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종성

Search Result 1,236,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nalysis of Error Characteristics and Usabilities for Korean Consonant Perception Test (한국자음지각검사의 오류특성 및 유용성 분석)

  • Kim, Dong Chang;Kim, Jin Sook;Lee, Kyoung Won
    • 재활복지
    • /
    • v.18 no.4
    • /
    • pp.295-31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pply the baseline data for auditory rehabilitation in the field through error type and rate of the phoneme which the hearing impaired feel difficulty to discriminate. Thirty participants with sensorineural hearing loss heard KCPT lists through recorded voice by male and female to get the data about error type and KCPT score accordance with talker's gender. In the initial consonant test list, /ㄷ/, /ㅂ/, /ㅃ/, /ㅉ/, /ㅌ/ showed more than 30% error rate while /ㄱ/and /ㄷ/ showed in final consonant test list. The most common error type was the initial consonant substitution or the final consonant substitution for the initial or final consonant test lists. Talker's gender effect was not signigicant showing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scores when compared results from male voice and female voice. It means that KCPT can be used regardless of talker's gender in clinics.

Simultaneous Occurrence of an Acanthomatous Ameloblastoma and a Fibrous Dysplasia in the Maxilla of a Dog (개 상악에서 발생한 유두종성 에나멜아세포종과 섬유성 이형성의 병발)

  • Jung, Dong-In;Yhee, Ji-Young;Sur, Jung-Hyang;Wang, Ji-Whan;Yeon, Seong-Chan;Lee, Hee-Chun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29 no.3
    • /
    • pp.263-267
    • /
    • 2012
  • A 4-year-old female Labrador Retriever dog was evaluated for a mass located in the left maxilla. Skull radiographic and CT findings revealed a soft tissue mass with bone lysis in the region of the left maxilla. Mass resection and surgical curettage was performed, and the mass was histopathologically classified as an acanthomatous ameloblastoma with a fibrous dysplasia.

A Study on the Korean Grapheme Phonetic Value Classification (한국어 자소 음가 분류에 관한 연구)

  • Yu Seung-Duk;Kim Hack-Jin;Kim Soon-Hyop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89-9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대용량 음성인식 시스템의 기초가 되는 자소(grapheme)가 지니는 음가를 분류하였다. 한국어 자소를 음성-음운학적으로 조음 위치와 방법에 따라 분류하여, 그 음가 분석에 관한 연구와 함께 한국어 음성인식에서 앞으로 많이 논의될 청음음성학(auditory phonetics)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한국어는 발음상의 구조와 특성에 따라 음소 분리가 가능하여 초성, 중성, 종성 자소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초성은 자음음소 18개, 중성은 모음 음소(단모음, 이중모음) 17개, 그리고 'ㅅ' 추가 8종성체계의 자음음소로 하였다. 청음음성학적 PLU(Phoneme Like Unit)의 구분 근거는 우리가 맞춤법 표기에서 주로 많이 틀리는 자소(특히, 모음)는 그 음가가 유사한 것으로 판단을 하였으며, 그 유사음소를 기반으로 작성한 PLU는 자음에 'ㅅ' 종성을 추가하였고, 모음에 (ㅔ, ㅐ)를 하나로, (ㅒ, ㅖ)를 하나로, 그리고 모음(ㅚ, ㅙ, ㅞ)를 하나의 자소로 분류하였다. 혀의 위치와 조음 방법과 위치에 따라 분류한 자음과 모음의 자소를 HTK를 이용하여 HMM(Hidden Markov Model)의 자소 Clustering하여 그것의 음가를 찾는 결정트리를 검색하여 고립어인식과 핵심어 검출 시스템에 적용 실험한 결과 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