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종단선형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1초

각종 센서를 장착한 차량을 이용한 종단선형 분석 알고리즘 개발 및 현장 검증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 Highway Vertical Alignment Analysis Algorithm and Field Test Using a Vehicle with Multiple Sensors)

  • 윤덕근;성정곤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7-16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INS(Inertial Navigation System), DMI(Distance Measuring Unit) 등 각종 센서를 장착한 차량을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정보와 자세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차량의 주행정보를 이용하여 도로 종단선형을 분석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종단선형 분석 알고리즘은 도로의 종단경사, 종단곡선 시종점 및 도로 종단곡선 길이 등을 분석할 수 있고, 종단경사와 종단곡선을 모형화하였다. 또 개발한 알고리즘의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 도로에서 취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종단선형을 분석하였고, 이 결과를 도면과 비교하였다.

평면곡선과 종단곡선이 겹친 복합선형 구간에서 교통사고 특성분석 (Analysis of Traffic Accident Characteristics for the Overlap Sec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Alignment)

  • 박민수;장명순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95-102
    • /
    • 2012
  • 본 연구는 평면선형과 종단선형이 겹친 복합선형 구간에서 복합선형요소와 교통사고와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설계속도 및 제한속도가 100km/h인 4차로 고속도로 중 평면곡선부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하구조자료는 한국도로공사 "지리도형정보시스템" 자료를 이용하였고 교통사고자료는 "고속도로 교통사고 통계'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종단곡선이 없는 경우가 종단곡선이 있는 경우보다 사고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종단곡선이 1개인 경우가 종단곡선이 2개 이상인 경우보다 사고율이 높게 나타났다. 종단곡선이 1개인 경우, 오목종단곡선(SAG) 구간이 볼록종단곡선(CREST) 구간보다 사고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평면곡선부 이전 선형이 직선부인 경우가 곡선부인 경우보다 사고율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노면상태가 습기(강우)일 때에는 평면곡선내 오목종단곡선인 경우이거나 평면곡선방향이 좌향구간의 경우 교통사고와 관련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3차원적인 복합선형 조건을 고려한 도로 선형 설계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도로 및 철도의 종단선형 탐색을 위한 벡터방식의 Vertical Control Point 처리기법 연구 (Management of Vertical Control Points by Vector Method for Determination of Highway and Railroad Vertical Alignment)

  • 김정현;한창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5호
    • /
    • pp.2033-2040
    • /
    • 2013
  • 선형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수많은 정량적 또는 정성적인 인자들에 대하여 최신 IT기술을 접목하고 컴퓨터의 빠른 연산기능을 이용하여 단시간에 좀 더 많은 선형을 검토할 수 있는 선형 최적화 기술은 그동안 주목할 만 한 발전을 이루어 왔다. 특히 선형 최적화시 정량적인 설계요소의 정확한 반영과 수준 높은 성과품 출력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는 설계기술자의 수준을 요구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이런 요구사항에 부응하여 본 연구는 종단선형 최적화시 기존의 방식을 탈피한 보다 정밀한 Vertical Control Point(VCP) 적용구간을 탐색하고 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는 벡터방식을 이용한 VCP처리 기법으로 빠른 탐색 과 정확한 적용구간을 계산해 냄으로서 종전 래스터방식 결과와 비교해 보았을 때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종단선형을 도출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래스터 방식에 비해 벡터방식을 적용 할 경우 정밀도가 향상 되리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나, 선형최적화 기술의 선결조건인 처리속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벡터방식을 적용 하였다는 것이 본 연구의 성과라고 할 수 있다.

GSIS를 이용한 효율적 도로선형 정보의 구축 - 평면 및 종단선형을 중심으로 - (Building of Efficient Route Alignment Information using GSIS -Focused on plan and vertical alignment-)

  • 강상구;정영동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25-333
    • /
    • 2000
  • 일반적으로 도로종합관리 체계를 위해 이용되는 도면은 스캐너로 받아들인 도면으로 이는 도면보존 상태라든가 스캐너의 해상도에 따라 원 도면의 선명도가 결정되고 도면에 따른 데이터가 따로 첨부되어 관리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로설계전용 프로그램인 RP(Road Project 2.1)를 이용해 지방도 일부 구간의 도로평면선형과 종단선형을 설계하고 완성된 도면자료는 *.dxf형태로, 그에 대한 속성자료는 *.dbf형태로 직접 저장하여 PC ArcView프로그램과 Excel을 이용해 도면과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실시간 도로선형정보 체계를 구축하였고, 유사한 도로설계시 도면과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쉽게 검색 할 수 있어 예비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의사결정 시스템을 이용한 GIS 기반의 노선선정 (Route Location based on GIS Using Decision Support System)

  • 이종출;노태호;강윤성;김세준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5년도 GIS/RS 공동 춘계학술대회
    • /
    • pp.407-41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노선선정 시 요구되고 있는 방대한 자료와 결정요소 등을 선택하여 의사결정체계인 계층분석과정을 이용하여 합리적인 노선선정의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평가하고자 하며, 이렇게 수행된 노선선정 결과를 지혈공간정보체계를 이용하여 시각화 및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적용방법은 계층분석과정으로 선정된 평면선형을 분석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종단선형의 설계를 종단경사 변화에 의한 다각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여 합리적인 노선선정을 도출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 PDF

도로 선형특성에 따른 럼블스트립의 교통사고 감소효과 (Accident Reduction Effect of Rumble Strips by Highway Geometric Characteristics)

  • 오흥운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3D호
    • /
    • pp.289-294
    • /
    • 2010
  • 럽블스트립은 교통사고 감소에 기여를 하는 것으로 국내외 논문을 통해 잘 알려져 있다. 본 논문은 도로의 기하구조와 럼블스트립의 설치효과 관계에 대하여 교통사고 감소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고속도로 구간에서 럼블스트립 설치전후의 교통사고 통계를 비교하였고 럼블스트립 설치지점의 평면선형, 종단선형, 설치길이와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종단선형이 하향(-)인 구간에서 럼블스트립 설치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면선형상에서 우곡선구간에서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설치길이 면에서 상대적으로 설치길이가 작아도 교통사고 감소의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형 토폴로지 무선메쉬네트워크의 종단간 최대 가능 전송률 (Maximum End-to-end Throughput of Chain-topology Wireless Mesh Networks)

  • 유재용;김종원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 (D)
    • /
    • pp.232-235
    • /
    • 2006
  • 일반적으로 선형 토폴로지 (chain topology) 무선메쉬네트워크의 종단간 최대 전송률은 경쟁관계 그래프 (contention graph)에 기반하여 트래픽 병목 구간의 노드 개수와 1 홉 링크의 평균 전송률을 결정하여 계산하는 방식이 널리 이용된다. 본 논문은 평균을 이용한 방법은 IEEE 802.11 DCF (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를 MAC 프로토콜로서 사용하는 무선메쉬네트워크에서 정확성에 한계가 있음을 보이며, 이와 같은 정확성의 한계를 유도하는 인자로서 전송률의 편차를 소개한다. 또한 전송률 편차를 고려하여, 단일 선형 토폴로지에서 종단간 최대 전송률을 구하는 방법을 ns2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한다.

  • PDF

GPS-IMU 통합 시스템을 이용한 도로기하구조 측정에 관한 연구 (The Measurement of Road Alignment Using GPS-IMU System)

  • 박재홍;윤덕근;성정곤;이준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1-69
    • /
    • 2012
  • 도로기하구조정보는 도로의 유지관리와 안전성 평가 등에 중요한 요소로써, 정보를 취득하려는 구간에 대한 정확한 기하구조정보를 취득하는 작업은 중요하다. 그러나, 도면이 부재하거나 선형의 결함이 발생하는 구간에서는 정확한 자료를 수집하는데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간에 도면정보를 신속하게 취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GPS-IMU 통합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에서 취득된 자료를 이용하여 도로기하구조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정확도의 기준이 되는 도면 값과 평면선형은 3.38%의 오차율이 나타났으며, 종단선형은 0.083의 절대값 오차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도로안전점검 및 진단과 같은 도로관리업무에 활용될 목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3차원 입체선형을 고려한 도로시거산정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3-Dimensional Sight Distance Model for Highway Alignments)

  • 박제진;최주용;하태준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9
    • /
    • 2008
  • 도로기하설계의 기준이 되는 요소에는 시거(視距), 차량의 안정성, 운전자의 안락감, 배수, 경관 등이 있으며, 이 중 선형 결정에 있어서 가장 결정적인 요소는 시거이다. 도로와 그 위를 주행하는 운전자의 관찰 행위는 분명히 입체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행의 도로설계는 과정상 여러 가지 제약조건으로 인해 평면과 종단을 분리하여 2차원적으로 시거를 분석하여 설계시 적용하여 왔다. 입체시거의 계산이 까다롭고 2차원적인 시거가 실제의 입체시거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도 그 원인에 포함된다. 하지만 최근의 도로안전에 관한 연구에서 도로일관성이 대두되었고, 이러한 일관성 평가를 위해서는 안전요소들의 안전여유(safety of margin)를 계산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시거에 관한 정확한 안전여유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입체시거의 적용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임의의 평면선형과 종단선형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도로선형에서 입체시 거를 계산할 수 있는 모형을 유도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제시되는 모델을 이용하여 도로선형을 가정한 후 시거분석을 실시해 보았으며 2차원적 시거와의 단순비교를 통하여 두 경우의 시거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3차원 도로선형에 대한 설계기준을 정량화 하거나 입체시거 분석이 요구되는 도로안전의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연관규칙을 이용한 잠재성장모형의 개선방법론 (A Methodology for Improving fitness of the Latent Growth Modeling using Association Rule Mining)

  • 조영빈;전재훈;최병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17-225
    • /
    • 2019
  • 대표적인 종단자료 분석방법인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ing)은 무조건적 모형과 조건적 모형으로 구분한다. 잠재성장모형의 무조건적 모형 성장궤적은 선형으로 가정하여 분석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선형 성장궤적으로 가정하여 모형 적합도가 미달하는 경우 연관규칙기법을 이용하여 모형 적합도를 제고하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방법론은 연관규칙 마이닝의 순차패턴(Sequential Pattern)을 사용한다. 이를 위하여 종단자료를 분위별로 나누고, 각 분위에 속한 종단자료의 기간 변화를 산출한 뒤 이를 순차 패턴 화하였다. SPSS AMOS를 이용하여 한국고용정보원의 2001년부터 6년간 조사한 청년 패널 자료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기존 단순선형함수를 가정할 때와 비교하여 모형 적합도가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