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족저압력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3초

기능성 신사화가 선자세의 족저압력 분포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Effects of the Modified Casual Shoes on Foot Pressure Distribution during Standing: Pilot study)

  • 이남이;배영현;피재열;김형근;조상익;김순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41-342
    • /
    • 2019
  • 본 연구는 기능성 신사화 착용이 즉각적인 선자세 족저압력 분포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남성 물리치료사 8명을 대상으로 하루 간격을 두고 동일한 대상에게 일반적 신사화와 기능성 신사화를 착용하고 선 자세 동안 높은 족저압력의 발과 낮은 족저압력의 발간에 족저압력 분포를 비교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일반화를 착용한 선 자세에서 높은 족저압력의 발과 낮은 족저압력의 발간에 족저압력 비율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기능성 신사화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높은 족저압력 분포 발에서 기능성 및 일반적 신사화간에 전족부와 후족부의 압력이 차이를 보였다. 선 자세에서 기능성 신사화가 일반적 신사화 보다 즉각적으로 정상 생리적 자세를 유도하는 것으로 보였다.

  • PDF

편평족 노인의 계단 하강 보행 시 아치 지지형 인솔 종류에 따른 족저압력 및 균형성 평가 (Comparison of plantar pressure and COP parameters in three types of arch support insole during stair descent in elderly with flatfoot)

  • 한기훈;배강호;정하곤;하민성;최도열;이중숙;양정옥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948-95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평발을 가진 여성 노인의 계단 하강 보행 시 일반인솔 및 아치 지지형 인솔을 적용에 따른 족저압력 및 압력중심점 변인들의 차이를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족저압력 분석장비(Pedar-X, Novel, Germany)를 사용하여 14명의 평발 노인을 대상으로 3종류(일반인솔, A형 인솔, B형 인솔)의 인솔착용 후 최대족저압력, 평균족저압력, 접촉면적, 압력중심점의 이동거리, 변위 및 최대범위의 평균값을 산출하였으며,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를 이용하여 인솔 종류간 평균을 비교하였다. 족저 압력 변인 중 최대족저압력은 중족부의 M3, 평균족저압력은 M2, M3, M4 영역에서, 접촉면적은 M2, M3, 그리고 M6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압력중심점 변인 중 전후축과 좌우축에서 압력중심점의 이동거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족저압력 평가결과 아치 지지 기능을 가진 인솔을 삽입한 A와 B형 인솔에서 족궁지지 영역인 M3의 최대압력은 B형 인솔과 A형 인솔이 일반인솔과 비교했을 때 높게 나타났다. 좌우축, 전후축 압력중심점의 이동거리는 A형과 B형 인솔 모두 일반 인솔에 비해 짧게 나타났다.

충격흡수 및 통기기능 인솔을 적용한 개발 전투화의 족저압력 및 온도변화 연구 (A Study on the Foot Plantar Pressure and Temperature changes of the Developed Combat boots with Functional Impact Absorption and Ventilation Insole)

  • 한기훈;이중숙;배강호;신진형;정상옥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9-9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충격흡수 및 통기기능 인솔을 적용한 개발 전투화의 족저압력 및 온도변화를 연구하는데 있다. 남성 피험자 11명(age: $21.8{\pm}2.2yrs$, height: $174.3{\pm}3.6cm$, weight: $71.6{\pm}8.6kg$, foot length: $261.0{\pm}1.0mm$)을 대상으로 총 3종류 전투화의 족저압력 및 온도 변화를 비교하였다: 전투화 A(보급형 일반 전투화), 전투화 B(통기구가 적용된 개발 전투화), 전투화 C(전투화 B에 통기기능 및 충격흡수용 인솔 적용). 족저압력 측정을 위해 Pedar-X를 사용하였고, 전투화의 내부온도는 휴대용 써미스터의 온도센서를 사용하였다. 전투화의 종류별 족저압력 및 온도 변화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결과, 첫째, 족저압력 변인에서, 기능성 인솔을 적용한 전투화 C가 전투화 A보다 오른발/왼발 후족부의 최대족저압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전투화 C가 전투화 B보다 왼발 후족부의 평균족저압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압력을 나타내었다. 둘째, 내부온도에서 보행시작 후 40분경과 시점부터 개발 전투화인 B, C가 일반 전투화인 A보다 낮은 내부 온도를 보였다.

족저압력분석을 활용한 테니스화 기능성평가 (Functional Evaluation of Tennis Shoes Using Foot-Pressure Distribution)

  • 박승범;이중숙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89-97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테니스화의 종류에 따른 주행 특성 및 테니스 동작 수행 시 족저압력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테니스화의 기능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하지의 상해가 없고 정상적인 보행동작을 수행하는 남자 대학생 10명을 선정하여 4종류 모델의 테니스화를 대상으로 직선주행, $45^{\circ}$ 방향전환주행, 포핸드 스트로그, 백핸드 스트로그 동작 시 족저압력을 측정한 후 COP(renter of pressure)경로, 평균족저압력, 최대족저압력, 최대지면반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직선달리기 동작 시 족저압력 분석결과 모든 제품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 $45^{\circ}$ 방향전환달리기동작, 포핸드 스트로그동작, 백핸드 스트로그 동작 시 최대지면반력과 최대족저압력 그리고 평균족저압력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C>A>B>D> 순으로 테니스화의 기능성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12주간 복합운동이 여성 노인의 족저압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12-Week Complex Training Program on Foot-Pressure Patterns of the Elderly Women)

  • 이중숙;양정옥;이범진;박상묵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7-126
    • /
    • 2009
  • 이 연구는 12주간 복합운동이 여성 노인의 보행동작 시 발의 압력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규칙적으로 운동에 참여하지 않는 65세 이상의 노인여성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에게 보행속도 2.4km/h로 직선보행동작과 $45^{\circ}$ 방향전환보행동작을 실시하게 한 후 보행 시 족저압력분포를 측정한 후 평균 족저압력과 최대 족저압력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12주간의 복합운동이 직선보행동작과 $45^{\circ}$ 방향전환 보행동작 시 평균 족저압력을 유의하게 감소시켜 효과적인 보행동작을 수행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12주간의 복합운동이 직선보행동작과 $45^{\circ}$ 방향전환 보행동작 시 최대 족저압력을 유의하게 감소시켜 효과적인 보행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12주 복합운동 전 후의 족저압력분포와 압력중심 이동곡선의 경로 분석결과 복합운동 전보다 복합운동 후의 족저압력분포가 보다 폭넓게 낮은 족저압력분포를 나타낸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압력중심 이동곡선도 복합운동 전보다 복합운동 후 안정적인 곡선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능성 캐쥬얼화가 보행 시 족저 압력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Effects of the Modified Casual Shoes on Foot Pressure Distribution during Walking: Pilot study)

  • 이남이;배영현;피재열;김형근;조상익;김순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43-344
    • /
    • 2019
  • 본 연구는 기능성 및 일반적 캐쥬얼화간에 빠른보행과 편안한 보행 시 족저 압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보고자 한다. 남성 물리치료사 8명을 대상으로 하루 간격을 두고 동일한 대상에게 일반적 캐쥬얼화와 기능성 캐쥬얼화를 착용하고 10m 편안한 보행과 빠른 보행 동안 족저 악력을 각각 측정하였다. 전체, 1번째 발가락, 2-3번째 발가락, 4-5번째 발가락, 안쪽 중족골, 바깥쪽 중족골, 안쪽 뒷꿈치, 바깥쪽 뒷꿈치로 나누어 분석하여 4 보행 조건(일반적 캐쥬얼화-편안한 보행, 기능성 캐쥬얼화-편안한 보행, 일반적 캐쥬얼화-빠른 보행, 기능성 캐쥬얼화-빠른 보행) 간에 비교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유의하지 않지만 빠른 보행이 편안한 보행 보다 안쪽 발가락과 뒷꿈치 압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볼 때, 기능성 캐주얼화가 일반적 캐쥬얼화보다 보행의 움직임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풋웨어 개발을 위한 생체역학 기반 인간공학적 분석 : B-boy 신발 개발을 중심으로 (A Biomechanics-Based Ergonomic Analysis for Footware Development)

  • 하종규;장영관;김진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40-14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비보이들이 선호하는 기존 신발 5종류를 대상으로 인간공학적 사용성 평가를 통하여 최적신발제작을 위한 생체역학적 변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실험대상자는 전문가 10명, 비전문가 10명이 참가하였고, 자료획득을 위하여 적외선카메라 12대(Qualisys, Oqus), 지면반력기(Kistler, 9286AA)와 족저압력기(Zebris Gmbh, Zebris PDM-System)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접지능력과 안전성 면에서 마찰계수 0.38, 자유모멘트가 $0.32N{\cdot}m/kg$인 P사 신발이 바람직하다. 둘째, 쿠션면에서 충격량이 숙련자, $2.51N{\cdot}m/kg$과 비숙련자, $2.86N{\cdot}m/kg$인 N사 신발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행균형성은 전족부의 평균 족저압력이 10.11 KPa(우측), 10.05 KPa(좌측)인 C사 신발, 후족부의 평균 족저압력이 8.40 KPa(우측), 8.36 KPa(좌측)인 V사 신발 적정하다고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접지능력과 안전성은 P사, 쿠션면은 N사와 보행 균형성은 C사와 V사 신발들의 구조와 재질을 조합한 신발을 개발하여야 한다.

경사면에서 골프스윙 동작시 족저압력 분석 (Influence of Different Slope Analysis during Pitching Wedge Swing on Plantar Pressure Distribution Pattern)

  • 손동주;양정옥;이중숙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97-309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피칭웨지 스윙 시 족저압력 측정기를 이용하여 평지, 오르막 내리막경사면에서의 족저압력분포의 메카니즘을 분석하여 운동역학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피험자는 KPGA 3명, KLPGA 3명을 대상으로 족저압력분포를 측정한 후 스윙시간, 동작특성, 평균족저압력 그리고 최대족저압력을 분석한 결과 경사면의 형태변화에 따른 스윙동작 시 구간별 시간변인과 족저압력변인들을 종합적으로 분석 결과 경사면에서의 스윙동작은 백스윙 과정에서 하지의 코일링 동작을 방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다운스윙과정에서도 체중분산을 최소화시키는 하지의 블로킹 동작과 이 후 릴리스 동작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경사면은 스윙동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많은 외적 요인들 중의 하나인데, 오르막경사면에서의 어드레스 자세는 하지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때문에 약간 좁은 스탠스를 유지하고, 내리막경사에서는 반대로 하지의 더 큰 활동성을 막기 위하여 더 넓은 스탠스를 가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어드레스 자세에서 뿐만 아니라 오르막경사의 다운스윙 동안에도 가능한 신체균형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체중을 왼발에 두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처네(앞.뒤) 사용 방법이 보행 시 목, 허리 및 다리 근육 활성도와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lantar foot Pressure and EMG Activation of Neck, Lumbar and Low Limbs by Using Carrier during Walking)

  • 이상열;장종성;이명희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37-244
    • /
    • 2009
  • 본 연구는 처네를 사용하고 보행을 하는 동안 처네의 사용 방법에 따른 족저 압력의 변화와 목, 허리 및 다리 근육의 활성도를 알아 보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족저 영역별 최고 압력과 근육 활성도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영아를 양육하고 있는 허리와 다리 및 목의 근골격계 문제가 없는 20명의 건강한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전방 처네 사용, 후방 처네 사용, 일반 보행을 하는 동안 입각기 발의 영역별 족저 최고 압력과 목, 허리 및 다리 근육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족저 압력의 측정은 RS-scan system을 이용하였으며, 근육 활성도는 ProComp InfinitiTM를 이용하였다. 처네 사용 방법에 따라 수집된 자료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전방 처네 사용 시 허리 근육의 활성도와 엄지 발가락 영역의 압력이 유의하게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후방 처네 사용 시 목 근육의 활성도와 발허리 영역의 압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처네의 사용 방법이 발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근육 활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임상적 평가를 위한 다중 센서 내장 깔창 시스템 (Multi-sensor embedded Insole system for Clinical test)

  • 이은영;김동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115-1117
    • /
    • 2017
  • 균형 장애나 비정상적 보행 패턴으로 인한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균형 능력과 보행 패턴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임상에서 사용하는 균형 및 보행 분석 시스템과 임상적 평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임상적 평가를 위한 다중 센서 내장 깔창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검사 대상자가 압력 센서들과 관성 센서가 내장된 깔창을 착용하고 임상적 검사를 수행하면 균형 및 보행과 관련된 다양한 지표를 정량적으로 제시하고 현재 족저압력 분포 및 자세 등을 실시간으로 시각화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을 보완하여 임상에 적용한다면 간편하게 정량적인 평가가 가능한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