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종분리

검색결과 3,019건 처리시간 0.036초

각종 곡류들로부터 야생 효모의 분리 및 종 다양성 (Isolation and Diversity of Wild Yeasts from Some Cereals)

  • 한상민;박원종;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64-67
    • /
    • 2015
  • 전통 재래시장 등에서 수집한 곡류 11점에서 효모 14종 26균주들을 분리 동정하였다. 이들 균주 중에서 Saccharomyces cerevisiae가 5균주로 단일 종으로는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Pseudozyma antarctica도 4균주가 분리되었으며 Cryptococcus magnus를 포함하는 Cryptococcus도 5종이 분리되었다. 또한 서리태와 차조에서 각각 4종의 비교적 많은 야생 효모들이 분리되었다.

Rhizoctonia solani의 균사융합군 및 배양형별 작물에 대한 병원성 (Pathogenicity of Anastomosis Groups and Cultural Types of Rhizoctonia solani on Crops)

  • 김완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1-32
    • /
    • 1996
  • Rhizoctonia solani 균주들의 각 균사융합군 및 배형별 72종의 기주작물에 대한 병원성을 접종실험에 의해 조사하였다. 33종의 작물에서 단독으로 분리된 균사융합군 및 배양형은 그 기주작물에 병원성이 강하였으며, 8종의 작물에서 단독으로 분리된 것들은 병원성이 약하거나 강하였고, 6조의 작물에서 단독으로 분리도니 것들은 병원성이 약하거나 없었다. 26종의 작물에서 같이 분리된 균사융합군 및 배양형은 그 기주작물에 대한 병원성이 대부분 다르거나 간혹 비슷했다. AG-1(IA)는 1종을 제외한 기주작물에 잎마름병 혹은 잎썩음병과 잎집무늬마름병을 일으켰다. AG-1(IB)는 19종의 기주작물에 잘록병과 잎마름병 혹은 잎썩음병을 일으켰으나, 9종의 기주작물에는 병징을 약하게 유발시키거나 혹은 유발시키지 못했다. AG-1(IC)는 2종의 유채속작물에 잘록병과 밑둥썩음병 혹은 잎썩음병을 일으켰다. AG-2-1은 1종을 제외한 기주작물에 잘록병, 밑둥썩음병, 관부썩음병, 눈마름벼, 뿌리썩음병, 잎마름병을 일으켰다. AG-202(IIIB)는 기주작물에 뿌리 및 줄기썩음병, 잎마름병, 잘록병, 잎자루썩음병을 일으켰다. AG-2-2(IV)는 기주작물에 잘록병, 관부썩음병, 줄기썩음병, 라이족토니아마름병을 일으켰다. AG-3은 감자에 검은무늬썩음병을 일으켰다. AG-4는 42종의 기주작물에 여러 가지 병을 일으켰으나, 3종의 기주작물에는 잘록병, 눈마름병, 잎집무늬마름병을 일으켰으나, 9종의 기주작물에는 병징을 약하게 유발시키거나 혹은 유발시키지 못했다.

  • PDF

유기인계 살충제 fenitrothion 분해미생물 탐색 (Screening of Organo Phosphorus Insecticide Fenitrothion-Degrading Microorganisms)

  • 최혁;김복진;배도용;이영득;강선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79-285
    • /
    • 1998
  • 논, 밭, 임야, 오염지 토양과 폐수 등 124 지점의 미생물 급원에서 fenitrothion 분해미생물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총 1,071 균주를 1차 분리하였다. 배지별로는 nutrient agar, potato dextrose agar, Actinomyces isolation agar 및 basal salt medium 고체배지에서 각각 601, 201, 168, 101종의 활성균주를 1차 분리하였다. 이 중에서 fenitrothion 분해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미생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액체배양을 통한 GLC분석 결과 분해율이 80% 이상인 균주 28종을 2차 선발하였다. 이들을 선발배지별, 미생물 급원별로 살펴보면 NA 배지에서는 논토양에서 3종, 밭 토양에서 3종, 임야 토양에서 2종, 오염지 토양에서 4종이 각각 분리되어 총 12종이 분리되었다. PDA 배지에서는 논 토양에서 1종, 밭 토양에서 2종, 임야 토양에서 2종, 오염지 토양에서 3종이 각각 분리되어 총 8종이 분리되었다. BSM 배지에서는 논 토양에서 1종, 임야 토양에서 1종, 오염지 토양엣 6종이 각각 분리되어 총 8종이 분리되었다. 그러나 AIA 배지에서는 모든 균주가 fenitrothion 분해율이 50% 이하이었다. 한편 100mg/ l의 고농도 fenitrothion 첨가 배지에서 2차 선발 균주를 강화배양하면 세균 중에는 Npa1과 NFo1 균주가, 사상균 중에서는 PFo1과 BPo1 균주가 분해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팽나무버섯(Flammulina velutipes) 단포자 분리주의 유전적 변이성 (Genetic Variability of Flammulina velutipes Monosporous Isolates)

  • 공원식;김동현;김영호;김경수;유창현;변명옥;김광호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2호통권81호
    • /
    • pp.111-120
    • /
    • 1997
  • 팽나무버섯[Flammulina velutipes(Curt. ex Fr.) Singer]의 새로운 우량균주를 육성하고자 단핵균주를 분리하여 이들의 특성을 조사하고 계통내 교배 시험한 결과 백색 재배종에서 분리된 단핵균주는 모균주에 비해 균사생장의 변이가 적고, 균총의 색이 모두 백색이며 RAPD 밴드로 본 변이가 적었던 반면, 갈색 자생종에서 분리된 단핵균주는 균총의 색이 백색, 갈색, 연갈색으로 분리되고 RAPD 밴드에 다양한 변이를 보였다. 또한 백색 재배종의 교배형은 A1A2B1B2 교배형이었으나, 갈색 야생종의 교배형은 백색종과 교배형이 다르게 나타나 A3A4B3B4교배형으로 결정하였다. 백색 재배종에서 분리한 단핵균주간 자식교배에 의하여 육성한 이핵균주는 모본보다 자실체 수량이 적고 수량의 변이 폭이 컸다. 갈색 자생종에서 분리한 단핵균주를 서로 교배한 결과 자실체의 색깔에 변이를 나타내었는데 백색 자실체를 형성하는 교배균주 중에는 모본보다 수량이 많은 이핵균주도 있었다. 따라서 갈색 자생종의 자식교배로 현재 재배되는 순백계와는 다른 새로운 백색계통을 육성할 수 있었다.

  • PDF

임상적으로 건강한 조랑말의 결막 진균총 조사 : Nocardia 종 및 Streptomyces 종을 포함하여 (Conjunctival fungal flora of the clinically normal pony eye : Including Nocardia and Streptomyces species)

  • 서강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17-225
    • /
    • 1998
  • 영국 Hertfordshire의 두지역에서 사육되고 있는 건강한 조랑말의 결막낭내 상존하고 있는 진균총의 분포도를 조사 비교하고자 36두 조랑말의 양안(총72안)의 상 하 결막낭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진균을 분리 동정하였다. 총 76.4%의 안구에서 진균이 발견되었으며, 13종이 분리되었다. 전체적으로 가장 많이 분리된 진균은 Aspergillus spp(27.8%), Nocardia spp(25.0%), Cladosporium spp(19.4%), Penicillium spp(9.7%) 및 Penicillium spp(9.7%)순이었다. 1지역에서는 Nocardia spp와 Cladosporium spp가 가장 많이 분리된 반면, 2지역에서는 Aspergillus spp가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상 하결막낭내 진균분리율의 차이는 상결막낭에서보다는 하결막낭내에서 진균이 유의성 있게 많이 분리되었다(p<0.05). 시료채취시에 사용된 swab의 상태에 따른 비교에서 건조된 swab과 젖은 swab간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 PDF

신선초의 식용부위별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Various Edible Portions of Angelica keiskei Koidz)

  • 박은령;이해정;이명렬;김경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41-647
    • /
    • 1997
  • 신선초의 전초, 줄기, 잎에서 제조된 생즙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n-pentane과 diethylether혼합용액(1:1, v/v)을 추출용매로 하여 연속수증기증류추출(SDE)방법으로 추출하였다. 이들 성분을 GC의 Rl 및 GC/MS에 의해 확인 동정하였다. 신선초의 전초, 줄기, 잎의 생즙에서 각각 52종, 38종, 43종의 화합물이 분리 동정 되었다. 전초에서 분리 동정된 성분들은 탄화수소류가 25종으로 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알코올류가 15종, 알데히드류가 3종, 에스테르류가 6종, 케톤류가 2종 그리고 산류가 1종 동정되었다. 신선초의 줄기에서도 전초에서 분리 동정되었던 성분들과 같은 화합물이 확인되었는데 탄화수소류가 20종, 알코올류가 14종, 에스테르류가 4종, 산류가 1종 확인되어 총 38종이 동정된 반면에 전초와 잎과는 달리 알데히드류와 케톤류는 동정되지 않았다. 신선초의 잎에서는 탄화수소류가 19종, 알코올류가 11종, 알데히드류가 4종, 에스테르류가 6종, 케톤류가 2종 그리고 산류가 1종이 확인되어 총 44종이 동정되었다. 신선초의 전초, 줄기 그리고 잎에서 ${\gamma}-Terpinene$과 germacrene B이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였으며, ${\delta}-3-carene$, cis-3-hexen-1-ol 그리고 ${\gamma}-elemene$도 다량 확인되어 이러한 화합물이 신선초에서 추출한 정유의 주요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신선초의 각 부위에서 분리 동정된 정유성분을 정량한 결과, 잎에 171.42 mg/kg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전초에 124.85 mg/kg, 줄기에 55.25 mg/kg가 함유되어 있었다. 신선초의 전초에서 분리 동정된 52종의 화합물에는 monoterpene hydrocarbon, sesquiterpene hydrocarbon과 이들의 유도체들인 terpenoid계 화합물이 40종 확인되었는데, 신선초 정유성분 중 terpenoid계 화합물이 전초, 줄기 그리고 잎에 각각 75.76%, 86.42%, 78.21%의 비율로 포함되어 이들이 신선초 생즙에서 추출한 정유성분의 주체로 간주되었다.

  • PDF

뽕나무하늘소(Apriona germari) 및 왕똥풍뎅이 (Aphodius apicalis) 사충으로부터 무독성 Bacillus thuringiensis의 분리 (Isolation of Non-toxic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s from the Dead Larvae of Apriona germari and Aphodius apicalis)

  • 장진희;박현우;진병래;윤형주;마형일;강석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64-269
    • /
    • 1997
  • 뽕나무하늘소(Apriona germari) 및 왕똥풍뎅이 (Aphodius apicalis) 사충으로부터 4종의 Bacillus thuringiensis를 분리하였다. B. thuringiensis의 편모 항원에 의한 동정 결과, 4종의 분리된 B. thuringiensis 중에서 1종은 darmstadiensis 아종으로 판명되었으나, 나머지 3종은 33종의 어느 B. thuringiensis 편모 항체와도 반응하지 않았다. 분리된 균주의 포자와 내독소 단백질 혼합물을 이용하여 뽕나무하늘소와 왕똥풍뎅이, 누에(Bombyx mori) 및 빨간집모가(Cules pipiens pallens) 유충에 대하여 생물검정한 결과, 이들 분리주들은 검정된 곤충에 대하여 독성을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SDS-PAGE와 agarose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하여 분리된 4종의 B. thuringiensis의 내독소 단백질과 plasmid DNA 패턴을 조사한 결과, darmstadiensis와 이미 보고된 20종의 무독성 B. thuringiensis와 차이를 보여 새로운 무독성 균주로 사료된다.

  • PDF

김치에 서식하는 Gram 양성세균의 분리 및 동정의 재평가 (Reevaluation of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Gram-positive Bacteria in Kimchi)

  • 임종락;박현근;한홍의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04-414
    • /
    • 1989
  • 김치발효 중 Gram 양성세균 또는 유산균의 분리와 동정을 시도하였다. 종의 다양성은 분리배지와 온도에 영양을 받았고, 다양성은 온도가 낮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MRS는 세균의 분리에 KM(김치재료로 만든 자연배지)은 종의 수를 파악 하는데 각각 적합하였다. 분리균의 동정은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ogy (1986)를 기초로 하여 작성한 이 분농생표(dichotomous Identification scheme)에 의하여 선행하였다. 각 온도(5, 15, $25^{\circ}C$)에서 동정된 Gram 양성세균은 Leuconostoc 5종, Streptococcus 4종, Pediococcus 3종, Bacillus 2종 그리고 Ltobacillms 18종이였다. 각 온도에서 출현 빈도가 높은 종은 $25^{\circ}C$에서 LactobaIlus ptantanmz, Streptococcµs faffinolactis, Leuconostoc maιnteroid, subsp mlsentιroides 이었고, $15^{\circ}C$에서 L. mesenteroides Lactobacillus fructosus, L. maen teroid,l.I subsp. mesent,roid, 이였고, $5^{\circ}C$ 에서 Leuconostoc sp.(65.2 빈도)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그리고 각 온도에 따른 김치발효 중 지금까지 알려진 Pediococcus cerevisiae 와 Streptococcus faecalis는 분리되지 않았다.

  • PDF

박테리오신의 생산을 위한 두부비지의 이용 1. 두부비지에서 분리한 Bacillus sp.에 의한 Amylase의 생산조건 (Utilization the Tofu-Residue for Production of the Bacteriocin 1. Cultural Conditions of Bacillus sp. for Amylase)

  • 이선희;이명숙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71-276
    • /
    • 2000
  • 시중에서 시판되고 있는 발효비지로부터 총 58종의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그 중 starch 첨가 배지에서 투명환을 형성한 10종을 분리하였다. 이 10종의 균주를 정량적으로 amylase활성 측정을 하여 가장 큰 활성을 가진 2종의 균주를 재분리하여 공시 균주로 선정하였다 공시 균주를 동정한 결과 두 균주 모두 Bacillus sp로 동정되었으며, 각각 을 Bacillus sp. GM7330과 Bacillus sp. GM7312라고 명명하였다. 분리된 2종의 균주는 모두 5% 두부비지 용액에 glucose 3%와 yeast extract 0.15%를 첨가하여 초기 pH를 6.0으로 조정하여 30。C에서 72 hr 배양하였을 때 각각 488 units과 341 units_로 가장 큰 활성의 amylase를 생산하였다.

  • PDF

이성화 효소의 생산에 관한 연구 (1) 이성화 효소를 생산하는 Strepto-myces 속균의 분리

  • 정태화;한문희;김현욱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75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180.3-180
    • /
    • 1975
  • 당질로서 xylose 및 xylan을 기질로 하는 영양 배치에서 강력한 포도당 이성화 효소를 유도 생산하는 Streptomyces속 군주를 약 90종의 토양분리균에서 분리하였다. 이들 중에서 가장 강한 이성화 효소를 나타내는 6종의 Streptcmyces sp.를 분리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