법을 새롭게 제안하여 차량 표적 분류 정확도를 개선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은 실제 군용 표적 4종(전차, 장갑차, 상용차, 군용트럭)이 있는 다양한 자세의 열 영상 20,000장 이상을 이용하여 성능을 검증하였으며, 우수한 성능의 기존 방법 대비 정확도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천 오염물질의 2차원 혼합 해석을 위한 유관추적모형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of Streamtube Routing Model for Analysis of Two-Dimensional Pollutant Mixing in Rivers)

  • 백동해;서일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88-88
    • /
    • 2020
  • 수심평균 2차원 혼합모형은 하천환경에서 다양한 용존성 오염물질의 혼합현상을 모의하기 위해 널리 활용되어왔다. 2차원 혼합모형에서 분산계수는 하천의 전단 흐름에 의해 야기되는 오염물질의 퍼짐 현상을 표현하는 중요한 인자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정교한 오염물질 혼합거동을 모의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분산계수를 산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분산계수를 실험적으로 산정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모멘트법과 추적법으로 나뉘며, 비정상상태의 혼합거동에 대해 종방향 및 횡방향 분산계수를 동시에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은 추적법 계열의 2차원 유관추적법(2D STRP)이 유일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에 유입된 오염물질의 2차원 혼합해석을 위한 수치모형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모형의 수치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Peclet 수의 범위에 대해 기존연구에서 제시된 2D STRP의 적용범위 및 성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기존 2D STRP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개선된 2차원 유관추적법(2D STRP-i)을 개발하고, 사행하천을 모형화한 실규모 하천실험시설에서 검증하였다. 기존 2D STRP의 성능평가 결과, Peclet 수가 낮은 조건일수록 농도분포의 예측 정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하안 경계에 도달하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부정확한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2D STRP의 한계를 보완하여 더욱 정확한 분산계수를 산정하고자 하안 경계면 조건을 고려한 2차원 유관추적법(2D STRP-i)을 개발하였다. 2D STRP-i는 직교-곡선좌표계 기반의 2차원 이송-분산 방정식을 바탕으로 횡방향 유속분포 및 하안 경계조건을 고려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2D STRP-i는 공간적으로 상이한 이송효과 및 하안경계 조건을 적절히 반영함으로써 농도분포의 예측 정확도를 개선 시키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하안경계면에서 농도가 증가하는 구간에서 기존 2D STRP의 결과와 비교하여 더욱 정확한 농도분포 및 분산계수를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식도-위 경계부위를 침범한 위암의 치료 (Treatment of Stomach Cancer Involving Esophagogastric Junction)

  • 이종목;백희종;박종호;임수빈;조재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2호
    • /
    • pp.930-936
    • /
    • 2001
  • 배경 : 식도-위 경계부위에 발생되는 암의 원발병소에는 하부식도의 편평상피세포암, 바렛씨 식도에서 발생한 선암, 위의 분문부에서 발생한 선암, 그리고 상부 위암에서 하부식도를 침범하는 경우들이 있다. 이중 국내에서는 식도-위 경계부위를 침범하는 선암의 대부분은 상부위암의 경계부 침범으로 생각된다. 대상 및 방법 : 저자등은 식도-위 경계부위를 침범하는 위암중 1988년부터 1999년까지 원자력병원에서 수술적 절제를 시행받은 환자를 조사하였다. 결과 : 총 212명이 수술을 받았고 남녀비는 156:56 이었다. 나이는 22세에서 78세였고 정중복부절개, 좌 우 흥부절개 및 복부절개, 그리고 흉-복부 동시절개 등이 이용되었다. 술후 병기는 IA가 7명, IB가 11명, II가 26명, IIIA가 75명, IIIB가 35명, 그리고 IV기가 58명 이었다. 199명에서 근치적 절제를 할 수 있었고 200명에서 위의 전절제를 시행하였다. 164례 에서 하부식도의 침습이 있었다(77.4%). 74.1%는 복부 임파절에 전이가 있었고 17례(8%)에서 종격동 임파절의 침범이 있었다. 수술 사망률은 3.3%였고 전체환자의 5년 생존율은 35%였다. 결론 : 또 여러 가지 수술 접근방법이나 수술시 고려해야 할 점들이 많지만 식도-위 경계부위를 침범한 위암의 수술시 충분한 절제길이와 적절한 임파절의 절제를 위하여 흉부 및 복부의 동시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경계분석을 통한 정책문제 정의에 관한 연구 - 언론보도에 나타난 IT 정책문제 탐색을 중심으로 - (Problem Structuring in IT Policy: Boundary Analysis of IT Policy Problems)

  • 박치성;남기범
    • 한국정책학회보
    • /
    • 제21권4호
    • /
    • pp.199-228
    • /
    • 2012
  • 정책문제는 정책과정에 참여하는 이해관계자들의 다양성 때문에 복잡성을 띄게 된다. 그러나 문제해결의 첫 단추로서 정책문제의 정확한 정의에 대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증주의적 접근에 따라 크게 부각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다양한 정책이해관계자들이 존재하며, 최근 정책문제로서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는 IT 정책분야를 대상으로 문제구조화를 통한 정책문제 경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명박 정부 출범이후부터 올해 7월까지 IT 전문 신문과 두 개의 일간지를 자료수집 대상으로 IT 산업정책 관련 모든 기사를 검색하여, 이 중 특정 인물이 IT 산업관련 정책문제를 언급한 것을 분석함으로서 IT 정책문제의 경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총 1908명의 이해 관계자로부터 총 2614개의 문제가 도출되었고, 이중 겹치지 않는 문제의 수(정책문제의 경계)는 369개로 나타났고, 이는 323명 정도의 이해관계자로부터 문제를 도출하면 정책 문제가 포화함을 의미한다. 세분화된 IT 산업관련 정책문제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던 것은 정부정책관련이었으며, 특히 현 정부의 IT 산업정책의 실패 및 제도적인 측면(컨트롤 타워의 부재) 등이 가장 핵심적인 정책문제로 부각되었다. 한편 이러한 IT 산업 정책문제구조화를 통한 정책문제 경계분석 결과를 기존의 논의들과 비교분석한 결과 현정부 이전부터 지속되어왔던 정책문제들이 아직까지 해결되지 못하고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도출된 정책문제를 세부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정부의 문제만은 아니고, 시장에서의 기업들에 의한 정책문제의 심각성 역시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책문제 경계에 따른 정책문제를 분석할 때, 전반적인 차원에서 문제의 경중에 따라 정책문제를 단순화시켜버리면 또 다른 제3종 오류가 범해질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