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종합정보관리시스템

Search Result 816, Processing Time 0.061 seconds

The Effective Functions of the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Elementary and High Schools in view of School Evaluation (학교평가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초.중등학교 종합정보관리시스템의 기능)

  • 이경재;문윤근;김창용;류해수;김영권;배재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682-68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학교평가에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교육정보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이미 도입되어 있는 초.중등학교 종합정보관리시스템의 기능을 활용하였다. 이 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학교평가에 대비하는 시간을 줄이고, 학교평가 자료를 쉽게 추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학교평가 항목을 토대로 현재의 종합정보관리시스템을 분석하여 학교평가의 지원여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효율적으로 학교평가를 지원하기 위해서 반드시 갖추어야하는 종합정보관리시스템의 기능을 제시하였다.

  • PDF

Improvement of a Schoo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 Introduction of Workflow System (학교종합정보관리 시스템의 개선: Workflow 시스템의 도입)

  • 정경환;김창용;남철기;배재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553-555
    • /
    • 2002
  • 초.중등학교에서 활용중인 종합정보관리 시스템 중에서 시설.장비관리 행정시스템은 교육청 단위로의 DB 통합과 전국단위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의 구축, 현장 적합도와 사용자 편이성 미흡 등의 이유로 사용이 중단되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재구축 또는 개정작업이 수반된다. 이러한 개정의 한 방안으로 워크플로우 시스템 도임을 검토하였다. 워크플로우 시스템을 시설.장비관리 행정시스템에 도입하여 운영함으로써 학교종합정보관리 시스템이 업무변화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개선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Improvement of a Schoo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 Enriching School Lunch Management (학교종합정보관리 시스템의 개선: 학교급식관리의 내실화)

  • 김창용;배재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403-405
    • /
    • 2002
  • 초.중등학교에서 활용중인 종합정보관리 시스템 중에서 학교급식 관리시스템은 교육청 단위로의 DB 통합과 전국단위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의 구축, 현장 적합도와 사용자 편이성 미흡 등의 이유로 사용이 중단되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재구축 또는 개정작업이 수반된다. 본 논문에서는 학교급식관리의 내실화를 실현하기 위해 학교종합정보관리 시스템의 개선점을 도출하고 그 실현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Integration of Student Health Record and Electronic Medical Record (학생건강기록부와 전자의무기록부의 통합)

  • 김창용;이복근;배재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562-56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초.중등하교 종합정보관리시스템을 국가인적자원관리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보고 전 국민의 건강정보관리에 이용할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종합정보관리시스템의 학생건강기록부와 의사가 기록하는 전자의무기록부의 통합DB화를 강구하였다. 그 결과, 학교와 병원에서 공통으로 관리해야 할 건강정보들을 파악하였고, 수요자에게는 어떤 정보를 제공하여야 하는지가 밝혀졌다.

  • PDF

A Study on Information Revitalization Plans of Integrated Agriculture Information System (농업 종합 정보 시스템의 제안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Cha Jin-Man;Kang Min-Soo;Lee Sang-Wook;Sung Kil-Young;Park Yeou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675-678
    • /
    • 2006
  • 우리에게 농업은 단순히 식생활의 문제를 떠나 사회에 근간이 되는 분야이다. 하지만 급속히 정보화가 추진되고 있는 다른 분야에 비해 농업분야의 정보화는 그 발전 속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은 살아있는 생물을 다루는 분야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보화는 어쩔 수 없는 당면 과제이기에 정부산하의 농업 관련 기관들은 개별적인 정보화 시스템을 구축 운용해 오고 있다. 현재의 농업 정보화 시스템은 농업관측정보시스템과 농산물 유통 종합정보 시스템 그리고 농축산물 생산 및 수급정보 분석 시스템 등으로 볼 수 있지만 이러한 시스템은 초기의 기대와는 달리 비효율적으로 운영되어진 것이 현실이다. 여기에는 농업관측 모형이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지만 정부 산하의 각 기관들의 개별적인 개발로 인한 중복 투자와 시스템의 비효율적인 윤용 등의 문제점을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현재 개별적으로 운용되고 있는 농업관측 정보 시스템, 농산물 유통 종합 정보 시스템 그리고 농축산물 생산 및 수급 정보 분석 시스템을 통폐합하고 유통관리 시스템과 기술지원 시스템의 구현과 종합 DB 시스템 구축과 이를 통합한 농업 종합 정보 시스템을 제안하며 농업 종합 정보 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한 각종 시책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Present Status of Qualit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in Domestic General Contractors (국내 종합 건설회사의 품질관리 정보시스템 동향 분석 -국내 6개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 Do Young-Suk;Baek Jong-Kun;Kim Jae-Joo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5 no.3 s.19
    • /
    • pp.137-145
    • /
    • 2004
  • Owing to the growth of Information Technology, some of big general contractors have been interested in the development of Qualit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to integrate the information of quality in planning, design, procurement,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phases, and tried to maximize the usefulness of it. But the trend has confined only to some big general contracto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ut together and analyze the character of Qualit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of big general construction companies and classfy them into a result-focused system and a process-focused system in order to provide primary information for both of development and adoption of the systems.

An Establishment of Standard Hydrologic Databases for the Unified Hydrologic Data (일원화된 수문자료를 위한 표준수문 DB 구축)

  • Jeong, Hyeon-Gyo;Cho, Hyo-Seob;Baek, Chang-Hyun;Kim, Hwi-R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457-146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WAMIS), 물정보시스템, 통합홍수예보시스템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수문자료를 통합, 일원화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각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는 수문자료 일부분 혹은 전체를 어느 한 시스템에서 다른 시스템으로 복사 및 이전하여 당시의 기관별 혹은 시스템별로 운영목적에 맞게 관리, 활용되어 왔는데 이들 데이터베이스에는 동일한 내용의 수문자료가 시스템별로 운영되고 있어 자료의 일치성과 관리의 일관성, 관련 시스템간의 연계성, 그리고 향후 정보의 확장성을 고려할 때 이들 개별 수문 데이터베이스 자료를 통합 및 일원화하고 관련된 응용시스템은 통합된 데이터베이스의 자료를 공유하는 형태로 구성할 필요성이 있었다. 그리하여 물관리정보 실무협의회에서 심의 확정된 물관리정보 표준을 기초로 하고 관계되는 물관련시스템과 공동활용 및 상호연계를 위해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과 물정보시스템, 통합홍수예보시스템의 수문자료를 통합 및 일원화하여 표준수문 DB 구조에 적용시킴으로써 자료의 일관성 및 확장성을 확보하고 물 관련 시스템과의 효율적인 연계 및 관리를 위한 수문종합정보 기반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 PDF

Method of systematic river information service (체계적인 하천정보서비스 방안)

  • Hwang, Eui-Ho;Chae, Hyuo-Suck;Koh, Deuk-Koo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217-224
    • /
    • 2005
  • 하천정보의 관리기관이 다양하고 정보의 표현 및 분석단위가 관리주체에 따라 다르며, 하천정보의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정책자료 분석 제공 기능의 부재로 인한 이수 및 치수, 하천 환경 등을 고려한 국가수자원종합계획의 수립을 어렵게 해왔다. 하천 및 유역정보의 관리단위를 일원화하여 국가적으로 표준화시키고, 유역정보, 수문정보 등에 대해서 국가 수자원 정보망의 형성을 통해서 하천정보의 유기적인 공동이용을 추구해야 한다. 또한, 정보시스템 구축에 있어서 시스템간 중복을 방지하고 상호 연계가 원활히 이루어져 대정부, 대국민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 제공이 가능하도록 추진을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정보 신뢰성 높고 다양한 하천정보 DB 구축을 통하여 보다 편리하고 유용한 시스템 사용 환경을 제공 및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하천정보서비스 구축사례를 분석하고 국내 실정에 맞는 하천정보서비스의 구축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중장기종합정보화전략계획 수립과 국내에 적합한 필수 데이터 항목도출, 데이터모델과 구축방법론 표준화로 체계적인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하천공간정보의 유통체계는 기존의 국가공간정보 유통 기구를 이용하는 것이 합리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Quick Repairing Service System Construction in NDIS Environment (NDIS 환경에서의 배전기동보수시스템 연계에 관한 연구)

  • Jang, Moon-Jong;Lee, Bong-Jae;Song, Jae-Ju;Shin, J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663-666
    • /
    • 2001
  • 신배전정보시스템은 국가적 차원에서 수행중인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을 기반으로 계획, 설계, 공사관리, 설비운영의 단계로 순환하는 배전업무의 특성에 따라 순시, 점검, 측정 등 현장업무에 정보체계 표준화를 이룩하고 이를 근거로 수집된 정보의 종합분석을 통해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투자와 보수계획 수립이 가능하게끔 지원하는 종합시스템이다. 또한, 배전기동보수업무는 배전선로의 순시점검과 설비의 개 보수, 각종 측정과 점검, 사고와 고장 처리, 설비와 부하관리 등을 포함하는 중요한 업무 중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이런 업무를 종합배전시스템에 연계함으로써 종합배전시스템의 장점을 기동보수시스템에서 충분히 활용하고, 또한 기동보수시스템의 핵심자료를 종합배전시스템과 연계함으로써 배전정보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업무 생산성이 향상되고 사용자 운영의 편의성이 증대되기를 기대한다.

  • PDF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NTIS) 구축의 기본방향 및 과제

  • Lee By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245-262
    • /
    • 2006
  • 지식과 정보의 창출, 확산은 국가혁신의 원동력으로 크게 부각되고 있어 선진국은 체계적이고 수요자 지향적인 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NTIS)을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그 동안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관별 상호 연계성 미흡, 중복 개발 운영되어 효율성이 낮고, 연구성과 관리가 어렵고 활용도가 저조하였다. 이에 정부는 기술, 시장, 산업, 인력 등이 연계된 전주기 종합정보서비스체제를 구축하여 과학기술정보종합상황판 구축 활용하고자 한다.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으로 하나의 창구로 종합적인 과학기술 정보의 획득이 가능하게 되고 국가연구개발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 분석하여 투명하고 개방적인 연구관리 지원체제로 지식 정보의 체계적인 창출, 확산, 활용 및 공유를 통해 연구개발 생산성 제고 및 새로운 혁신체제를 구축할 계획이다. NTIS 구축의 향후 과제로는 (1) 연구기획 강화를 위한 R&D모니터 및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2) NTIS 표준화의 선결적 추진이 요구된다. 4가지 표준화 영역 중 기술요소표준을 제외한 3개 영역은 별도의 표준화 과제 수행을 통해 추진하되 분류표준 중 기술분류 표준은 인력, 장비, 기자재는 물론, 사업/프로그램 및 과제관리기관 등과 관련성을 가지므로 NTIS표준화의 핵심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