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종합몰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Determinants of Customer Loyalty Toward the Online Shopping Mall (인터넷 쇼핑몰에 대한 고객애호도의 결정요인)

  • 이장우;김현경;이문규
    • Asia Marketing Journal
    • /
    • v.3 no.3
    • /
    • pp.1-137
    • /
    • 2001
  • 인터넷 쇼핑몰은 인터넷의 확산과 더불어 괄목할 만한 성장을 하고 있는 분야로서, 이제는 쇼핑몰과 관련이 없던 기존의 인터넷 사이트들 역시, 전문몰이든 종합몰이든 그 형태에 상관없이 쇼핑몰을 운영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처럼 인터넷 쇼핑몰들은 날로 치열해지는 경쟁 상황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고객들의 애호도 증진을 통한 장기적 경쟁 우위의 확보에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고객애호도를 결정짓는 요인들을 실증적 자료를 통해 살펴보았다. 먼저 고객의 관점에서 인터넷 쇼핑몰의 품질을 평가하는 변수들과 인터넷 쇼핑몰의 고객특성에 대한 평가 척도들을 세분화하고 이들과 고객애호도와의 관계를 파악하는 한편, 온라인 몰과 온라인 스토어 프론트로 구분된 소매점 유형에 따른 고객애호도 결정요인을 각각 규명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인터넷 쇼핑몰들의 소비자 애호도 증진 전략을 논하였다.

  • PDF

전자상거래와 할인점

  • 박영상;이수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5a
    • /
    • pp.21-31
    • /
    • 2000
  • $\square$ 800여 전자상거래 사이트(실제 매출발생 사이트)와 차별화 전략 시도 가. 상품 컨셉 차별화 (국내최초 생식품 위주의 생필품 할인 매장) 나. 운영컨셉 차별화 (백화점식 종합몰이 아닌 할인점식 종합몰) 다. 취급상품 차별화 (직매입상품으로 100% 재고 보유) 라. 최저가격 선언 (할인점보다도 최소 5%-30% 저렴하게-실물 매장 관리비용 상당액을 상품가격 인하에 반영) (중략)

  • PDF

A Comparative Study of Influencing Factors on Shopping Satisfaction and Repeat Purchase Intention Between Internet Shopping Mall Types (인터넷 종합쇼핑몰과 전문쇼핑몰의 쇼핑만족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연구)

  • Chun, Dal-Young;Kim, Chan-Ho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13
    • /
    • pp.1-27
    • /
    • 2004
  •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et shoppingmall typ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mong shoppingmall evaluation criteria, shopping satisfaction, revisit frequency, and repurchase intention across the shoppingmall type. The following results were shown by testing eleven hypotheses using LISREL. First, shoppingmall evaluation criteria such as entertainment, product authentification, economical prices and on-time deliver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shopping satisfaction in general merchandise shoppingmall. Second, in specialty shoppingmall, evaluation criteria like informativeness, economical prices and on-time delivery significantly affected shopping satisfaction. Third, as contrasted with the expectation, site design and product assortment did not have significant impact on satisfaction in both internet shoppingmall types. Fourth, shopping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revist frequency and repeat purchase intention. Finally, som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PDF

의사결정나무와 대응분석을 이용한 사이버 쇼핑몰의 연구

  • Go, Bong-Seong;Kim, Yeon-Hyeong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1.10a
    • /
    • pp.12-12
    • /
    • 2001
  • 정보기술을 바탕으로 전자상거래의 규모는 빠르게 늘어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종합쇼핑몰의 성격을 띠는 사이버 쇼핑몰의 고객과 구매 고객의 특성 등을 살펴보고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한 이탈고객의 분류, 쇼핑몰에 등록된 상품군과 인구특성적인 변수들간의 대응분석을 실시하여 쇼핑몰에 대한 인식을 제고한다.

  • PDF

사이버 쇼핑몰 유형에 따른 신뢰 형성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정철호;정영수;박경혜;조재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5.12a
    • /
    • pp.194-20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온 사이버 쇼핑몰의 신뢰와 관련된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신뢰 형성의 선행요인들을 도출해 낸 후, 이러한 선행요인들이 사이버 쇼핑몰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그 영향요인이 종합쇼핑몰과 전문쇼핑몰로 구분되는 쇼핑몰 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신뢰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로는 거래 안전성, 지각된 평판, 지각된 규모, 상호작용성, 신뢰성향을 설정하고, 이들 요인들이 사이버 쇼핑몰의 신뢰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검증 한 결과, 거래 안전성, 지각된 평판, 상호작용성, 신뢰성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인과관계자 종합쇼핑몰 및 전문쇼핑몰에 따라 어떻게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해 본 결과, 거래 안전성과 지각된 평판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자 발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사이버 쇼핑몰에서 점차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는 신뢰 형성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쇼핑몰 유형별로 비교분석을 해 봄으로써 쇼핑몰에 대한 신뢰 형성의 원천과 그 영향력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이버 쇼핑몰 운영자에게 효과적인 관리전략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

The Formation Process of Customer Loyalty in Internet Shopping Mall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General Merchandise with Specialized Internet Shopping Mall (인터넷 종합쇼핑몰과 전문쇼핑몰에서의 고객애호도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Jang, Hyeong-Yu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8 no.1
    • /
    • pp.101-123
    • /
    • 2006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linking variables of customer loyalty in internet shopping mall including general merchandise and specialized online mall.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study tries to validat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model's elements involving customer satisfaction, customer trust, customer attitude, relationship involvement, and customer loyalty. The same research model was used in analysing general merchandise and specialized internet shopping mall to reveal and compare the casual path constructs.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ll the hypothesis concerned with internet merchandise shopping mall were accepted but the direct effects between satisfaction $\Rightarrow$ loyalty and satisfaction $\Rightarrow$ attitude rejected in case of specialized internet shopping mall. Second, I found out that there were direct or indirect relationships between the mediating variables(satisfaction, attitude, involvement) and site trust and customer loyalty irrespective of internet shopping site patterns. In Particular, the direct effects of on customer loyalty showed the difference each other, but the indirect effects through satisfaction, attitude, or relationship involvement were all accepted. This means that the proper management concerned with indirect path is probably more important for the success of all kinds of internet shopping mall.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lick and mortar companies should clearly understand and articulate the key requirements of shopping mall trust and satisfaction. Second, online companies are encouraged to establish linkage including trust, positive attitude, relationship involvement in order to foster customer loyalty. Third, companies are not only required to differentiate the internet marketing strategy adapting to the patterns of internet shopping mall but also to customize the interaction strategy in the formation process of customer loyalty.

Consum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Internet Shopping Sites - Total Shopping Sites vs. Fashion Specialty Sites - (인터넷 패션쇼핑몰 유형별 소비자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 - 종합몰과 전문몰을 중심으로 -)

  • Choi, Kyung-A;Jeon, Yang-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1 no.2 s.161
    • /
    • pp.300-30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to compare the internet service factors affecting shopping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turn between total shopping sites and fashion specialty sites. Data were obtained from 208 men and women aged between 20-40 who used internet.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chi square test and F test were appl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ome demographic differences between two site shoppers. Young, low-income, student consumers were more likely to visit fashion specialty site than older, high-income, non students were. Second, consumer satisfaction and revisit to the total shopping sites were influenced by site composition, purchasing convenience, and after-purchase service. For the fashion specialty sites, consumer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site composition and after-purchase service while consumer intention to return was only by site composition. Thus, big sized total shopping sites should provide all kinds of online services to satisfy consumers. Small sized, fashion specially sites had better concentrate on site design or fashionable, creative product merchandising to get a competitive edge for young customers.

전자상거래시 고객유지를 위한 인터넷 쇼핑몰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 Kim, Yong-Man;Sim, Gyu-Yeol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6
    • /
    • pp.143-166
    • /
    • 2000
  • 본 연구는 전자상거래의 여러 유형 중에서 최근 논의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인터넷상의 양방향 소매업을 기업과 소비자간 전자상거래를 중심으로 하여 문헌조사를 통해 인터넷 쇼핑몰의 사이트특성 요인과 인터넷 쇼핑몰의 고객 만족, 고객신뢰, 고객관계몰입에 대해 살펴보았고, 실제 종합 인터넷 쇼핑몰에서 엔터테인먼트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인터넷 쇼핑몰 사이트 특성의 각 차원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제품제시를 제외한 모든 요인들 즉, 시스템 성능, 보장, 고객배려는 인터넷 쇼핑몰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침을 실증분석 결과 알 수 있었다. 또한 인터넷 쇼핑몰 고객특성 중 다양성 추구성향이나 소비자혁신성은 쇼핑몰 고객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자기실현성과 정보지향성은 인터넷 쇼핑몰의 고객만 족을 향상시키는 유의적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인터넷 쇼핑몰의 사이트 특성 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고객배려를 제외한 모든 변수가 유의적이지 않은 것 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쇼핑몰의 사이트특성은 만족을 매개로 하여 인터넷 쇼핑몰에 대한 전반적인 신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는 것이 더욱 타당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대한 가설과 일치하게 만족과 신뢰는 몰입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증분석 결과 나타났다 이미 포화상태에 들어간 인터넷 쇼핑몰에서 진정으로 새로운 고객을 창출 하고 고객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노력은 관계마케팅의 개념을 실제 쇼핑몰에서 적 용 시켜야 할 것이며 고객만족, 고객신뢰 및 고객관계몰입은 이러한 마케팅 노력의 핵심 개념임을 실증분석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tudy on the evaluation factors of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quality using Malcolm Baldrige Model (말콤볼드리지 모형을 이용한 쇼핑몰 경영품질 평가모형)

  • Kim, Hee-Ohl;Baek, D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Conference
    • /
    • 2010.04a
    • /
    • pp.171-176
    • /
    • 2010
  •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어떤 쇼핑몰 평가 시스템보다 쇼핑몰의 다양하고도 상호 유기적인 메커니즘을 조화롭게 평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경영품질의 공인된 세계 기준이자 많은 기업들에게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자기평가 기준이며 또한 시스템 경영의 교과서 역할을 하고 있는 말콤볼드리지 국가 품질상의 평가기준을 쇼핑몰에 도입하여, 리더십, 전략기획, 고객 및 시장, 정보와 분석, 인적자원, 프로세스의 여섯 가지 관점에서 쇼핑몰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측정하여 일곱 번째 관점인 최종 사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웹사이트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정량적인 요소들과 정성적인 요인들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을 통해 쇼핑몰 사이트를 평가하고 분석하기 위한 종합적인 모형을 제시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Verification of Mediation with Flow and Trust in ISM (인터넷 쇼핑몰에서 플로우와 신뢰의 매개성 검증에 관한 연구)

  • 정광진;이대용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3.11a
    • /
    • pp.693-703
    • /
    • 2003
  • 최근 인터넷 쇼핑몰과 관련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쇼핑몰 사용자의 경험적인 측면의 중요성이 제기되면서 많은 연구에서 이를 플로우란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최적 경험으로서의 플로우와 그 동안 인터넷 쇼핑몰 관련 연구에서 쇼핑몰에서의 고객 만족과 긍정적 관계에 대해 논의가 있어온, 신뢰와 만족과의 관계를 상호 독립적이 아닌 종합적 측면에서 매개성에 관한 검증을 위해 공분산 구조 분석을 통해 경쟁모델화 하여 비교함으로써 우수 모델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인터넷 쇼핑몰에서 플로우와 신뢰는 상호 독립적인 관계를 고려한 모델 보다 동시성 차원의 매개성의 관계를 모두 고려한 포화모델이 우수한 모델로 도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