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종분리

Search Result 3,01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hree Novel Endophytic Fungal Species Isolated from Roots of Medicinal Crops in Korea (약용작물의 뿌리에서 분리된 3종의 국내 미기록 내생균)

  • Park, Hyeok;Jung, Chung Ryul;Eom, Ahn-Heum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 /
    • v.47 no.2
    • /
    • pp.113-120
    • /
    • 2019
  • We isolated endophytic fungal strains from the roots of three medicinal crops, Ligusticum chuanxiong, Angelica gigas, and Cnidium officinale, cultivated at Yeongju, Korea. The fungal strain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analyses of their internal transcribed spacer, large subunit rDNA, and beta-tubulin regions. Thereby, we identified three previously unrecorded endophytic fungal species, Dactylonectria pauciseptata, Rhizopycnis vagum, and Sistotrema sernanderi, in Korea. In this report, we describ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logenetic analyses of these three fungal species.

Hyaluronidase Inhibitor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진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3.04a
    • /
    • pp.128-128
    • /
    • 1993
  • 총 40종 생약의 hyaluronidase에 대한 저해 효과를 검색한 결과, 백지, 오수유, 향부자, 섬백리향, 배풍등, 황금, 황련, 진피, 소리쟁이, 반디나물 등 10종 생약에서 저해 활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권백의 n-BuOH 분획에서 2개의 biflavonoid 성분인 amentoflavone, isocryptomerin을 분리하였으며, chloroform 분획에서 cryptomerin B를 분리하였다. 이들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각종 기기분석 data를 이용하여 결정하였으며, 이들 화합물중 cryptomerin B는 Selaginellaceae에서 처음으로 분리 보고되는 화합물이다. 현재 이들 화합물의 생리 활성에 대하여 검사중이다.

  • PDF

A Robot helps us recycling (나를 도와주는 분리수거 로봇팔)

  • Park, Gunhee;Mo, Seonyang;Lee, Jiho;Choi, Yes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916-919
    • /
    • 2020
  • 이 로봇팔은 테이크 아웃 컵을 플라스틱, 종이, 내용물로 나누어 자동으로 분리수거 해주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테이크 아웃 컵 뿐만아니라 플라스틱, 종이, 캔으로 된 컵들도 분리수가 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Differential Lung Ventilation Therapy for Reexpansion Pulmonary Edema - Report of 2 cases - (분리형 폐환기법을 이용한 재팽창성 폐부종의 치료 -2예 보고 -)

  • 김덕실;김성완;김대현;이응배;전상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6 no.7
    • /
    • pp.527-530
    • /
    • 2003
  • Reexpansion pulmonary edema is a rare complication of the treatment of lung collapse secondary to pneumothorax, pleural effusion, or atelectasis. But occasionally, severe morbidity and death may result. Reexpansion pulmonary edema occurs when chronically collapsed lung is rapidly reexpanded by evacuation of large amounts of air or fluid. In the treatment of the chronically collapsed lung, physicians must remember the possible events and prevent the complications. When the difference in airway resistance or lung compliance between the two lungs is exaggerated, conventional mechanical ventilation might lead to preferential ventilation with hyperexpansion of one lung and gradual collapse of the other. Differential ventilation has been advocated to avert this problem. By differential lung ventilation, we successfully treated a severe reexpansion pulmonary edema in two patients. Therefore we suggest that differential lung ventilation i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severe reexpansion pulmonary edema.

Studies of separation and quantitation for selenium species in food (식품중의 셀레늄 화학종의 분리 및 정량연구)

  • Jang, Hee-Young;Min, Hyungsik;Lee, Jonghae;Pak, Yong-Nam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26 no.3
    • /
    • pp.182-18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parate and quantitate selenium species in some food samples with HPLC-ICP-MS. Cation exchange chromatography showed efficient separation only for inorganic Se species while reversed phase ion pair chromatography showed good separation for both inorganic and organic Se species. $C_8$ column ($Symmetryshield^{TM}\;RP_8$, 3.5 ${\mu}m$, $4.6{\times}150$ mm) was used with optimum condition of 5% methanol mobile phase, 0.05% of nonafluorovaleric acid ion pairing reagent. Five standard Se species of Se(IV), Se(VI), SeCys(selenocystein), SeMet(selenomethionine) and Se-M-C(seleno methyl cystein) were separated successfully under the optimum condition (mobile phase; 5% methanol, ion-pairing reagent; 0.05% nonafluorovaleric acid, flow rate; 0.9 mL $min^{-1}$). To extract Se species, microwave assisted and enzyme-assisted extraction methods were studied. In enzyme-assisted extraction method, protease I for garlic, protease I plus trypsin for pork and mackerel, and protease XIV for tuna showed the best extraction efficiency. With the optimum condition for each sample, it was found that mostly inorganic Se, SeCys and SeMet are present in the sample studied ranging from few ${\mu}g$ $g^{-1}$ to few tens of ${\mu}g$ $g^{-1}$.

저질내의 와편모조류 휴면포자 계수방법 비교 연구

  • 박기홍;김창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29-129
    • /
    • 2003
  • 해양저질에서 휴면포자의 분포와 분포량에 대한 조사는 미래의 와편모조류 적조발생 시기나 장소를 예측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저질내의 휴면포자를 찾고 분리하는 기술이 기본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지금까지 여러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휴면포자 계수방법들을 비교함으로써 연구의 효율을 제고 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 실험에서는 새만금 해역의 동일정점 저질내에 존재하는 휴면포자를 형광 염색하여 계수하는 Primuline 염색법, 해수, 휴면포자, sodium polytungstate의 비중차이를 이용하여 밀도구배원심법으로 분리하는 방법, 그리고 10% HCl로 탄산질을 제거하고 47% HF로 규산질을 제거한 뒤 휴면포자를 계수하는 고전적 계수방법 (palynological technique)을 사용하여 저질 내의 휴면포자를 분리 비교하였다. Primuline 염색법을 이용하였을 경우 Alexandrium famarense/catenella complex, Alexandrium sp. (spherical), Gonyaulax verior, Gonyaulax scrippsea, Gonyaulax spinifera complex등의 일부 종만 염색되어 관찰되었다. sodium polytungstate를 비중 1.3 g$cm^{-3}$으로 조정한 후 휴면포자를 분리한 밀도구배 원심법은 생물에 거의 무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발아가 가능해 휴면포자와 영양세포간의 관계를 규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계수에 있어서는 재현성이 떨어졌다. 반면 Palynological technique은 발아는 되지 않지만 석회질 벽을 가지는 휴면포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종들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실험 목적별로 휴면포자 계수방법을 달리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발아실험을 할 경우에는 밀도구배원심법을, Alexandrium과 같은 특정종의 계수목적시에는 Primuline 염색법을, 정점 내 정확한 종 분포 파악을 위해서는 palynological technique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하지만 종분포 파악시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좀더 신속하고 정확한 실험을 위해 분자생물학적인 기법들이 요구된다.

  • PDF

Diversity of Endophytes Isolated from Thuja koraiensis Nakai in the Korean Peninsula (눈측백(Thuja koraiensis Nakai)에서 분리한 내생균의 다양성)

  • Eo, Ju-Kyeong;Lee, Bong-Hyung;Eom, Ahn-Heum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 /
    • v.44 no.2
    • /
    • pp.113-117
    • /
    • 2016
  • The bio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on Thuja koraiensis in Mt. Hwaak, Seorak, and Hambaek, Korea was investigated. For the 202 isolates collected from the host tree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DNA region sequences-based analysis identified 32 taxa; 61.5% of the isolates belonged to Dothideomycetes, 27.0% belonged to Sordariomycetes, and 11.5% belonged to Leotiomycetes. This composition rate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at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for endophytic fungi inhabiting trees of the family Pinaceae. In particular, Phyllosticta spinarum in Dothideomycetes is a dominant species among the diverse endophytes of T. koraiensis. Therefore, further critical research is required for this species.

독사독의 Inhibitor에 관한 연구

  • 이동의;서정훈;방병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Microbiology Conference
    • /
    • 1976.10a
    • /
    • pp.189.1-189
    • /
    • 1976
  • 본인등이 Agirtrodon halys blomohoffi 및 Trime-resurus flavoviridis 독에 대한 inhibitor를 미생물계에서 분리코져 시도한 것은 1966년경 부터였으며 그 후 1971년에 inhibitor 2종을 분리하게 되었으며 이 2종의 inhibitor는 그 작용상이 대단히 유사하나 금속에 대한 성질, 그 정제성등에 다소 차이를 나타내었다. 금반에는 이 2종 inhibitor의 작용조건 및 그 작용상에 대해서 발표코저 한다.

  • PDF

울산광역시 삼산동 매립장 침출수 정화를 위한 AquaMats(R)상에서 미생물의 분리 및 동정에 관한 연구

  • Lee, Jun-U;Kim, Jwa-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395-398
    • /
    • 2006
  • 울산 삼산동 매립장 침출수의 수질정화 공정을 위해 새로운 여재인 AquaMate$^{(R)}$가 사용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AquaMat$^{(R)}$에 서식하고 있는 여러 미생물 중 우점종으로 여겨지는 3종의 미생물을 각각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이들 미생물은 그램 염색 결과 모두 간균 형태의 그램 음성으로 나타났으며, 각각 Agrobacterium radiobacter, Pseudomonas cepacia, Flavobacterium indologenes로 판명되었다. 이들,3종의 미생물은 모두 침출수에서는 잘 자라지 못하였으나 yeast extract같은 생장촉진물질의 존재 하에서는 침출수에서 빠른 생장속도를 보여주었다.

  • PDF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Watermelon(Citrullus vulgaris S.) and Oriental Melon(Cucumis melo L.) (국내산 수박(Citrullus vulgaris S.) 과 참외(Cucumis melo L.) 의 휘발성 향기성분)

  • Kim, Kyong-Su;Lee, Hae-Jung;Kim, Sun-Mi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1 no.2
    • /
    • pp.322-328
    • /
    • 1999
  •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watermelon (Citrullus vulgaris S.) and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obtained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apparatus were separated by gas chromatography (GC)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irty seven and fifty five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watermelon and oriental melon, respectively. (Z)-3-Nonen-1-ol, (Z,Z)-3,6-nonadien-1-ol, (E,Z)-2,6-nonadienal and (E)-2-nonenal containing unsaturated nine carbon atoms were the characteristic flavor components of watermelon. $C_{9}-Unsaturated$ esters including (Z)-3-nonenyl acetate, (Z)-6-nonenyl acetate, (Z,Z)-3,6-nonadienyl acetate and thioester were important components in the flavor profile of oriental mel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