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종합 평가

Search Result 4,475,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대학교수 종합평가의 평가내용요소별 가중치

  • Gwon, Gi-Uk
    • 대학교육
    • /
    • s.76
    • /
    • pp.83-89
    • /
    • 1995
  • 교수종합평가는 교육.연구.봉사 영역 모두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 어느 한 영역의 평가결과가 우수하면, 다른 영역의 결과는 그렇지 못할 수도 있다. 모든 영역에서 평가결과가 우수한 경우는 드물다. 그리고 교수종합평가의 평가영역 및 평가요소별 가중치는 개인의 가치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교수의 종합평가나 중점평가에 적용될 가중치는 특정 개인의 주장만을 반영하기보다 많은 사람이 합의한 결정에 근거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여기에서는 보다 많은 대학과 다양한 학문계열의 교수들을 표집하여 객관적인 입장에서 평가영역 및 평가항목의 가중치를 규명하였다. 그 결과로 도출된 가중치는 대학교수들의 평가에 적용되어 평가결과의 타당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종합설계 교과목 평가요소와 방법

  • Kim, Min-Soo
    • Review of KIISC
    • /
    • v.19 no.1
    • /
    • pp.15-22
    • /
    • 2009
  • 공학교육인증을 실시하면서 설계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다. 특히 종합설계의 경우 설계의 기능적 요소와 제한 요소를 반영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전에는 설계교육을 체계적으로 하지 않아서 대학마다 설계교육과 평가방법에 대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종합설계 교과목 수행절차와 방법을 제시하고 이에 맞는 평가요소와 평가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설계 수행절차에서는 설계의 기능적 요소와 제한 요소를 반영하여 설계를 진행하는 과정과 이 때 산출되는 결과물을 제시하여 설계 요소가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종합설계 교과목에 대한 평가는 팀별 평가와 개별 평가로 나누고 실제로 수행했던 평가 방법을 제안한다.

The Effective Functions of the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Elementary and High Schools in view of School Evaluation (학교평가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초.중등학교 종합정보관리시스템의 기능)

  • 이경재;문윤근;김창용;류해수;김영권;배재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682-68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학교평가에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교육정보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이미 도입되어 있는 초.중등학교 종합정보관리시스템의 기능을 활용하였다. 이 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학교평가에 대비하는 시간을 줄이고, 학교평가 자료를 쉽게 추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학교평가 항목을 토대로 현재의 종합정보관리시스템을 분석하여 학교평가의 지원여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효율적으로 학교평가를 지원하기 위해서 반드시 갖추어야하는 종합정보관리시스템의 기능을 제시하였다.

  • PDF

TMP 1000L/s 급 database 구축 및 종합특성평가시스템 진단 기술 개발

  • Gang, Sang-Baek;Sin, Jin-Hyeon;Cha, Deok-Jun;Jeong, Wan-Seop;Im, Jong-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335-335
    • /
    • 2010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진공센터에서는 국제규격에 바탕을 둔 저진공펌프 종합특성평가시스템을 구축하여 $1100mbar\;{\sim}\;10^{-3}mbar$ 압력 영역에서의 저진공펌프(roots, dry 등)류의 종합특성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저진공펌프 종합특성평가시스템은 국제적 절차에 따른 신뢰성을 바탕으로 구축하고 있으나,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진공센터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고진공 종합특성평가 시스템을 구축 하고 있지 않다. 이에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첨단 공정에서 진공 환경을 조성하는 핵심장비인 고진공펌프의 종합특성평가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터보펌프(TMP) 1000L/s 급의 database를 구축 하였다. 터보펌프(TMP)는 throughput method와 orifice method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pumping speed 측정한다. orifice method는 일종의 미세유량 측정 장치이며, 실험값과 계산값 유량의 오차 범위가 작고 신뢰성을 확보하면 throughput method 만으로 측정할 수 있다. Througput method는 $10^{-6}mbar$ 압력 이상의 영역을 측정하며, ultimate pressure 및 $150^{\circ}C$의 bake-out 을 진행하여 base pressure을 측정 할 수 있으며, $10^{-6}mbar$ 압력 이상의 pumping speed를 측정 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정압형 유량시스템을 개발 중에 있으며, inlet pressure와 outlet pressure를 이용한 compression ratio를 측정 한다. Orifice method는 ultimate pressure와 base pressure을 측정하며, leak valve를 이용한 컨덕턴스(C)로 pressure ratio을 이용하여 유량값을 계산하며, $10^{-6}mbar$ 압력 이하의 pumping speed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throughput method와 orifice method의 pumping speed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 및 소음, 진동, 온도 등 특성평가 관련 사항들의 전반적인 사항을 평가하여 터보펌프(TMP) 1000L/s 급의 database를 구축한다. 향후 예비 실험을 통한 고진공펌프의 종합특성평가시스템을 완비해 나가며, 고진공펌프 종합 특성평가시스템을 통하여 국제적으로 공인받을 수 있는 평가기준을 확립하고 그 기준에 의한 진공/기계적 성능의 전방위적인 종합특성진단과 공정대응성 평가 등 국제적 기술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 PDF

Evaluation of Watershed Turbid Water Risk using AHP method Dimension Estimation in River Basin (AHP기법을 이용한 댐 유역의 탁수 위험도 평가)

  • Choi, Dong-Jin;Yum, Kyung-Taek;Ryu, Tae-Sang;Han, Jang-Un;Lee, Geun-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29-1733
    • /
    • 2009
  • 유역에서의 수자원관리에 큰 과제로 대두되고 있는 댐의 탁수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 마련을 위해서 국내 댐 유역의 탁수발생의 가능성과 탁수 발생시 피해 가능성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댐의 탁수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댐 유역의 탁수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종합적인 탁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탁수 평가지표를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서 5개 댐 유역에 대한 시범평가를 실시하였다. 탁수 위험도 평가를 위해서 평가 분야를 탁수 취약성과 탁수 피해성, 탁수 영향의 3가지 분야로 구분하여 계층화된 형태로 종합지표화하였고, AHP기법을 적용하여 평가분야와 세부평가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결정하였다. 시범평가 결과 5개댐 중 실제 탁수발생 현상은 일부 댐에서만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대부분의 댐들이 탁수발생 잠재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평가 대상 댐 중에서는 임하댐과 소양댐 순으로 종합적인 탁수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탁수 평가 지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의 국내외의 조사결과 등을 토대로 90여개의 탁수관련 인자들을 탁수발생 잠재성, 과거 탁수 발생 여부, 탁수 영향 등의 3가지 분야로 분류하여 최종적으로 7가지의 세부평가항목(강우지표, 유역지질, 토사유출량, 최고탁도, 고탁도 지속기간, 용수이용량, 호소생태기능)을 결정하였다. 7가지의 지표들은 탁수와의 상관성을 고려하여 표준화시켰고, 세부 평가항목들의 가중합이 종합적인 평가지표가 되도록 하였다. 댐의 탁수 위험성에 대한 평가는 댐유역의 종합적인 탁수 위험도 평가와 분야별 평가, 댐별 세부항목 평가로 구분하여 이루어졌다. 시범평가는 국내의 주요 5개 수계별로 1개의 댐을 선정하여 이루어졌다. 추가적으로 AHP의 적용시 생길 수 있는 지표의 중복성과 상호연계성, 평가자의 편향 등으로 인한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하여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 PDF

Fuzzy Inference System for the Synthesis Learning Evaluation (종합학습평가를 위한 퍼지추론 시스템)

  • Son, Chang-Sik;Kim, Jong-Uk;Jeong, Gu-Beom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6 no.6
    • /
    • pp.742-746
    • /
    • 2006
  • Evaluation of learning ability of students is classified a step of diagnostic,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 This step-by-step evaluation is the standard of synthesis judgement, from a student's prior learning of preparation state to devotion of learning process and even learning result.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method of synthesis learning evaluation which is considered evaluation of each step in using fuzzy inference. In order to get objective evaluation of learning ability, we applied to the weights by evaluation steps. And we reflected defuzzification values of final evaluation membership function interval obtained by fuzzy inference about diagnostic,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 As a result, it processes definite inference ensures objectivity and shows validity of the synthesis evaluation method.

Quality Evaluation of a Shared Cataloging DB : the Case of KOLIS-NET (KOLIS-NET 종합목록 DB의 품질평가)

  • Kim, Sun-Ae;Lee, Soo-S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0 no.1
    • /
    • pp.95-117
    • /
    • 2006
  • The research purpose for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KOLIS-NET DB which builded bibliographic data of the holding collections of nationwide public libraries. The quality evaluation of the KOLIS-NET DB was inspired by the successful experience from researches precedent and tried to approach the case study focuses on six quality dimensions : coverage, duplication. currentness. accuracy, consistency completeness. The study verified comprehensively the quality of the KOLIS-NET DB through a quality evaluation model and analyzed the factors causing such inferior and substandard bibliographic records in the KOLIS-NET DB.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ality evaluation, the quality improvements of the KOLIS-NET DB was suggested.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odel for Evaluating the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2009~2013)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에 대한 평가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Cha, Sung-J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4 no.4
    • /
    • pp.303-331
    • /
    • 2010
  • With the full execution of the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2009~2013), related bodies and participants, including national administrative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 are increasing and the policy environments are intricately being expanded as well. However, there has been insufficient research on the general aspects of library policie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current circumstanc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oth the problems and suggestions in the areas that need improvements implementing this comprehensive plan. Accordingly, we designed a formative model for evaluating the policy process relating to the comprehensive plan, and then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developed plan based on the Delphi method utilized by library policy experts. We conducted an empirical evaluation of library policy officials who have established and implemented the comprehensive plan. We then used the evaluation results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factors regarding the accomplishments reached each policy stage.

정보시스템의 종합적 품질평가모형에 관한 연구-사용자 관점을 중심으로-

  • 이경근;윤재욱;이명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23-27
    • /
    • 1998
  • 최근 정보시스템에 대한 품질평가가 사용자만족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그것은 단기적인 관점에서의 평가모델로서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종합적인 품질평가가 필요하다. 기술적 측면과 인간적 측면의 성공요인을 모두 포함하여 평가차원을 분류하고, 사용자만족에서 희생을 함께 고려하는 사용자가치가지 확장하는 종합적 품질평가모형을 제시하고 국내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해 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