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종류

Search Result 25,680,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Study on Vascular Plants of the Gosan Recreational Forest in Jeonbuk -A Case Study of Wild Plants except Planted Plants- (전북 고산자연휴양림 일대의 관속식물상 연구 -식재종을 제외한 야생식물을 중심으로-)

  • Kim, Young-Ha;Beon, Mu-Sup;Oh, Hyun-Kyung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9 no.5
    • /
    • pp.617-627
    • /
    • 2006
  • The wild plants of the studied area in the Gosan recreational forest was listed 327 taxa: 99 families, 252 genera, 289 species,1 subspecies, 34 varieties and 3 forms. Based on the list of the rare plants by the Forest Research Institute, 2 taxa were recorded in the studied areas; Lilium distichum (Presevation priority order: No. 159), Aristolochia contorta (No. 151) and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4 taxa were recorded; Cephalotaxus koreana, Carex okamotoi, Salix purpurea var. japonica, Weigela subsessilis.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21 taxa; 2 taxa (Asperula lasiantha, Lonicera subhispida) in class III, 4 taxa (Lilium distichum, Potentilla dickinsii, Caryopteris incana, Ligularia fischeri) in class II, 15 taxa (Hosta capitata, Alnus hirsuta, Ribes mandshuricum, Cayratia japonica, Vaccinium oldhami, etc.) in class I. The naturalized plants in this site were 12 families, 28 genera, 31 species, 1 varieties, 32 taxa and naturalization rate was 9.8%. So, wild plants disturbing ecosystem like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have been increasing and it needs continuing control and conservation measures on the plant ecosystem.

Flora and Vegetation of the Southern Slope Area at Mt. Chongok and Mt. Tuta(Kangwon-do) (청옥산 - 두타산 남사면 일대의 식물상과 식생)

  • 조창구;백원기;이우철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2 no.3
    • /
    • pp.240-252
    • /
    • 1999
  • Floristic composition and phytosociological studies of Mt. Chongok and Mt. Tuta were investigated, and that was compared with the previously published report in 1993. Vascular plants were composed of 100 families, 358 genera, 573 species, 95 varieties, and 18 formae, totaling 686 taxa. The vegetation was relatively well conserved based on Pteridophyta calculation (Pte-Q), 1.13. Compared with the vascular plants of the southern and northern slope area, the vascular plants of the southern slope area were composed of 87 families, 287 genera, 419 species, 73 varieties, and 11 formae, totaling 503 taxa, and those of the northern slope area consisted of 94 families, 293 genera, 427 species, 73 varieties, and 12 formae, totaling 512 taxa, respectively. Also, compared with the taxa in each side, both sides were composed of 332 species in common, southern sides, 172 species and northern sides, 182 species, respectively. The number of species of 11 families belonged to the higher level among total families taxa was composed of 328 species(47.8%). Among them, Compositae and Rosaceae were included much more species than remnant families. Korean endemic species were composed 16 families, 24 genera, 20 species, 8 varieties and 2 formae, totaling 30 species(4.4%). Compared with the Korean endemic taxa in each side, both sides were composed of 14 species in common, southern sides, 11 species and northern sides, 5 species, respectively. A naturalized plants were 20 species, correspond to 9.2% of totaling 218 species appeared in South Korea. Among them,12 species were appeared commonly in both sides, southern sides, 16 species and northern sides, 16 species, respectively. Life form spectra was H-D1-R5-e type and, useful resources plants are as follows; edible source(42.4%), medicinal source(31.5%), ornamental source(15.6%) and pasture source (13.3%) in the total region. The forest vegetation of the southern slope was classified into 1 order, 1 alliances and 5 communities; Rhododendro-Quercetalia mongolicae, Lindero-Quercion mongolicae, Quercus mongolica Typical community, Populus davidiana-Quercus mongolica community, Pinus koraiensis-Taxus cuspidata community, Pinus densiflora-Carex humilis var. nana community, Betula costata-Betula ermanii community. It is considered that the slight difference of the flora and vegetation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slope is mostly due to the topographical and climatic difference. Even closer investigation is required for the more accurate comparison in this area.

  • PDF

Restoration Model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Warm Temperate Region(III) -Flora of Several Islands Off the South & East Seashore, Korea -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III) - 남, 동해 몇몇 도서의 관속식물상 -)

  • 김용식;오구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1
    • /
    • pp.61-83
    • /
    • 1997
  • The flora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regions in the islands off the south & east seashore was undertaken three times between August to October, 1995. The total number of vascular plants surveyed in the studied areas were summarized as 434 taxa; 105 families 297 genera 380 species 49 varieties 1 subspecies and 4 formas. The vascular plants were classified as 56 taxa 32 families 53 genera 50 species 6 varieties in Mokdo, 92 taxa 47 families 80 genera 81 species 9 varieties and 2 forms in Mijo-ri, 68 taxa 47 families 65 genera 58 species 9 varieties and 1 forms in Mijodo, 57 taxa 39 families 52 genera 53 species 4 varieties in Kkamakseom, 124 taxa 59 families 105 genera 112 species 11 varieties 1 subspecies in Aedo, 90 taxa 46 families 75 genera 83 species 7 varieties in Sayangdo, 135 taxa 63 families 111 genera 147 species 13 varieties in Kumodo, 78 taxa 40 families 67 genera 69 species 9 varieties in Chudo, 142 taxa 67 families 113 genera 120 species 20 varieties and 2 forms in Mira-ri, 184 taxa 73 families 150 genera 160 species 24 varieties 1 subspecies in Maengseon-ni, and 196 taxa 79 families 156 genera 172 species 24 varieties 1 subspecies and 1 forms in Yesong-ni. Conservation measures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the areas, at both the habitat and species levels, are urgently needed to mitigate against destructive human activities, such as unreasonable management and trampling.

  • PDF

Distribution Characteristic and Management Counterpla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변산반도국립공원의 귀화식물 분포특성 및 관리대책)

  • Oh, Hyun-Kyung;Lim, Dong-Ok;Kim, Yong-Shi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3 no.2
    • /
    • pp.105-115
    • /
    • 2009
  • The naturalized plants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were listed 88 taxa composed of 24 families, 65 genus, 83 species and 3 varieties and 2 forms by field survey. The naturalized plants divided into pattern by survey of annual plants ratio is 38 taxa (43.2%) by life form spectrum and perennials is 28 taxa (31.8%), biennials is 19 taxa (21.6%), two trees (Robinia pseudoacacia, Ailanthus altissima) and one shrub (Amorpha furticosa) were founded. According to analysis results form place of origin, Europe covered 26 taxa (37.1%), North America covered 23 taxa (32.8%). Naturalized degree 3 plants, as common but not abundant, founded as 28 taxa (31.8%) were hold most highly ratio, naturalized degree 1 plants founded as 8 taxa (9.1%) were hold lowest. Introduction period 1 covered 39 taxa (44.3%) have had highest score and period 2 covered 16 taxa (18.2%) have had lowest scores. In addition, the urbanization index based on 271 taxa was 32.5% and Ambrosia artemisiaefolia is growing by ecosystem disturbing wild plants. Meanwhile, Ambrosia artemisiaefolia have confirmed into district of introduction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were damage the human body of plants develop an allergy to pollen. Therefore, management counterplan of the sequel of monitoring them might be required, introduction into naturalized plants are grasp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ystematical management plan from this point of time by require.

해양생물 유래의 항종양성 물질의 탐색과 개발

  • 손병화;최홍대;정우진;조용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3.04a
    • /
    • pp.48-48
    • /
    • 1993
  • 항종양성 물질의 탐색과 개발을 지향한 해양생물유래의 생물활성물질의 화학적 연구의 일환으로서 해조류(12종류), 해면동물(3종류), 강장동물(2종류). 극피동물(4종류), 연체동물(10종류) 및 원색동물(2종류)의 각 용매분획을 대상으로 brine shrimp bioassay에 의한 세포독성을 검색한 결과, 극피동물의 별불가사리 초산에틸액스(LC$_{50}$: 283$\mu\textrm{g}$/ml) 및 해삼 클로르포름엑스(LC$_{50}$: 274$\mu\textrm{g}$/ml) , 연채동물의 보말고동 부타놀액스(LC$_{50}$: 263$\mu\textrm{g}$/ml) 및 따게비의 물엑스(LC$_{50}$: 360$\mu\textrm{g}$/ml)에서 가장 강력한 세포독성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생물별로 살펴본 세포독성빈도는 극피동물이 가장 유망한 것으로 생각되었다.로 생각되었다.

  • PDF

The Flora of Naeyonsan Areas, Ky ongpuk (경북 내연산 일대의 관속식물상)

  • 김용식;강기호;신현탁;김종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1
    • /
    • pp.1-16
    • /
    • 1999
  • 1997년 4월부터 1998년 4월까지 경상북도 내연산 일대의 관속식물상 조사를 실시한 결과, 관속식물은 100과, 350속, 538속, 1아종, 92변종, 10품종, 1교잡종 총 642종류(texa)를 확인하였으며, 이 중 211종류는 금번조사에서 새롭게 추가하였다. 특히 고란초, 부들, 창포, 꽃창포, 노랑무늬붓꽃, 산작약, 둥근잎꿩의 비름, 꿩의 바람꽃, 연잎꿩의다리, 참좁쌀풀 등의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을 확증표본과 함께 보고함으로써 본 지역 식물상 조사에 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조사에서 확인한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은 총 29종류로서, 환경부 법정보호식물이 3종류, 환경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 제시한 특정식물종 중 정밀생태종은 27종류, 그리고 산림청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은 15종류로 나타났으며, 둥근잎꿔의 비름, 망개나무, 노랑무늬붓꽃 등의 분포 등에 대해 논하였다.

  • PDF

Gray-Level Co-Occurrence Matrix(GLCM) based vehicle type classification method (GLCM 특징정보 기반의 자동차 종류별 분류 방안)

  • Yoon, Jong-Il;Kim, J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410-41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도로 영상에서 검출된 자동차 영상을 종류별 분류를 위해 효과적인 질감 특징정보 기반의 자동차 종류별 분류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한 연구에서는 운전자의 안전운전지원을 위해 도로상에서 검출된 자동차 영역과 자신의 차량과 거리를 추정하기 위해 검출된 자동차의 종류를 인식할 필요가 있다. 즉, 인식된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차량 간 거리를 추정에 필요한 파라미터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검출된 자동차 영상들로부터 GLCM(gray-level co-occurrence matrix)의 7가지의 특징정보들을 추출하고 SVM을 사용하여 학습 한 후 자동차의 종류(승용, 화물, 버스)를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GLCM은 영상이 가진 질감 정보를 효율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영역의 밝기 변화 정도, 거침 정도, 픽셀 분포 정도 등을 표현하기 때문에 영상내의 포함된 영역을 분류하는데 효과적이다. 제안한 방법을 실제 자동차 규모별 분류에 적용한 결과 약 83%의 분류 성공률을 제시하였다.

Comparison of Oxygen Index Values of Different Types of Seams (여러가지 솔기의 Oxygen Index Value에 관한 비교연구)

  • Rhee Eu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 no.2
    • /
    • pp.1-7
    • /
    • 1979
  • 본 연구의 목적은 여러 증류 솔기의 내연성을 Oxygen Index Test를 통해서 알아봄으로서 내연가공을 한 옷에 가장 이상적인 솔기의 종류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 6가지 종류의 솔기를 내연가공한 옷감으로 만들어 실험하였으며 솔기 종류 이외의 변인으로는 솔기제작에 사용된 실(내연가공한 실과 일반 면사)과 세탁회수가 포함되었다. 솔기의 종류는 (1) 뉜솔(FF) (2) 가름솔에 zig-zag로 시접처리 (PZ) (3) overlook stitch로 박은 솔기(OL) (4) serger로 박은 솔기 (SG), (5) 내연가공한 binding을 사용한 쌈솔(TB) (6) 내연가공하지 않은 binding 을 사용한 참솔(UB) 등이였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솔기 종류에 따라 O.I. value에 상당히 유의한(p<0.001) 차이가 있었으며, 실의 종류에 따라서도 상당히 유의한(p<0.001) 차이가, 세탁 회수에 따라서도 유의한(p<0.05)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솔기 종류와 세탁, 솔기 종류와 실의 종류 사이에도 상당히 유의한(p<0.001)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Newman-Keuls 겅증에 의하면 TB, FF, OL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이들은 PZ, SG(내연가공하지 않은 실), UB보다 훨신 높은(p<0.01) 내연성을 보였다. SG의 경우 내연가공하지 않은 실을 사용했을 때는 PZ보다도 낮은 O.I. Value를 보였으나 내연가공한 실을 사용했을 때는 FF나 TB 만큼 높은 O.I.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TB는 위의 솔기 중에서 가장 높은 O.I.를, UB는 가장 낮은 O.I.를 보임으로서 binding의 중요성을 나타냈다. 위의 결과로서 SG, FF, TB가 내연가공에 바람직한 솔기로 나타났으나 TB는 구성과정이 복잡하여 대량 생산에는 많이 사용되지 않으며 SG는 실의 내연가공 여부에 대한 규제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Z나 UB, SG(일반 실사용)는 내연가공한 옷생산에 사용되지 않는 것이 타당하겠다.

  • PDF

제주 자원식물의 잠재적 가치

  • Jeong, Yong-Hwa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10a
    • /
    • pp.4-4
    • /
    • 2010
  • 식물자원은 예로부터 인류의 생활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인류에게 삶의 터전을 제공하였으며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켜 주는 기반이 되었음은 물론 인류의 생존을 위한 많은 재화를 공급하여 왔다. 이러한 식물자원의 가치는 인간생활의 기초적 의 식 주 뿐 만 아니라 질병치료를 위한 재료로도 활용되고 있다. 제주도는 지리적으로 아열대권 생물자원의 확보 및 관리가 용이한 위치에 있어 아열대 자원 및 동북아섬 자원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전진기지로서 최적지이며, 난대, 온대, 한대 및 아고산대에 걸쳐 2,100여종의 식물자원이 분포하는 생태계 보고로 알려져 있다. 특히, 진시황이 불로초를 찾아 신하를 보낸 곳이 제주도라고 전해지고 있는 만큼 이는 제주가 많은 자원식물이 분포하고 있음이 그 옛날에도 알려져 있었다는 증거라 할 수 있다. 제주에 분포하거나 재배되는 식물 중 약용 및 식용 식물자원으로 잠재적 가치를 갖고 있는 식물은 550여 분류군으로서, 양치식물 43종류, 나자식물 6종류, 단자엽식물 31종류, 쌍자엽식물 370종류 등이다. 이러한 자원식물 중 상록성 목본 31종류, 낙엽수 105종류, 만경류가 51종류, 초본류(1년초 또는 다년초)가 358종류이며, 뱀톱, 천남성, 박새 등 독성을 가지는 식물도 43종류가 포함되어 있다. 비록 기존 알려진 약용 및 식용 식물자원이 산업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고는 하나 그 약효나 효능의 검정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나머지 자생식물까지 포함하면 상당수의 제주 자생식물이 자원식물로 사용될 수 있는 잠재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삶의 질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집중하고 있으며, 자원식물 유래 천연물을 소재로 한 향장품 및 건강기능성 식 의약품을 포함한 기능성 상품은 안전성이 보장되며 우수한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자원식물을 소재로 한 기능성 상품의 개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지역도 청정지역 제주에 자생하고 있는 자원식물의 잠재적 가치를 활용하여 미래 제주 창출을 위한 신산업육성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제주 자원식물들의 잠재적 가치를 활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건강 뷰티 생물산업을 지역전략산업으로 추진하면서 제주 자원식물들의 새로운 잠재적 가치를 조명하고 있어 이에 대한 지역내 추진노력 및 관련 산업현황 등을 정리하여 몇가지 견해를 제기하고자 한다.

  • PDF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Geommasan (Yeongyang, Gyeongbuk) (검마산(경북 영양) 관속식물의 분포)

  • Yu, Byeong-Chan;Jeong, Hyeong-Jin;Park, Myeong-Sun;Lee, Seon-Hui;Choe, Ha-Na;Jeong, Su-Yeong;Jeong, Gyu-Yeong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0 no.4
    • /
    • pp.281-291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fulness in Geommasan of Gyeongbuk (1,017m, $36^{\circ}\;42^{'}\;30.0^{"}{\sim}36^{\circ}\;45^{'}\; 30.1^{"}N,\;129^{\circ}\;12^{'}\;30.0^{"}{\sim}129^{\circ}\;18^{'}\; 00.0^{"}E$). The vascular plants collected 11 times (from April 2004 to October 2006) were consisted of total 513 taxa; 91 families, 318 genera, 424 species, 3 subspecies, 73 varieties and 13 forms. Among them, edible, medicinal, industrial, ornamental and unknown of usefulness plants were 243 taxa, 307 taxa, 122 taxa, 85 taxa, 77 taxa, respectively. Korean endemic plants of this area were 11 taxa, and Law-protected plants by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4 taxa, The naturalized plants were 21 taxa, therefore naturalized ratio was 4.1%, and Urban index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