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종모양 분포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산 송사리속 Oryzias 어류 2종의 인두골과 인두치 구조 (The Structures of the Pharyngeal Bones and Teeth in Two Korean Ricefishes (Pisces, Adrianichthyidae), Oryzias latipes and O. sinensis)

  • 김현태;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3-37
    • /
    • 2013
  • 한국산 송사리속 2종에 대한 인두골과 인두치의 구조적 차이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송사리 O. latipes와 대륙송사리 O. sinensis의 인두골은 모두 1쌍의 물방울 모양(stilliform)의 상인두골과 사각형 모양 (rectangular form)의 하인두골로 구성되었다. 특히 송사리와 대륙송사리의 인두치 열수에 있어서 상인두골은 각각 11~12열, 11~12열을 나타냈고 하인두골이 각각 6~7열, 5~6열을 나타냈다. 또한 인두치에서 송사리는 이빨의 끝이 옆으로 휘어지는 후크모양(top-hooked type)인 반면에, 대륙송사리는 이빨의 끝이 원뿔모양(conical type)을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한국에 분포하는 2종의 송사리는 인두치에서 형태적 차이를 보여 주었다.

나문재속 한반도 미기록식물 1종 (One unrecorded species from Korea: Suaeda malacosperma Hara)

  • 심현보;정주영;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83-387
    • /
    • 2001
  • 한반도 서남해안에서 나문재속에 속하는 한반도 미기록식물 1종을 발견하여 보고한다. 이 종의 형태적 특징과 서식지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 종은 국내에 분포하는 나문재속의 다른 종과는 얇고 넓은 잎과 별 모양의 열매 형태에서 뚜렷이 구별된다.

  • PDF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한 새로운 회귀분석방법 (A new regression analysis method in network model)

  • 김기복;인치호;김희석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I
    • /
    • pp.410-413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가 막연히 무작위적이라고 하기에는 사회나 세포, 인터넷 등이 어떤 법칙에 따라 짜연진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복잡한 네트워크의 모습이 네트워크의 모델과 실제로 똑같은지를 비교하기는 그리 쉬운 문제가 아니다. 무작위적 네트워크의 경우는 수학적으로 엄밀히 말하자면 쁘아송분포를 따른다. 쁘아송분포에서는 모든 점들이 동일한 확률로 여러 점들에 연결되는 기회를 갖는다. 즉 균일한 분포이다. 따라서 상당히 적거나 반대로 상당히 많은 수의 연결선을 가진 점은 극히 드물다. 이 경우 연결선 분포가 종 모양이 된다. 대부분의 점들이 곡선에 해당하는 연결선 수를 갖게 된다. 본 논문에서 쁘아송분포와 회귀분석을 통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변수들 사이에 어떤 관계를 함수관계로 나타내어 분석하는 방법을 보이고 회귀분석 방법에 의해서 미래를 예측하고자 한다.

  • PDF

대수정규확률지를 이용한 수명시험 데이타의 해석방법 (Analysis of the reliability test data by log.normal probability paper)

  • 서호복
    • 오토저널
    • /
    • 제6권1호
    • /
    • pp.27-35
    • /
    • 1984
  • 측정치의 데이터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종을 거꾸로 엎어놓은 모양(Bell Shaped Curve)"의 정 규분포를 이루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수명시험데이터의 경우는 분포의 형이 찌 그러지게 된다. 수명분포는 Weibull분포에 따르므로 Weibull분포에 의한 해석을 하여야 하는 것이 원칙이나 대수정규분포로 근사시켜서 해석을 하여도 실용상 큰 지장은 없다. 수명시험의 경우는 파괴시험이며 장시간의 시험을 요하므로 적은 시료를 시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자동차공업에 있어서 수명시험은 중요한 품질특성의 하나이며 자동차의 조립에 쓰이는 수만개 부품의 수명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따라서 이 적은 시료에서 얻어낸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떻게 수명의 예측을 올바르게 할 것인가\ulcorner" 하는 문제, 즉 신뢰성의 추정(Reliability Inference)과 로트의 판정이 중요한 문제인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한 가지 방법으로서 외국에서 이미 널리 활용되고 있는 대수정규확율지를 이용한 수명데이터의 해석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이터의 해석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계통발생에 따른 각종 척추동물의 췌장 내분비세포에 관한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1. 포유강 및 조강에 관하여 (Immunocytochemical Studies on the Pancreatic Endocrine Cells of Phylogenetically different Vertebrates I. Mammalia and Aves)

  • 김남중;권혁방최월봉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52-367
    • /
    • 1991
  • 척추동물 11목 21종의 췌장에서 insulin(B)세포, glucagon(A)세포, somatostatin( D)세포 및 pancreatic polypeptide(PP)세포 등을 면역세포화학적 방법으로 동정하여 이들의 출현율, 분포양상 및 형띨 등을 계통별로 비교하였다. 포유강에서는 전형적인 췌도를 형성하였고, 조강에서는 대 ·소췌도로 구분되었다. 내분비세포의 크기는 계통간의 차이가 있어서 B세포와 PP세포는 포유강의 것이 조강의 것에 비해 윤으나, A세포와 D세포는 그 반대이었다. 세포의 모양은 B세포의 경우 두 강에서 대체로 원형 및 난원형이었고, A세포와 D세포는 원형, 난원형 및 방추형이었다. PP세포는 방추형 및 난원형이 대다수 이었으며 간혹 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모습도 나타났다. 세포들의 출현율은 두 강에서 모두 B세포가가장 많았고, A, D및 PP세포 순으로 낮아졌다. B세포는포유강이 조강보다높았고, A, D및 PP세포는조강이 포유강보다 많았다. B세포는 조강의 경우 대췌도 주변부와 소췌도 중앙부에 분포하였고, 포유강에서는 중앙부에 균등하게 분포하였다. A와 0세포는 포유강에서 주로 췌도 주면부에 분포하나, 조강에서는 췌도중앙부에 위치하였다. PP세포는 두 강에서 대부분 췌도 주변부에 위치하였다. 일반적으로 두강에서 모두 외분비 선포조직에서도 내분비세포들이 출현하였으며 일부 종에서는 췌관상피에서도 내분비세포들이 드물게 나타났다.

  • PDF

한국산 둥글넙치과(Bothidae) 어류, Bothus pantherinus의 첫기록 (First Record of Bothus pantherinus (Bothidae, Pleuronectiformes) from Korea)

  • 정시영;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4-49
    • /
    • 2023
  • 둥글넙치과, 별목탁가자미속에 속하는 Bothus pantherinus 1개체가 제주도 서귀포시 대정읍 모슬포항 조간대에서 2022년 8월 14일 처음 채집되었다. 본 개체는 가슴지느러미와 눈주위에 검은 점과 고리 모양의 무늬, 유안측 측선 중앙에 하나의 뚜렷한 반점을 가지는 점, 75개의 측선비늘과 7개의 모래시계 모양의 등지느러미 담기골을 가지는 점 등에서 B. pantherinus로 동정되었다. 미토콘드리아 DNA의 COI 영역 603 bp를 분석한 결과 NCBI에 등록된 B. pantherinus와 잘 일치하였다. 본 종은 인도양, 호주, 일본, 하와이 등 북위 32도에서 남위 32도 사이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본 종의 분포역이 한국의 제주도 해역(북위 33도)까지 확장되었다. 국내에 처음 보고되는 본 종의 새로운 국명으로 "벚꽃무늬둥글넙치"를 제안한다.

베트남산 Thalerosphyrus속(하루살이목: 납작하루살이과)의 납작하루살이 2종 (Two Heptageniid Mayfly Species of Thalerosphyrus Eaton (Ephemeroptera: Heptageniidae) from Vietnam)

  • 원빈;배연재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0권2호
    • /
    • pp.215-223
    • /
    • 2004
  • Thalerosphyrus에 속하는 2종의 베트남산 납작하루살이 Thalerosphyrus vietnamensis (Dang)과 신종인 T. separatus n. sp.를 기재하였다. 신종인 T. separatus의 유충은 앞가슴 등판의 후측팽창부가 기부에서 분리되어 있고, 수컷성충은 Y자 모양의 음경으로 구별된다. 두 종의 유충 및 성충기에 대하여 진단형질의 삽화와 함께 기재하였고, 진단문, 분포, 서식처와 생태자료, 분류적 고찰을 제공하였다.

목포용둥굴레 변이 집단의 실체 (The Identity of the Variation Population of Polygonatum cryptanthum H. Lév. & Vaniot)

  • 이세령;장창기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0-50
    • /
    • 2022
  • 비짜루과 둥굴레속(Asparagaceae: Polygonatum)은 전 세계적으로 약 90여 종이 알려져 있으며, 유럽, 북아메리카, 아시아 등 북반구 온대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국내 둥굴레속 분류군은 총 16분류군이며, 이중 잎이 호생하고, 난형에서 타원형 모양의 엽질성 포를 가지며, 화피통 내부에 털이 없고, 수술대 표면에 돌기가 나있는 분류군들은 용둥굴레열(series. Bracteata)에 속한다. 그러나 이들은 종간 교잡 또는 주요 기관의 형질 변이가 다양하여 중간형질을 보이는 개체군들에 대한 종 식별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경남 창원시에서 채집된 목포용둥굴레(P. cryptanthum) 변이 개체집단는 기존의 목포용둥굴레와 달리 식물체 높이와 화경·소화경이 길며, 포 부착위치의 변이 폭이 넓으며, 포가 타원형이고 밖으로 말리는 습성으로 형태적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명확한 분류학적 실체를 구명하고자 분자생물학적 계통분석(nrDNA ITS + cpDNA matK, trnK-rps16, rps16, rbcL) 연구를 진행중에 있다.

  • PDF

Potentilla속 내 한국의 솜양지꽃(Potentilla discolor)과 몽골의 P. conferta 생식계의 비교 (Comparison of Reproduction Systems of Genus Potentilla, Potentilla discolor in Korea and P. conferta in Mongol)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9호통권89호
    • /
    • pp.1217-1223
    • /
    • 2007
  • 한국의 솜양지꽃(Potentilla discolor) 9개 집단과 몽골의 양지꽃속 식물 종 P. conferta 두 집단을 이용하여 두 종의 생식계를 비교하였다. 분포지에서 19개 형태 형질을 조사하여 정량분석에 사용하였다. 형태 형질에서 두 종간 많은 형질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주성분분석에서 마디간 길이와 뿌리의 길이와 개수 등에서 특히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이들 두 종을 분류하는데 유의한 성분으로 판단된다. P. conferta에서 라메트의 수는 거리의 증가에 따라 현저하게 감소하나 P. discolor는 정규분포 모양의 곡선을 나타내어 $60{\sim}80$ cm에서 가장 많았다. 빛에 대한 감수성은 P. discolor가 P. conferta보다 내성을 가지나 가뭄에 대해서는 P. conferta가 P. discolor보다 더 높은 내성을 나타내었다 . 이는 사막에 근접한 건조한 지역에 적응한 형태로 판단되며 온대 지방인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솜양지꽃에 비해 단위면적당 밀도가 높아 이웃간 거리가 짧아 짧은 라메트를 많이 가지며 라메트 수가 많아 영양번식이 더 많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동북아시아 뱀톱속 (석송과) 두 종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examination of two Huperzia species (Lycopodiaceae) in Northeast Asia)

  • 임진아;윤나래;이병윤;선병윤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99-305
    • /
    • 2015
  • Huperzia lucidula (Michaux) Trevis.의 동북아시아 집단 및 북미 집단을 대상으로 외부형태와 포자형태를 비교한 결과 잎의 형태, 엽연부, 잎에서의 기공의 분포 및 포자의 형태에 있어서 뚜렷히 구분되었다. 따라서, 동북아시아 집단을 북미 지역의 H. lucidula와는 독립된 종 H. asiatica (Ching) B.-Y. Sun and J. Lim으로 분리, 승격하였다. 또한, H. serrata (Thunb.) Trevis.와 동일 종 또는 종내 분류군으로 인식되어 오던 H. javanica (Sw.) C. Yang은 영양엽에서 엽병의 발달 유무, 엽연 거치의 수 그리고 무성아가지의 중앙 열편 모양으로 별개의 종으로 처리하는 견해를 지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