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족삼리(足三里)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32초

족삼리 좌우측 자침에 대한 BOLD 반응 (BOLD Responses to Acupuncture on Each Side of ST36)

  • 여수정;배성인;최일환;장건호;임사비나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1권1호
    • /
    • pp.20-32
    • /
    • 2014
  • 연구배경 : 침의 효과와 신경생리학적 기전에 관한 연구가 기능자기공명을 이용하여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좌우측 동일한 혈위에 대한 자침이 뇌 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 그러나 동일한 혈위에 대한 좌측 또는 우측 자침이 뇌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점이 있다.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좌우측 족삼리 자침에 의한 BOLD (blood oxygen level-dependent) 반응을 살펴보고 비교하는 것이다. 방법 : 14명의 건강한 남자를 대상으로 좌우측 족삼리에 가짜 침과 진짜 침 자극을 하였다. 좌우측 족삼리 자침이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비교하기 위해 4가지 실험 디자인을 선택하였다. 첫째와 셋째 스캔은 우측 족삼리에, 둘째와 넷째 스캔은 좌측 족삼리에 가짜침과 진짜침 자극을 주었다. 또한, 자침은 자극기에 자침 및 자극을 주었으며, 자극기가 끝남과 동시에 발침하기를 반복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SPM8을 이용하여 one sample T-test와 within-subject the analysis of variance (ANOVA) test 를 실시하였다. 통계 결과 좌측과 우측 족삼리 자침에 의해 BOLD 반응의 차이를 보이는 9개 영역의 ROI (regions of interest)에서 BOLD 신호를 추출하였다. 결과 : 좌측과 우측 족삼리의 자침에 의한 BOLD반응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나타났다. 좌우측 족삼리 자침에 의한 BOLD반응을 비교한 결과, 좌측 족삼리 자침은 우측 족삼리 자침에 비해 주로 해마옆 이랑 (브로드만 영역 28), 배외측 전전두 피질 (브로드만 영역 44), 시상, 소뇌정상과 기저핵의 전장에서 더 높은 활성반응이 나타났다. 좌우측 족삼리 자침에 의한 BOLD반응을 각각 조사한 결과, 우측 족삼리 자침은 주로 대뇌섬과 보조운동영역 그리고 전대상이랑 (브로드만 영역 24)에서 활성화가 나타났으며, 좌측 족삼리 자침은 주로 대뇌섬과 일차 체감각 피질 (브로드만 영역 2) 그리고 배외측 전전두 피질 (브로드만 영역 44)에서 활성화가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좌측과 우측의 족삼리 자침이 인간의 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비교한 최초의 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는 좌측과 우측 족삼리 자침은 통증조절효과에 서로 다른 방식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좌측과 우측 자침이 뇌 신경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에 대한 증거가 된다.

Diffuse Optical Imaging으로 측정한 족삼리($ST_{36}$) 자침이 유방조직 산소공급 변화에 대한 기초 연구 (The Preliminary Study on the Changes of Mammary Tissue Oxygenation During Zusanli($ST_{36}$) Acupuncture Monitored by Diffuse Optical Imaging)

  • 조명래;김재관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7권6호
    • /
    • pp.67-75
    • /
    • 2010
  • 목적 : 족삼리($ST_{36}$) 자침이 유방 조직에 미치는 혈역학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diffuse optical imaging 기법을 사용하였다. 방법 : 실험에 사용한 쥐는 자침을 하지 않은 대조군 7마리, 자침을 한 실험군 7마리로 총 2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몸무게 170g 정도의 건강한 암컷 쥐는 100% 산소와 1.5% isoflurane을 혼합한 것을 이용하여 마취 시켰다. 자침은 경골 조면에서 2mm 외측에 위치한 지점인 족삼리($ST_{36}$)에 20분간 시행하였다. 자침을 시작할 때와 자침 후 10분에 각각 침을 5회 회전하였다. Diffuse optical imaging system을 이용하여 자침하는 동안 의 산화혈색소(OHb), 탈산소혈색소(RHb), 총 혈색소(THb)와 조직 산소 포화도($StO_2$)의 변화를 측정했다. 결과 : 실험 결과 족삼리($ST_{36}$) 자침을 시행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이 있는 OHb, RHb, THb의 증가와 유의성이 없는 $StO_2$의 감소가 나타났다. 결론 : 이러한 결과 족삼리($ST_{36}$) 자침이 혈류를 증가시키고 동시에 세포 대사 활동을 증가 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diffuse optical imaging 기법으로 족삼리($ST_{36}$) 자침 시의 유방 조직의 산소공급과 혈류량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비침습적으로 자침의 효과를 측정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중완과 족삼리 자침이 Neonatal-streptozotocin모델 실험동물에서 당대사 및 베타세포 보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V_{12}$ and $ST_{36}$ Acupuncture on Glucose Metabolism and Protection of Pancreatic Beta Cells in Neonatal-streptozotocin Model)

  • 강미경;남상수;이윤호;김용석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91-103
    • /
    • 2008
  • 목적 : 중완과 족삼리 자침이 neonatal-streptozotocin 모델 실험동물에서 혈당과 베타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비-비만 제2형 당뇨모델인 neonatal STZ 실험동물을 무처치 대조군, 임의혈 대조군, 중완 자침군, 족삼리 자침군으로 나누어 90일 동안 실험하였다. 체중과 혈당을 3일에 한 번씩 측정하였으며, 90일이 경과 후 혈중 인슐린을 측정하고 당부하 검사를 실시한 후 동물을 희생시켜 이자 조직을 적출하고 표본을 제작하였다. 면역세포화학법을 통하여 이자의 베타세포 손상에 대한 세포보호효과를 관찰하였다. 결과 : 중완 자침군과 족삼리 자침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혈당 강하 효과가 관찰되었다. 인슐린 농도는 모든 군에서 상승하였으며 당부하 검사에서는 임의혈 자침군과 중완 자침군 및 족삼리 자침군에서 내당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검사에서는 무처치 대조군과 임의혈 대조군에서는 베타세포 손상이 심했으나, 중완 자침군과 족삼리 자침군에서는 베타세포 손상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가 현저하게 관찰되었다. 결론 : 중완과 족삼리 자침은 비-비만 제2형 당뇨모델에서 손상된 베타세포를 회복하고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여 혈당을 강하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흰쥐 관절염 모델에서 족삼리와 대릉 배오 전침의 상호억제 효과 (Mutual Inhibitory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Applied to Combination of ST36 and PC7 in the Rat Model of Arthritis)

  • 김여정;정연정;이창형;구성태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0권4호
    • /
    • pp.298-304
    • /
    • 2013
  • 목적 : Carrageenan(CA)으로 유발시킨 슬관절염 동물 모델에서 족삼리와 대릉을 배오한 전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두 개 이상의 경혈에 동시에 자침함으로써 상승작용을 일으키는 연구는 많이 보고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배합한 경혈(족삼리와 대릉)에 의한 전침 진통 작용의 감쇄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CA을 흰쥐의 슬관절강 내에 주입하여 염증성 통증을 유발시켰다. 실험동물을 임의로 4군으로 배정하였다; PC7 군: 양쪽 상지 대릉 전침 군, ST36 군: 양쪽 하지 족삼리 전침 군, ST36+PC7 군: 양쪽 상지 대릉과 양쪽 하지 족삼리 전침 군, CON: 무처치군. 통증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weight bearing force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척수의 후각에 유도된 COX-2 발현을 측정하기 위해 면역조직화학법과 western blot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ST36+PC7군은 ST36군과 비교하여, 행동실험에서는 weight bearing force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면역조직화학법과 western blot 분석에서는 COX-2 발현이 상대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 이상의 실험결과를 통하여 족삼리와 대릉을 배오한 전침 자극은 슬관절염 모델에서 족삼리 전침의 진통 효과를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

족삼리(足三里) 사과락약침(絲瓜絡藥鍼)이 생쥐의 Collagen-induccd Arthritis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Luffae Fructus Retinervus Herbal-Acupuncture at ST36 on Collagen-induced Arthritis in Mice)

  • 채충헌;최선미;임윤경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131-144
    • /
    • 2005
  • 족삼리(足三里) 사과락약침(絲瓜絡藥鍼)이 DBA/lJ mouse의 collagen-induced arthritis 미치는 영향(影響)을 관찰(觀察) 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세포독성(細胞毒性) 측정결과(測定結果), 사과락약침액(絲瓜絡藥鍼液) 1%의 농도(濃度)에서 가장 높은 세포생존률(細胞生存率)이 관찰(觀察)되었다. 2. In vitro screening 결과(結果), 사과락약광액(絲瓜絡藥鑛液) 1%의 농도(濃度)에서 CIA mouse 관절활막세포(關節滑膜細胞)의 TNF-${\alpha}$발현(發現)이 유의(有意)하게 감소(減少)하였다. 3. 족삼리(足三里) 사과락약침(絲瓜絡藥鍼)에 의하여 관절염(關節炎) 발병률(發病率)이 감소(減少)하였다. 4. 족삼리(足三里) 사과락약침(絲瓜絡藥鍼)에 의하여 CIA mouse의 각장(脚臟)무게가 감소(減少)하였다. 5. 족삼리(足三里) 사과락약침(絲瓜絡藥鍼)에 의하여 CIA mouse의 혈청(血淸) IL-6, INF-${\gamma}$, TNF-${\alpha}$, IgG, IgM 및 Anti-collagen Ⅱ가 유의(有意)하게 감소(減少)하였다. 6. 조직학적(組織學的) 검사(檢査) 결과(結果), 족삼리(足三里) 사과락약침(絲瓜絡藥鍼)에 의하여 CIA mouse 관절(關節)의 연골파괴(軟骨破壞)와 활막증식(滑膜增殖)이 감소(減少)되고 교원질섬유(膠原質纖維)가 정상군(正常群)과 유사(類似)하게 유지(維持)되었다. 7. 임파절내(淋巴節內) CD3e+와 CD19+세포(細胞) 비율(比率), CD4+와 CD8+세포(細胞) 비율(比率)은 사과락약광치료군(絲瓜絡藥鑛治療群)에서 정상군(正常群)과 유사(類似)하게 유지(維持)되었다. 8. 임파절내(淋巴節內) CD69+/CD3e+세포(細胞) 및 CD11a+/CD19+세포(細胞)와 관절내(關節內) CD11b+/Gr-1+세포(細胞)는 사과락약침치료군(絲瓜絡藥鍼治療群)에서 대조군(對照群)에 비하여 유의(有意) 하게 감소(減少)하였다.

  • PDF

우울증(憂鬱症)의 침구치료(鍼灸治療)에 관(關)한 중의문헌(中醫文獻)의 고찰(考察) (A Study on Depression with Acupuncture & Moxibustion Traetment in Chinese Medical Literature)

  • 김여진;박동석;이윤호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223-234
    • /
    • 2005
  • 우울증(憂鬱症)의 철구치료(鐵灸治療)에 관(關)한 중의학(中醫學) 문헌(文獻)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우울증(憂鬱症)을 통치(通治)하는 혈(穴)에서 다용(多用)된 혈(穴)은 내관(內關), 신문(神門), 족삼리(足三里), 백회(百會), 태충(太衝), 삼음교(三陰交)였다. 2. 우울증(憂鬱症)을 실증(實證)과 허증(虛證)으로 구분했을 때 다용(多用) 된 혈(穴)은 책증(責證)에서는 태충(太衝), 전중, 양릉천(陽陵泉), 풍륭(豊隆), 내관(內關)이었고, 허증(虛證)에서는 내관(內關), 삼음교(三陰交), 신문(神門), 심유(心兪)였다. 실증(實證)에는 사법(瀉法), 허증(虛證)에는 보법(補法)을 사용(使用)하였다. 3. 우울증(憂鬱症)에 다용(多用)된 혈(穴)은 영심안신(寧心安神), 소간해울(疏肝解鬱), 건장화위(健將和胃), 관흉화담(寬胸化痰) 등(等)의 특성(特性)이 있다. 4. 이철료법(耳鐵療法)에서는 다용(多用)된 혈(穴)은 신문(神門), 심(心), 침(枕), 피질하(皮質下)였고, 전침료법(電鍼療法)에서는 족삼리(足三里), 삼음교(三陰交), 신문(神門), 내관(內關), 통리(通里), 용천혈(涌泉穴) 등(等)이 사용(使用)되었으며, 혈위주사료법(穴位注射療法)에서는 심유(心兪), 전유, 족삼리(足三里)가 다용(多用) 되었다. 5. 피부침(皮膚鍼)은 주로 항배부(項背部) 독맥(督脈)과 방광경위주(膀胱經爲主) 혈위(穴位)에 피부(皮膚)가 홍윤(紅潤)해질 정도로 고자(叩刺)하는 방법(方法) 을 사용(使用)하였다. 6. 우울증(憂鬱症)의 치료에는 약물(藥物), 침구치료(鍼灸治療) 외에 정신요법(精神療法), 음악요법(音樂療法), 광선용법(光線療法) 등이 응용(應用)될 수 있다고 사려(思慮)된다.

  • PDF

Collagenase-induced Arthritis Rat Model에서 Thermal Hyperalgesia에 대한 전침(電鍼)의 진통효과(鎭痛效果) 및 기전연구: Adrenergic Mechanism에 대(對)한 연구(硏究) (The Analgesic Effect and the Mechanism of Electroacupuncture on Thermal Hyperalgesia in the Rat Model of Collagenase-induced Arthritis: Mediation by Adrenergic Receptors)

  • 서병관;박동석;백용현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57-67
    • /
    • 2011
  • 목적 : Collagenase-induced osteoarthritis(OA) 동물 모델에서 전침의 adrenergic mechanism을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 Collagenase-induced arthritis(CIA)를 유발하기 위하여 5주령의 male Sprague-Dawley rat의 뒷다리 좌측 무릎 관절에 0.05ml의 4mg/ml collagenase solution을 intra-articular 주입하고, 다시 4일 후에 같은 부위에 같은 농도의 collagenase solution을 intra-articular boosting injection 시행한 뒤, gross, histopathological features 및 biomarker activity 변화를 관찰하였다. 예비실험을 통하여 CIA rat model에서 진통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한, 족삼리(足三里) ($ST_{36}$)에 대한 저빈도 train pulse EA stimulation (2Hz, 0.07 mA, 0.3ms)을 침치료 방법으로 적용하였다. 전침의 진통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alpha}1$-adrenergic antagonist (prazosin, 1 mg/kg, i.p.), ${\alpha}2$-adrenergic receptor antagonist (yohimbine, 2mg/kg, i.p.), ${\alpha}1$-adrenergic receptor agonist(phenylephrine, 2mg/kg, i.p.), ${\alpha}2$-adrenergic receptor agonist(clonidine, $40{\mu}g$/kg, i.p.)을 전침시행 20분 전에 복강 내로 전처치하였다. Tail flick unit(Ugo Basile Model 7360)을 이용하여 열자극에 대한 통증역치를 측정하였다. 결과 : 퇴행성관절염 징후(gross, histopathological features)와 통증역치의 변화가 최대값을 나타내는 CIA 유발 4주차에 저빈도 전침자극(train pulse, 2Hz, 0.07mA, 0.3ms)을 족삼리($ST_{36}$)에 적용하였으며, 족삼리 전침의 진통효과는 ${\alpha}2$-adrenergic receptor antagonist(yohimbine, 2mg/kg, i.p.)전처치에 의해 억제되었으나, ${\alpha}1$-adrenergic antagonist(prazosin, 1 mg/kg, i.p.)전처치에는 억제되지 않았다. 또 ${\alpha}2$-adrenergic receptor agonist(clonidine, $40{\mu}g$/kg, i.p.)의 전처치를 통하여 유의한 synergistic analgesic effect가 관찰되었으나, ${\alpha}1$-adrenergic receptor agonist(phenylephrine, 2mg/kg, i.p.)의 전처치는 전침의 진통효과에 synergistic effect를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저빈도 족삼리 전침은 CIA로 유발된 염증성 통증에 대하여 진통효과를 발휘하며, 이는 ${\alpha}2$-adrenergic receptor에 의하여 매개되는 것으로 보이며 ${\alpha}1$-adrenergic receptor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족삼리(足三里) 침자(鍼刺)가 위운동(胃運動)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한 신경학적(神經學的) 관찰(觀察) (Neurologic Study of Acupuncture ST36(足三里) on Gastric Motility in Rats)

  • 황우준;류인식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7권1호
    • /
    • pp.119-127
    • /
    • 2000
  • To investigate the acupuncturing function of $ST_{36}$(足三里) on the gastric activity, four different treatment methods such as intact, local anesthesia, ligation and nerve dissection were implemented. Followings are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1. When a simple acupuncture with intact, the stomach motility and frequency were increased without significance compared with control. 2. Under local anesthesia on femoral region, the stomach motility and frequency showed no such changes compared with control. 3. With ligation of femoral region, the stomach motility and frequency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control. 4. When the siatic nerve was dissected, the stomach motility and frequency showed no such changes compared with control. Overall, the effect of acupuncture on the $ST_{36}$(足三里) was very closely related with the condition of surrounding area. It is assumed that further studies should be done for the investigation of mechanism behind the acupuncturing fun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nervous system.

  • PDF

족삼리(足三里) 전침자극(電鍼刺戟)이 알러지모델 생쥐의 면역능(免疫能)에 미치는 영향(影響) 및 기전(機轉)에 관한 연구(硏究) (The Mechanism of Immunomodulatory Effect by Electro-acupuncture in 2, 4-Dinitrophenylated Keyhole Limpet Protein Immunized Mice)

  • 김정신;김용석;남상수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23-3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전침자극이 면역계의 THl/TH2 분화평형에 미치는 영향과 opioid system 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DNP-KLH의 자극을 통해 IgE 매개 알러지 반응모델을 구축하고 족삼리(足三里).에 전침자극을 가한 후 TH1/TH2 분화평형 및 opioid receptor antagonist인 naloxone에 의 한 반전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total IgE, antigen-specific IgE, IFN-${\gamma}$ 및 IL-4 mRNA 발현량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침자극은 DNP-KLH로 인해 과도하게 생산 된 혈청 total IgE 및 antigen-specific IgE를 감소시킴으로서 알러지 반응에 대한 유의한 억제능을 발휘하였으며, naloxone 투여로 전침 의 효과가 상쇠된 것으로 미루어 opioid system이 전침에 의한 항알러지 효과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2. 또한 전침자극은 DNP-KLH로 인한 TH2 cytokine의 편향상태에 대하여 TH1/TH2 평형조절능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naloxone으로 반전되지 않는 것으로 미루어 전침이 미치는 보조 T cell 분화에 대한 효과 는 opioid system에 의존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