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종묘

검색결과 620건 처리시간 0.037초

강릉연안 토종 다시마의 양식 연구

  • 김형근;박중구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147-148
    • /
    • 2003
  • 동해안의 강릉 연안에 자생하는 토종 다시마인 개다시마는 산업적으로 개발의 여지가 매우 크다. 그러나 천연 자원량에 의존하고 있는 가공산업은 해황에 따라 원료 공급이 좌우되는 불안정성을 가지고 있어서 이 식물의 산업적 생산량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량양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동해안 토종 다시마인 개다시마의 종묘생산기술 개발을 위해서 항온배양기와 실내수조배양을 실시하고 바다 가이식 양성에 의한 환경적응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2001년 10월에 강릉연안 수심 20m에서 분포하는 개다시마 군락의 모조로부터 유주자액을 받아 온도 5, 10, 15, 20, $25^{\circ}C$, 조도 40, 80, 120 $\mu$mol m$^{-2}$ s$^{-1}$의 조건에서 6주간 정치배양하였다. 유주자의 발아 및 아포체 생장 실험 이후 바다 가이식 및 양성실험은 2002년 1~2월까지 1개월간 실시하였다. 유주자의 발아 및 아포체 형성은 1$0^{\circ}C$, 120$\mu$mo1 m$^{-2}$ s$^{-1}$에서 배양 2주만에 가장 먼저 아포체의 발아가 관찰되었으며, 이후 15$^{\circ}C$와 5$^{\circ}C$에서 순차적으로 아포체의 발아가 이루어졌다. 2$0^{\circ}C$는 80, 120$\mu$mol m$^{-2}$ s$^{-1}$에서 소수의 아포체만이 관찰되었으며, $25^{\circ}C$에서는 아포체가 형성되지 않았다. 아포체는 1$0^{\circ}C$에서 가장 좋은 생장을 보였고, 15$^{\circ}C$와 1$0^{\circ}C$에서는 비슷한 생장을 나타냈으며, 2$0^{\circ}C$에서는 80$\mu$mol m$^{-2}$ s$^{-1}$에서만 아포체의 형성이 관찰되어 가장 낮은 생장을 보였다. 동일 온도에서는 조도에 따른 생장의 차이가 많이 났는데, 40$\mu$mol m$^{-2}$ s$^{-1}$에서 가장 좋은 생장을 나타냈다. 80과 120$\mu$mol m$^{-2}$ s$^{-1}$에서는 120$\mu$mol m$^{-2}$ s$^{-1}$이 약간 좋은 생장을 보였지만 큰 차이는 나지 않았다. 생장이 가장 좋은 조건은 1$0^{\circ}C$, 40$\mu$mol m$^{-2}$ s$^{-1}$으로 엽장 1.28mm까지 생장했다. 전체적으로 수심이 깊은 곳에 서식하는 특성상 저수온과 저조도에서 좋은 생장 경향을 보였다. 실내배양을 통해 얻은 엽장 약 1~2mm의 종묘를 2002년 1월말에 삼척 호산에 위치한 바다 양성장에서 종묘들과 함께 2주간 수심별로 가이식(수온 12$^{\circ}C$)을 실시한 결과, 수심 1m에서 좋게 나타나 엽장이 약 5mm정도 생장하였다. 수심 0m에서는 강한 조도에 의해 엽상체가 사그라드는 기형이 나타났으며, 수심 5m에서는 엽상체의 기형이나 생장의 차이는 없었지만, 색택이 약간 바랜 것을 볼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종묘의 관리나 생장에는 수심 1~2m가 양호할 것으로 생각된다. 바다 가이식을 통해 엽장 5mm의 종묘로 생장시킨 후 바로 본양성장에 씨줄감기를 하여 양성을 실시하였다 양성 1개월 후 엽상체는 약 2~3cm, 최대 4~5cm까지 생장하였다. 이를 통해 강릉연안 토종 다시마인 개다시마에 대한 종묘 생산과 대량 양성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일본잎갈나무림과 침활혼효림의 입지환경이 산양삼 종묘의 초기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cation Environments on Early Growth of Wild-simulated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Seedlings in Larix kaempferi and Mixed Forest)

  • 김기윤;엄유리;정대희;어현지;전권석;김현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3호
    • /
    • pp.313-324
    • /
    • 2020
  • 본 연구는 일본잎갈나무림과 침활혼효림의 입지환경이 산양삼 종묘의 초기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일본잎갈나무림과 침활혼효림에 시험포지를 조성하고, 입지환경과 산양삼 종묘의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입지환경 중에서 토양 유기물, 전질소, 양이온치환용량과 같은 토양특성은 일본잎갈나무림에 비해 침활혼효림에서 높게 나타났고, 산양삼 종묘의 생육특성 또한 일본잎갈나무림에 비해 침활혼효림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시험포지 내 수종 비율, 토양특성, 산양삼 종묘 생육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토양특성과 생육특성은 활엽수림의 비율과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토양특성 중에서 유기물, 전질소, 양이온치환용량이 산양삼의 생육과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잎갈나무림과 침활혼효림의 입지환경 중에서 임상과 토양특성이 산양삼 종묘 생육특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을 구명할 수 있었고,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산양삼의 최적 재배지를 선정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로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건의궤로 살펴본 벽(壁)의 명칭에 관한 고찰 - 종묘 정전·영녕전의 갑벽(甲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ame of the walls in YeonggeonUigwe Based on the gap wall of the Main Hall and Yeongnyeongjeon Hall of Jongmyo Shrine in the Joseon Dynasty)

  • 홍은기;곽이라;한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4호
    • /
    • pp.4-21
    • /
    • 2021
  • 본 연구는 조선시대 건축 공사 기록인 영건의궤에서 조선 후기 건물에 구성되었던 벽의 명칭과 유형을 살펴보고, 종묘 정전과 영녕전에 사용된 벽에 대해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벽의 명칭은 성격에 따라 방향·위치, 형상·기능, 재료, 복합 등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벽 앞에 성격을 의미하는 단어가 합쳐진 합성어로 사용되었다. 둘째, 벽의 유형 중 재료와 관련된 일부 벽은 사용 시기에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18세기 이후 토벽의 사용은 줄고 목벽(판벽), 지벽의 사용이 많은 것으로 확인된다. 셋째, 종묘 정전과 영녕전의 벽은 흙벽과 화방벽이 사용되었으며, 고주열 중인방 상부는 흙벽으로, 외부는 화방벽으로 구성되었다. 화방벽은 종묘 정전의 경우 기둥까지를 포함한 일체화된 모습으로 설치된 반면, 영녕전의 경우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만 설치되었다. 넷째, 갑벽은 의궤 내 사용된 용례들과 현재 건물의 비교를 통해 '종묘 내 건축물 구성 시 사용된 중인방 상부에 설치한 벽'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익숙한 까닭에 연구가 미비했던 벽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에 사용되었던 벽의 명칭들과 용례를 기록과 실제 건물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고 갑벽의 정의를 밝히기 위해 시도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자연산 및 양식산 조피볼락 치어의 영양학적 특성 비교

  • 이해영;박민우;전임기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72-273
    • /
    • 2000
  • 수산자원의 남획, 연안오염의 증대와 간척ㆍ매립에 의한 연안어장의 축소 등의 요인에 의해 수산자원은 감소하고 있는 실정으로, 보다 종합적이고 효율적인 연안어장의 관리 방법으로 바다목장화 사업의 추진이 필요하게 되었다. 바다목장화에 의한 연안의 수산자원증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방류종묘의 종류와 방류량이 증가하였으나, 방류 종묘의 품질과 방류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이와 관련하여 바다목장화에 대한 연구가 선진국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중략)

  • PDF

해산어 종묘생산을 위한 물벼룩(Moina macrocopa)의 대량생산

  • 강석중;최병대;김광양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93-194
    • /
    • 2000
  • 근래에 들어 어류 양식 분야가 활기를 띠면서 어류 종묘생산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럼으로 인하여 먹이생물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졌고 이에 대응하는 먹이생물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먹이생물로 이용되어온 것은 chlorella와 rotifer, artemia 등이며 chlorella와 rotifer는 현재까지 배양하는데 별다른 문제가 없어 이용되고 있으나 artemia는 전세계적으로 생산이 급감하는 추세이며 우리 나라의 경우는 전량수입에 의존하여 국가적 손실이 크므로 이에 대한 대체먹이생물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중략)

  • PDF

PCR-RFLP 분석에 의한 뱀장어의 구별

  • 김우진;이정호;김경길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2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85-186
    • /
    • 2002
  • 최근 수산물 수입자율화로 인해 냉동 수산물 뿐만아니라 활어 상태의 수산물이 대량으로 외국으로부터 수입되고 있어 국내 양식업이 상당한 어려움에 처해 있다. 특히 국내 뱀장어는 양식에 필요한 종묘의 공급이 매우 어려워 수입업자들은 외국으로부터 다양한 종의 실뱀장어 종묘를 대량으로 수입하고 있다. 국내산 뱀장어는 이식되는 다른 뱀장어에 비해 국민의 선호도가 높을 뿐만아니라 높은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어 외국산 뱀장어가 국내산으로 둔갑되어 거래될 수 있다. (중략)

  • PDF

담수산 지각류, Moina macrocopa 배양밀도 향상을 위한 환경요인과 수중 격자의 이용

  • 권오남;이균우;박흠기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2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97-198
    • /
    • 2002
  • 현재 주로 양식되고 있는 어종은 양적, 질적으로 우수한 종묘를 생산할 수 있는 초기 먹이생물 사육기술을 갖추고 있다. 이들 어종의 종묘생산과정은 rotifer, Artemia의 먹이단계를 거쳐 배합사료를 공급하는데, 최근 Artemia의 생산과 품질의 불안정으로 인해 겪게 되는 경제적인 어려움은 더 없이 클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Artemia 단계의 다양한 먹이생물 개발, 연구가 많이 행해지고 있다. (중략)

  • PDF

베타, Betta splendens 자치어에 대한 먹이생물 효과

  • 권오남;이상민;박흠기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2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99-200
    • /
    • 2002
  • 관상어 초기자어 사육은 rotifer 개발 전 단계의 달걀 노른자를 갈아서 먹이는 방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반죽사료를 제작하여 공급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지만, 해산 어류의 자치어는 rotifer의 먹이생물로서의 가치가 밝혀진 이후 종묘생산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될 정도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해수산 종묘생산에서는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는데, 그 분야로는 먹이공급횟수, rotifer 공급밀도, 배합사료의 이용, 일일 섭식량(Gatesoupe and Robin, 1992) 및 소화시간(복소, 1997)등이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