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종실유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1초

고추종실유 및 산초유의 투여가 흰쥐의 혈청 및 간장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Seed Oil and Sancho (Zanthoxylum schinifolium) Seed Oil on Serum and Liver Lipids Profiles in Rats)

  • 윤덕효;최용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96-100
    • /
    • 2008
  • 향신성 식용유는 에너지원이나 대사조절물질로서뿐 아니라 식품의 맛이나 향 또는 포만감을 결정하는 지방이다. 본 연구는 0.12% 콜레스테롤 식이를 한 흰쥐에서 대두유를 대조로 하여 향신성 식용유(고추종실유, 산초유)에 의한 지질농도의 조절효과를 평가하였다. 사료중 n-6/n-3 지방산의 비는 8.8:1.2:70.1 (대두유:산초유:고추종실유)로 큰 차이가 있었다. 혈청콜레스테롤 농도는 고추종실유 섭취군에서 다른 군보다 높았으나, HDL-cholesterol/totalcholesterol 비는 고추종실유 섭취군에서 낮았다. 혈청중성지질 농도는 다른 군에 비하여 산초유 섭취군에서 낮았다. 반면에 간장 콜레스테롤 농도는 고추종실유 섭취군보다 산초유 섭취군에서 높았다. 이러한 응답은 식이지방에 의한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의 응답은 조직간 콜레스테롤 분배의 차이에 기인되는 듯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콜레스테롤 함유식이를 한 흰쥐에서 고추종실유는 대두유에 비하여 콜레스테롤상승효과를 보여준 반면, 산초유는 중간적 효과를 보여주었다.

동백종실유(冬柏種實油)의 트리글리세리드의 분자종(分子種)에 관한 연구(硏究) (Molecular Species of Triglycerides in Camellia japonica Seed Oil)

  • 김성진;최은진;임희영;김태숙;조용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7-34
    • /
    • 1991
  • 동백종실유(冬栢種實油)에서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지질(脂質) 성분(成分)을 상호(相互) 분리(分離)하였다. 여기서 얻은 트리글리세리드의 일부(一部)를 취하여 알칼리로 가수분해(加水分解)하거나 또는 pancreatic lipase로 가수분해(加水分解) 하여,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構成) 지방산(脂肪酸) 또는 1, 3- 위치(位置)와 2-위치(位置)에 급합(給合) 한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을 조사(調査)하였다. 나머지 트리글리세리드는 16% $AgNO_3$ TLC로 이중결합선(二重結合敾)별로 나누었으며, 이렇게 나누어진 분획(分劃)을 다시 HPLC로 PN별로 재분획(再分劃) 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획분(劃分)들 중 PN이 같은 것은 모두 모아서 알칼리 가수분해(加水分解)로 PN의 총지방산(總脂肪酸) 조성(組成)을, pancreatic lipase로 1,3 위치(位置)에 결합선(結合敾)한 지방산(脂肪酸)의 조성(組成)을 조사(調査) 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결과(結果)로 부터 구성(構成) 트리그리셀리드 분자종(分子種)을 산출(算出)하였더니 다음과 같은 결과(算出)를 얻었다. 1) 종실유(種實油)는 투명(透明)한 액체(液體)로 그 함량(含量)이 73.5%였으며, 그 중 트리글리세리드가 94.8%, 극성(極性) 지질(極性)이 2.0%, 탄화(炭化) 수소(水素)가 1.8%였다. 2) $AgNO_3$-TLC로 트리글리세리드를 분획(分劃)하였더니 5개의 획분(劃分)을 얻었으며, 대부분(大部分)의 트리글리세리드가 이중(二重) 결합선(結合敾) 3${\sim}$5개인 band 2와 band 3에 80% 이상 존재(存在)하였다. 3) $AgNO_3-TLC$에서 얻은 각 획분(劃分)은 모두가 HPLC상에서 PN 46, 48 및 50으로 나누어졌으며 전체(全體) 분획(分劃)에서 PN 48이 78.13%로 제일 많았으며, 다음으로 PN 50이 12.04%였으며, PN 46이 9.83%였다. 4) 전체(全體) 트리글리세리드 분자종(分子種) 중에서 0.1mol%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분자종(分子種)이 43종(種)이었으며, OOO와 POO가 각각 39.8mol%와 25.8mol%로 제일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OPO가 5.5 mol%, OOL가 4.8 mol%, POS가 3.9mol%, SOO가 3.5mol%. POL이 3.0mol%였다. 또 동백종실유(冬栢種實油)에 존재(存在)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분자종(分子種)의 조성(組成)은 1,3-random, 2-random 분포설(分布說)에 따라 구성(分布說)되어 있었다.

민산초나무 종실(種實)의 유지(油脂) 및 단백질조성(蛋白質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Analytical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Oil and Protein in the Seed of Thornless Chinese Pepper Zanthoxylum schinifoilum var. inermis Nakai)

  • 윤한교;김지문
    • 농업과학연구
    • /
    • 제3권2호
    • /
    • pp.170-176
    • /
    • 1976
  • 야생식용유자원(野生食用油資源)의 개발(開發)을 위하여 민산초나무 종실(種實)의 일반성분(一般成分)과 종실유(種實油)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상(性狀)을 A. O.AC. 법(法)으로, 종실유(種實油)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 및 종실단백질(種實蛋白質)의 amino 산조성(酸組成)을 GLC법(法) 및 amino acid auto analyzer 로 각각 분석(分析)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를 다음과 같이 적요(摘要)한다 민산초나무의 종실(種實)은 비교적 다량(多量)의 유지(油脂)(47.05%), 단백질(蛋白質)(20.14%) 및 회분(灰分)(3.1%)을 함유(含有)하고 있는 영양가(榮養價)가 높은 반식물(飯食物) 또는 식용유(食用油)로 인정(認定)되었다. 민산초나무 종실(種實)에는 극미량(極微量)의 유황(硫黃)(0.02%)과 cyan 화합물(化合物)(0.00005%)이 함유(含有)되였으나 모두 한계량이하(限界量以下)로서 식용유(食用油) 및 생과(生菓)로서 이용이 안전(安全)하다. 종실유(種實油)는 옥도가(沃度價) 145.2로서 건성유(乾性油)에 속(屬)하며 산가(酸價), 감화가, 굴절율(屈折率)등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도 불포화고급(不飽和高級)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에서 특성(特性)을 나타냈다. 종실유(種實油)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은 oleic acid(34.8%), linoleic acid(25.1%), linolenie acid(26.1%)등 필수지방산(必須脂肪酸)의 함량(含量)이 80%이상으로서 식용유(食用油)에 적합(適合)한 것으로 인정(認定)되였다. 종실단백질(種實蛋白質)에서 17종(種)의 amino산(酸)을 분석정량(分析定量)하였으며, lysine, threo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등 필수(必須) amino산(酸)의 함량(含量)이 비교적 높았고, glutamic acid의 함량(含量)(4.985%)이 특히 높아서 단백질원(蛋白質源)으로서 유용(有用)하다고 인정(認定)되었다.

  • PDF

잣나무 종실(種實)의 지방산(脂肪酸) 및 Amino산(酸) 조성(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Analytical Studies on the Fatty acids and Amino acids Composition of Pinus Koraiensis seed)

  • 김지문;윤한교
    • 농업과학연구
    • /
    • 제2권2호
    • /
    • pp.469-474
    • /
    • 1975
  • 잣나무종실(種實)의 일반성분(一般成分) 및 종실유(種實油)의 이화학적성상(理化學的性狀)을 A.O.A.C. 법(法)으로, 종실유(種實油)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 및 종자단백질(種子蛋白質)의 amino 산조성(酸組成)을 GLC법(法)에 의하여 각각(各各) 분석(分析) 측정(測定)한 성적(成績)을 다음과 같이 요약(摘要)한다. 1. 잣나무종실(種實)은 다량(多量)의 유지(油脂)(70.25%)와 단백질(蛋白質)(16.46%) 및 회분(灰分)(2.34%)을 비교적(比較的) 많이 함유(含有)하고 있다. 2. 종실유(種實油)는 옥도가(沃度價) 108,63으로서 반건성유(半乾性油)에 속(屬)하며 산가(酸價), 감화가, 굴절율(屈折率)등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도 불포화(不飽和) 고급지방산(高級脂肪酸) 조성(組成)의 특성(特性)을 나타내고 있다. 3. 종실유(種實油)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은 oleicacid (33.6%), linoleic acid (46.7%)등 고급지방산(高級脂肪酸)의 함량(含量)이 80% 이상(以上)으로 우수(優秀)한 식용유지(食用油脂)에 속(屬)한다. 4. 16종(種)의 amino산(酸)을 분석(分析) 정량(定量)하였으며 lysine, mechionine, threonine, phenylalanine, leucine, isoleucine 및 valine등 필수(必須) amino산(酸)이 고루 비교적(比較的) 다량(多量) 함유(含有)되어 있어 좋은 단백질원(蛋白質源)이라 하겠다.

  • PDF

개암종실(種實)의 가공적성(加工適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1보(報) 종실유(種實油)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 및 열(熱) 안정성(安定性)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Processing Adaptability of Hazelnut Part I.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Heat Stability of Hazelnut Oil)

  • 윤한교;오만진
    • 농업과학연구
    • /
    • 제6권2호
    • /
    • pp.198-204
    • /
    • 1979
  • 개암종실(種實)의 가공적성(加工適性)을 검토하기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로서 종실(種實)의 일반성분(一般成分), 종실유(種實油)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 및 열안정성(熱安定性)과 종실박(種實粕)의 amino acid 조성(組成)을 조사(調査)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실(種實)의 유지함량(油脂含量)은 59.6%이었고 단백질(蛋白質)은 17.3%로서 높은 영양가(營養價)가 인정(認定)되었다. 2. 종실(種實)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은 굴절율(屈折率) : 1,469, 비중(比重) : 0.912, 감화가 : 167.3, 천소가(天素價) : 93.43으로서 불건성유(不乾性油)에 속(屬)하였다. 3. 종실유(種實油)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 oleic acid 가 다량함유(多量含有)되어 있었으며 olive oil 과 비슷하였다. 4. 종실박(種實粕)의 단백질(蛋白質)은 18종(種)의 amino acid 로 구성(構成)되었으며 특히 glutamic acid 의 함량(含量)이 높았다. 5.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는 $150^{\circ}C$ 처리구(處理區)에서 30시간(時間), $180^{\circ}C$ 처리구(處理區)에서 10시간(時間)에 최고가(最高價)에 달(達)하였다가 감소하였으며 carbonyl 가(價)는 가열(加熱)함에 따라 계속 증가하였다. 6. 산가(酸價)는 $150^{\circ}C$ 처리구(處理區)의 30시간(時間)과 $180^{\circ}C$ 처리구(處理區)의 10시간(時間)의 결과(結果)와 비슷하였다.

  • PDF

한국산(韓國産) 겨자과(科) 종실류(種實類)의 화학적(化學的) 조성(組成)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Cruciferal Seed)

  • 김정기;이성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1호
    • /
    • pp.46-53
    • /
    • 1987
  • 한국산(韓國産) 겨자과(科) 종실(種實)의 효과적(效果的)인 이용(利用)을 위해서 6품종(品種)을 대상으로 화학적(化學的) 특성(特性) 및 지방조성(脂肪組成)을 분석(分析)하고 탈지후(脫脂後) 종실박(種實粕)의 아미노산조성(組成)을 분석(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겨자과(科) 종실중(種實中)의 조지방(粗脂肪) 함량(含量)은 $39.1{\sim}46.5%$였다. 2. 종실유(種實油)의 요오드가(價)는 $93.4{\sim}107.2$, 감화가(化價)는 $170.4{\sim}185.0$ 그리고 산가(酸價)는 $0.7{\sim}1.2$이였으며 품종간(品種間) 약간의 차이(差異)가 있었다. 3. 종실유(種實油)의 지질(脂質)은 전지질(全脂質)에 대해서 중성지질(中性脂質)이 $95.8{\sim}96.4%$였으며, 반면 복합지질(複合脂質)은 $3.6{\sim}4.2%$였다. 4. 전체(全體) 지방산조성중(脂肪酸組成中) erucic acid의 함량(含量)은 적갓, 진주대평 및 서울배추는 $33.4{\sim}51.5%$였고, 목포71은 0.8%에 불과하였다. 그리고 oleic acid 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erucic acid 함량(含量)은 감소(減少)하였으며, 중성지질(中性脂質) 획분(劃分)의 지방산(脂肪酸)은 전체(全體)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의 비(比)와 별다른 차이(差異)를 나타내지 않았다. 5. 탈지(脫脂)한 종실박중(種實粕中)에는 glutamic acid, leucine, lysine, arginine및 proline 등(等)이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었고, 이들 5종(種)의 아미노산은 전체(全體) 아미노산에 대하여 약(約) 50%를 차지하였다. 한편 cystine 및 methionine은 적게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6. 필수(必須)아미노산은 전체(全體) 아미노산에 대하여 35% 정도(程度) 차지하였으며, 적갓, 진주대평, 서울배추에서는 methionine 및 phenylalanine이 제 1제한 아미노산이였고, 목포 66, 목포 71 및 목포단교 8에서는 methionine만이 제 1 제한아미노산이였다.

  • PDF

HPLC에 의한 개암종실중(種實中)의 트리글리세리드 조성(組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Triglyceride Composition of Hazel Nut by HPLC)

  • 김미란;고영수;정보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2-124
    • /
    • 1982
  • 한국산(韓國産) 개암 종실(種實)의 트리글리세리드의 조성(組成)을 HPLC에 의(依)해서 용매(溶媒)를 달리하여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즉, 개암 종실유(種實油)의 트리글리세리드는 탄소수 38부터 탄소수 48에 이르기까지 6종(種)의 트리글리세리드가 용매를 아세토니트릴-클로로포름-테트라히드로푸란(75 : 15 : 10, v/v/v)으로 사용(使用)할 때에 나타났으며, $C_{38}$이 4.14%, $C_{40}$ 5.23%, $C_{42}$가 10.03%, $C_{44}$가 24.02%, $C_{46}$이 48.73%이고, $C_{48}$이 7.85%였다. 그러나 동일(同一)한 조건(條件)이나 용매만을 바꾸어 아세토니트릴-테트라히드로푸란(70 : 30, v/v)을 사용(使用)하였을 때는 $C_{48}$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고, 다른 탄소수(炭素數) $C_{38}$부터 $C_{46}$까지는 모두 나타났으며, 그 함량(含量)은 $C_{38}$이 4.51%, $C_{40}$ 5.98%, $C_{42}$가 11.45%, $C_{44}$는 23.14%였으며, 여기에서도 $C_{46}$이 52.92%로서 그 함량(含量)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개암 종실유(種實油) 중(中)에는 $C_{46}$에 해당하는 트리글러세리드의 함량(含量)이 주(主)를 이루고 그 다음으로 $C_{44}$에 해당하는 트리글리세리드가 약 25%로 높았으며, $C_{42}$의 약 11% 및 $C_{40}$$5{\sim}6%$, 그리고 $C_{38}$의 4%의 순(順)이었다.

  • PDF

개암종실(種實)의 지질성분(脂質成分)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pid Components of Hazel Nut Oil)

  • 홍형기;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61-365
    • /
    • 1978
  • 개암종실의 일반성분과 petroleum ether로 추출한 지방질에 대한 몇가지 물리, 화학적 항수, 지방질의 구성분 및 지방산조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암종실의 일반성분은 수분 4.0%, 조단백질 15.5%, 조지방질 64%, 가용성무질소물 11.7%, 조섬유 2.0%, 조회분 2.5%였다. 그리고 참개암이 물개암보다 조지방질의 함량이 약 3%가량 더 많았다. 2) 개암종실에서 추출한 조지방질의 비중$(15/15^{\circ}C)$은 0.916. 굴절률$(15^{\circ}C)$은 1.468이였고, 비누화값은 184, 요오드값은 94.5, 산값은 0.2였으며 비비누화물량은 0.25%였다. 3) 개암종실유에는 중성지질이 약 97%이고 복합지질은 약 3%에 불과하였다. 4) 개암종실유중의 중성지질은 98 %가 triglyceride이고, free fatty acid와 free sterol은 각각 0.5% 및 1.3%였으며 esterified sterol은 검출되지 않았다. 5) 개암종실유의 지방산조성은 oleic acid가 $76{\sim}80%$로 가장 많고 linoleic acid는 약 15%로 그 다음으로 많으며, palmitic 및 stearic acid는 각각 5.0% 및 1.7%였으며, 그외에 linolenic acid와 palmitoleic acid가 각각 0.4% 및 0.8% 함유되여 있었다. 그리고 p/s ratio는 $1.8{\sim}2.8$이었다.

  • PDF

이소플라본과 포도종실유의 보충이 난소절제 흰쥐의 혈중지질 패턴 및 골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soflavone and/or Grape Seed Oil Supplementation on Blood Lipid Profiles and Bone Strength in Ovariectomized Female Rats)

  • 정혜경;최창숙;이지현;박원종;강명화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7호
    • /
    • pp.667-674
    • /
    • 2003
  • Th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soflavone and/or grape seed oil supplementation on serum and liver lipid profiles and bone strength in ovariectomized female rats. Female Spraque-Dawley rats were assigned into 4 groups of ovariectomized (O), isoflavone (0.085 mg/100 g b.w/day) in ovariectomized rats, grape seed oil in ovariectomized rats and isoflavone and/or grape seed oil in ovariectomized rats. After 8 weeks, biochemical profiles of serum, liver and bone were analyzed. Total food intakes, body weight gains and FER (food efficiency ratio)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DL-cholesterol levels in serum were decreased by fed of isoflavone and/or grape seed oils. However, crude lipid and total cholesterol contents in liver were not affect of isoflavone and/or grape seed oil. The hepatic glutathione contents were increased by isoflavone and/or grape seed oil fed. The hepatic glutathione-S-transferase activity in isoflavone and/or grape seed oil supplemented groups were higher than that O group. Bone (scapular and femur bone) dry weight, femur of max weight and bending strength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Our finding suggest that isoflavone/grape seed oils might have potential role for serum lipid profiles improvement and bone strength in vivo.

은행종실유의 all $cis-{\Delta}^{5,11,14}-C_{20:3}$ 지방산 존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esence of all $cis-{\Delta}^{5,11,14}-C_{20:3}$ Fatty Acid in the Seed Oils of Ginkgo)

  • 김성진;이경희;김연심;조용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7-65
    • /
    • 1993
  • The fatty acid, all $cis-{\Delta}^{5,11,14}-C_{20:3}$, in the Gingko nuts oils, was isolated and, purified by urea-adduct method, silver ion silica gel chromatography and HPLC equipped with reversed phase ${\mu}-Bondapak$ $C_{18}$ column. Its structural elucidation was conducted by IR and $^1H$-, $^{13}C$-NMR technique.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seed oils mainly consists of linoleic acid(37.73%), vaccenic acid(18.30%), oleic acid(15.18%), palmitic acid(3.37%), palmitoleic acid(3.37%) and ${\Delta}^5$ NMDB fatty acids(8.50%) in which all $cis-{\Delta}^{5,11,14}-C_{20:2}$ predomin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