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종교문화

Search Result 443, Processing Time 0.02 seconds

Preparation of Students for Future Challenge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미래를 위한 간호교육)

  • Kim Euisook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50-59
    • /
    • 1981
  • 간호학생들이 당연하고 있는 문제점 미래의 간호학생들이 교육문제를 논하기 위하여는 간호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이해하는 것이 우선순위가 될 것이다. 간호학생들이 문제점에 대한 연구는 한국에서 뿐아니라 미국에서도 꽤 많이 시행되어져 왔으며 특히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되는 중퇴자들에 대한 연구들 중에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언급한 것이 많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곧 대학과정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 보고될 Munro의 자료에 의하면 전문대학과정에서 27$\%$, 대학과정에서는 41$\%$의 간호학생들이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들이 중간탈락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나 그 중 ''간호학에 흥미를 잃어서''가 가장 큰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이곳 한국사회에서도 역시 비슷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학입시경쟁과 대학내에서의 전과가 거의 허용되지 않는 특수여건이기 때문에 학교를 중간 탈락하는 율은 미국이 보고만큼 높지는 않으나 역시 ''간호학에 흥미를 잃는다''는 것이 간호학생들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 시행된 간호학생들에 관한 연구(표 1 참조)에 의하면 간호학생들의 학문에 대한 만족도는 조사자의 35$\~$50$\%$정도에 불과하였고 더우기 이 비율은 고학년에 올라갈수록 더욱 감소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한국에서 시행된 어느 연구보고에 의하면 간호학에 실망했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전체의 67$\%$였으며, 다른 학교로 전과를 희망한 경험이 있다는 학생이 71$\%$나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왜 흥미를 잃게 되는지 그 이유에 대하여 설명해 주는 연구는 많지 않았다. 미국의 한 저자는 간호학생들이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원인을 간호원의 역할에 대한 이해가 정확하지 못한 것과 졸업 후 진로기회에 대한 인식부족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이유는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분류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이다. 간호학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도 다른 전공분야보다는 훨씬 다른 여러 종류를 보이고 있다. 즉, 종교적 이유, 다른 사람들에게 봉사할 수 있는 직업이기 때문에, 쉽게 취업을 할 수 있어서, 결혼 후에도 직업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외국으로 쉽게 취업할 수 있어서 등이 간호학을 선택한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흥미나 적성에 맞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간호학을 택한 학생의 수는 다른 과에 비하여 훨씬 적다. 이러한 흥미나 적성 때문이 아닌 여러 가지 다른 이유들로 인하여 간호학을 택한 경우에 특히 간호학에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는 것을 볼 수 있다. 간호학에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일수록 추상적이고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보다 더 간호학에 지속적인 흥미를 가지며 중간에 탈락하는 율이 훨씬 적다는 것이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또한 흥미나 적성 때문에 간호학을 택하였다는 학생들이 다른 과로 전과를 희망하는 율이 낮다는 것도 보고되었다. 둘째, 교과내용자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이다. 간호학에 대한 체계적인 교과내용의 결여, 과중한 과제물, 임상실습에서의 욕구불만, 실습으로 인한 부담, 지식과 실습의 차이점에 대한 갈등 등이 주요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이 교과목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 특히 실습경험에서의 갈등을 학생들이 흥미를 잃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어느 한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90$\%$가 임상실습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그들 중의 88$\%$가 실습감독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보고하였다. 셋째, 교수들에 대한 불만족이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학년이 올라가면 갈수록 교수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며 또한 그에 비례하여 간호학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교육내용에 대한 전문지식의 결여, 학생들과의 인간적인 관계의 결여, 교수법에 대한 불만족 등이 교수에 대한 불만의 주요내용으로 보고되었다. 미래의 간호에 부응할 학생교육 계속적인 사회적 변동과 더불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일반인들의 건강에 대한 요구도와 앞에서 기술한 문제점 등을 감안할 때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간호학에 확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준비시키므로써 간호환경에서 실망하기보다는 오히려 그것을 받아들여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책임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교육시키는 것이 미래의 간호학생을 준비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교육을 위하여 다음의 두가지 안을 제시한다. 1.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서로의 좋은 동반자 : 교수들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특히 학생들의 성취도에 대한 영향에 대하여는 이미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다. Tetreault(1976)가 간호학생들의 전문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한 바에 의하면 다른 어느 것보다도 교수의 전문의식여부가 학생들의 전문의식 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교수에게 신뢰감을 가지고 있을때, 교수들이 전문가로서의 행동을 하는 것을 보았을때 비로서 배움이 증가된다고 하였다. Banduras는 엄격하고 무서운 교수보다는 따뜻하고 인간적인 교수에게 학생들이 더 Role Model로서 모방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보고 하였다. 그러면 어떻게 학생에게 신뢰받는 교수가 될 수 있겠는가? apos;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할 때apos;라고 한마디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Lussier(1972)가 언급한 것처럼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교육은 Piaget이 언급한 교육의 기본 목표, 즉 개인에게 선배들이 한 것을 그대로 반복하여 시행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시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하는 목표에는 도달할 수 없으며 이러한 목표는 간호학에도 가장 기본이 되어야 할 기본목표이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현재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으며 또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계속 파악하고 있는 것이 학생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을 할 수 있는 기본조건이 될 것이다. 의외로 많은 교수들이 학생들을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표 2는 현 간호학생들이 생각하고 있는 가치관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교수가 그 가치관과 문제점을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개 4년제 대학 200여명의 학생과 그 대학에 근무하는 18명의 교수진을 대상으로 질문한 결과를 간략하게 보고한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학생이 보고하는 가치관, 문제점, 교수에게 바라는 점이 교수가 이해하고 있는 것과 차이가 있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도록 귀를 기울이고 이해하며, 그 요구에 부응하려고 노력할때 진정한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이때 비로서 우리는 apos;partnershipapos;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간호학에 대한 실망은 줄어들 수 있을 것이며 우리도 학생들에게 전문가적인 태도를 함양시켜줄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될때 앞으로 기다리고 있는 미지의 의무에 효과적으로 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질을 형성한 학생들을 준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2. 간호모델에 의한 교과과정의 확립과 임상실습에의 적용 : 교과과정이 학생들의 모양을 만들어주는 하나의 기본틀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학생들을 준비시키기 위하여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방향의 교과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은 재론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미 진취적인 간호대학에서는 guided design systems approach 또는 integrated curriculum 등의 새로운 교과과정을 시도하고 있음은 알려진 사실이다. 물론 간호모델에 준한 교과과정을 발전시키는데 대한 장점과 이에 수반되는 여러가지 새로운 문제점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으나 모든 교과과정이 처음 시도될 때부터 완전한 것이 있을 수 없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숙되는 것임을 감안해 볼 때 이러한 새로운 교과과정에의 시도는 미래의 새로운 간호방향에 필수적인 사업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몇가지 게안점을 첨부하려 한다. (1) 새로운 교과과정의 개발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교수진의 협력과 참여로 이루어져야 한다. (2) 비록 처음에는 어렵고 혼란이 있더라도 교과과정은 의학모델이 아닌 간호모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3) 간호모델에서 다루어지는 개념들은 모두 직접 간호업무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4) 교과과정의 결과로 배출되는 학생들의 준비정도는 그 지역사회에 적합하여야 한다. (5) 그 지역사회의 고유한 문화적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아직 우리는 간호분야 내부의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시기에 있다. 우리 내부의 문제점을 잘 해결할 수 있을때 외부와의 갈등에 잘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내부의 갈등을 잘 해결하기 위한 힘을 모으기 위하여는 동반자, 즉 교수와 학생, 간호교육자와 임상간호원 등이 서로 진정한 의미의 동반자 될때 가장 중요한 해결의 실마리가 될 것이다.

  • PDF

The Conceptual Intersection between the Old and the New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신구(新舊) 관념의 교차와 전통 지식 체계의 변용)

  • Lee, Haenghoon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 /
    • no.32
    • /
    • pp.215-249
    • /
    • 2011
  • This essay reflects on the modernity of Korea by examining the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from a historico-semantic perspective with its focus on the opposition and collision of the old and the new conception occurred in the early period(1890~1910) of the acceptance of the Western modern civilization. With scientific success, trick of reason, Christianity and evolutionary view of history, the Western modernity regarded itself as a peak of civilization and forced the non-Western societies into the world system in which they came to be considered as 'barbarism(野蠻)' or 'half-enlightened(半開).' The East Asian civilization, which had its own history for several centuries, became degraded as kind of delusion and old-fashioned customs from which it ought to free itself. The Western civilization presented itself as exemplary future which East Asian people should achieve, while East Asian past traditions came to be conceived as just unnecessary vestiges which it was better to wipe out. It can be said that East Asian modernization was established through the propagation and acceptance of the modern products of the Western civilization rather than through the preservation of its past experience and pursuit of the new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apply directly to East Asian societies Koselleck's hypothesis; while mapping out his Basic Concept of History, he assumed that, in the so-called 'age of saddle,' semantic struggle over concepts becomes active between the past experience and the horizon of expectation on the future, and concepts undergoes 'temporalization', 'democratization', 'ideologization', 'politicization.'The struggle over the old and new conceptions in Korea was most noticeable in the opposition of the Neo-Confucian scholars of Hwangseongsinmun and the theorists of civilization of Doknipsinmun. The opposition and struggle demanded the change of understanding in every field, but there was difference of opinion over the conception of the past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For the theorists of civilization, 'the old(舊)' was not just 'past' and 'old-fashioned' things, but rather an obstacle to the building of new civilization. On the other hand, it contained the possibility of regeneration(新) for the Neo-Confucian scholars; that is, they suggested finding a guide into tomorrow by taking lessons from the past.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lost their holy status of learning(聖學) in the process of its change into a 'new learning(新學),' and religion and religious tradition also weakened.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could change itself into modern learning by accepting scientific methodology which pursues objectivity and rationality. This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and 'the formation of the new learning from the old learning' was accompanied by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old and new conception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role played by the concept of Sil(hak)(實學) or Practical Learning in the intersection of the old and new conceptions. Various modern media published before and after the 20th century show clearly the multi-layered development of the old and new conceptions, and it is noticeable that 'Sil(hak)' as conceptual frame of reference contributed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into the new learning. Although Silhak often designated, or was even considered equivalent to, the Western learning, Neo-Confucian scholars reinterpreted the concept of 'Silhak' which the theorists of civilization had monopolized until then, and opened the way to change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into the new learning. They re-appropriated the concept of Silhak, and enabled it to be invested with values, which were losing their own status due to the overwhelming scientific technology. With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by force, the attempt to transform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independently was obliged to reach its own limit, but its theory of 'making new learning from old one' can be considered to get over both the contradiction of Dondoseogi(東道西器: principle of preserving Eastern philosophy while accepting Western technology) and the de-subjectivity of the theory of civilization. While developing its own logic, the theory of Dongdoseogi was compelled to bring in the contradiction of considering the indivisible(道and 器) as divisible, though it tried to cope with the reality where the principle of morality and that of competition were opposed each other and the ideologies of 'evolution' and 'progress' prevailed. On the other hand, the theory of civilization was not free from the criticism that it brought about a crack in subjectivity due to its internalization of the West, cutting itself off from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A Study on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Found in 『Hajaeilgi』 (『하재일기』에 나타난 관·혼·상·제례 연구)

  • Song, Jae-Yong
    • (The)Study of the Eastern Classic
    • /
    • no.70
    • /
    • pp.435-466
    • /
    • 2018
  • "Hajaeilgi (荷齋日記)" was written by Ji Gyu-sik, a gongin of Saongwon (司饔院)'s branch, almost everyday for 20 years and 7 months from January 1st, 1891 until the leap month of June 29th, 1911. It deals with many different areas including domestic and foreign circumstances, custom, rituals, all the affairs related to the branch, and also everyday life. Particularly, Ji Gyu-sik did not belong to the yangban class, and we can hardly find diaries written by such class' people. Here, what this author pays attention to among the things written in "Hajaeilgi" is the contents about rituals, especially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Ji Gyu-sik did write in his "Hajaeilgi" about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that were actually performed then as a person not belonging to the yangban class. Such diaries are very rare, and its value is highly appreciated as a material. Particularly, from the lat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y of this author focuses on the a study of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as we can see some aspects about it from his diary. Coming-of-age rites were carried out in the first month of the year generally, and in this period, we can see the transformation of their performing period as it was diversified then. This was not exceptional in yangban families. About wedding, while it was discussed, it came to be canceled more often than before maybe because they were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enlightenment then. It seems that choosing the day was not done in the bride's family always. Jungin or commoners had a weeding in the bride's house, but when it was needed, it was also performed in the groom's house. Ji Gyu-sik followed the traditional wedding procedure for his children rather faithfully, but it was applied flexibly according to the two families' situations or conditions. Ignoring the traditional manners, they had a wedding in the period of mourning or performed a wedding in the groom's house bringing the bride there. It seems that this was related to the decline of Confucian order in the society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lso, the form of donations changed, too. Gradually, it was altered to the form of money gifts. Moreover, unlike before, divorcing seems to have been allowed then. Remarriage or divorce was the custom transformed from before. Funeral rites had different durations from death up to balin (carrying out a bier for burial) and hagwan (lowering a coffin into the grave), and so it means that they also went through transformation. Sa-daebu used usually 3 months but here was 7 days from death to balin normally, but it seems that there were yangban families not following it. The traces of 3-iljang (burial on the third day after death) most commonly found these days and chowoo jaewoo samwooje can be also found in "Hajaeilgi". Such materials are, in fact, very highly evaluated nowadays. Meanwhile, donations also changed gradually to the form of money. Regarding ancestral rites, time for memorial service was not fixed. Ji Gyu-sik did not follow jaegye (齋戒) before carrying out gijesa, and in some worse case, he went to pub the day before the memorial service to meet his lover or drink. This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practice of yangban sadaebu then. Even after entering Christianity, Ji Gyu-sik performed memorial service, and after joining Cheondogyo, he did it, too. Meanwhile, there were some exceptions, but in Hansik or Chuseok, Ji Gyu-sik performed charye (myoje) before the tomb in person or sent his little brother or son to do it. But we cannot find the contents that tell us Ji Gyu-sik carried out myoje in October. Ji Gyu-sik performed saengiljesa calling it saengsincharye almost every year for his late father. But it is noticeable that he performed saengsincharye and memorial service separately, too, occasionally. The gijesa, charye, myoje, and saengsincharye carried out by jungin family from Gyeonggi Gwangju around the time that the status system was abolished and the Japanese Empire took power may have been rather different and less strict than yangban family's practice of ancestral rites; however, it is significant that we can see with it the aspects of ancestral rites performed in family not yangban.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s about the a study of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found in "Hajaeilgi" are equipped with great value as material and meaningful in the perspective of forkl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