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파수로

Search Result 23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n analytical and numerical study of a vertically-discretized wavemaker (수직다열화된 조파장치의 해석해 개발 및 수치모형 실험)

  • Son, Sangyoung;Kim, Yeulwoo;Jung, Tae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03-103
    • /
    • 2021
  • 실험실에서의 파랑생성에 흔히 사용되는 피스톤형 조파장치는 수심에 따라 유속이 동일하게 생성된다는 제약이 있어 주로 천해파의 생성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약조건 없이 다양한 유속분포의 파형을 생성하는 수직 다열화된 조파장치가 개발되었다. 우선, 수심방향으로 이산화된 각 패들(paddle)의 스트로크에 대해 선형해석해가 유도되었다. 개발된 해석해는 패들의 수 및 유속분포에 따라 기존의 피스톤형 혹은 플랩형 조파장치 해석해로 근사함이 밝혀짐으로써 포괄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개발된 해석해를 활용하면 선택적으로 피스톤형 및 플랩형 조파성능이 구현될 수 있다. 더불어 개발된 해석해는 다상유체의 내부파 생성에도 확정되어 적용가능함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개발된 조파장치를 수치적으로 구현하였다. 오픈소스 3차원 수치모형인 OpenFOAM 중, 두 개 이상의 불연속 및 비압축 유체에 대한 Navier-Stokes 방정식을 해결하는 수치 모듈을 사용하여 제안된 수직다열화된 조파장치의 성능이 평가되었다. 이때 동적격자모델(olaDyMFlow)을 결합함으로써 개발된 조파장치 움직임이 물리적 조파장치와 흡사하도록 수치적으로 구현하였다. 모의결과, 여러 개의 다열화된 패들이 층류 흐름 조건에서 심해파를 효율적으로 생성시키고, 중간수심 파랑조건에서는 제안된 조파장치가 상대적으로 덜 유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공기, 기름 및 물 등 3상의 흐름조건에서 단 두 개의 패들을 활용하여 각각 내부파 및 표면파를 생성하되었으며, 모의 결과는 해석해과 비교됨으로써 개발된 조파장치의 성능이 검증되었다.

  • PDF

조파판 출력의 이산적 구현방법

  • 전인식;박우선;안희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3.07a
    • /
    • pp.51-54
    • /
    • 1993
  • 수조안 주 실험구간에서의 유황이 주로 파랑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경우에는 실험결과의 정확도는 바로 사용된 조파기의 성능에 의해서 좌우된다. 컴퓨터를 이용한 조파기 제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특정 조파판 운동에 대한 조파판에서의 수면변화 양상을 정확히 예측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소수 해석을 통하여 조파판 전달함수를 재구성하였으며 시간영역에서 전달함수를 개별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수치 필터를 제시한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Curve-Shaped Wave Generation System (곡선형 조파시스템 개발)

  • Lee, Changhoon;Kim, Min Kyun;Cho, Yong Jun;Koo, Seok K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468-47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ㅡ자형, ㄴ자형, ㄷ자형 조파시스템이 경사진 방향으로 가동될 때 발생되는 에너지의 불연속성으로 인한 회절철상이나 구조물에서 반사된 파가 조파판에서 발생하는 재 반사 철상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곡선형태의 조파판을 배치하여 수치실험을 행하였다. 조파판을 곡선형으로 배치시켜 실험 대상물에서부터 반사된 파가 가능한 조파판에 직각으로 부딪치도록 유도하였다. 편미분 격자생성기법을 도입하여 구성된 곡선형 격자망에서 Copeland(1985)의 완경사 방정식을 이용하여 수치해석 하였다. 우선, 1차원 실험영역에서 파를 생성하여 대상구조물에서 반사되어 돌아온 반사파 성분을 조파판에서 흡수하면서 입사파를 생성하는 현상을 재현하였다. 그 후, 실험영역을 2차원으로 확장시켜 조파판을 곡선형으로 배치하여 수치 실험하여 진행파와 회절파의 중첩으로 고안된 해석해와 수치 해를 비교하려다. 그 결과, 기존의 조파시스템에 비하여 에너지 불연속선에서의 회절 현상도 발생하지 않고 반사파 성분을 효율적으로 흡수하는데 효과적임을 알아냈다.

  • PDF

Water Wave Generation by Level Set Method (레블셋 기법을 이용한 파랑 조파)

  • Lee, Haegyun;Lee, Nam-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43-144
    • /
    • 2012
  • 전통적인 VOF 기법을 이용한 내부 조파 방법을 레블셋 기법에 적용하였다. 기하학적으로 유리한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Navier-Stokes 방정식의 공간차분에는 Characteristic Galerkin 기법을, 시간차분에는 Fractional Four-step 기법을 적용하였다. 중심(x=0)에서 전파하는 경우, 외부조파에 의한 영역내 재반사 문제가 해결되어 선형파를 의도한 바대로 잘 조파할 수 있었다.

  • PDF

Internal Wave-Maker with the Level-Set Finite Element Approach (레블셋 유한요소 기법을 이용한 내부 조파)

  • Lee, Hae-Gyun;Lee, Nam-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81-184
    • /
    • 2012
  • 기존에 제시된 Lin 과 Liu (1999)의 VOF 기법을 이용한 내부 조파 방법을 레블셋 기법에 적용하였다. 기하학적으로 유리한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Navier-Stokes 방정식의 공간차분에는 Characteristic Galerkin 기법을, 시간차분에는 Fractional Four-Step 기법을 적용하였다. 그림에 보인 바와 같이 중심(x=0)에서 전파하는 경우, 외부조파에 의한 영역내 재반사 문제가 해결되어 선형파를 의도한 바대로 잘 조파할 수 있었다.

  • PDF

Two-Dimensional Wave Flume with Water Circulating System for Controlling Water Level (수위 조절 회류시스템을 갖춘 2차원 조파수조)

  • Oh, Sang-Ho;Lee, Dal 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0 no.6
    • /
    • pp.337-342
    • /
    • 2018
  • Wave flume that enables generating water waves is a core research facility for physical experiment related to coastal engineering works. Recently, a new wave flume of 50 m length was constructed in Korea. The wave flume has a sloped section on its bottom. A novel wave generating system incorporating most-updated wave maker theory was introduced to the flume. In addition, water circulating system for adjusting water level was installed beneath the flume. These technical features and detailed specifications of the wave flume are described in this paper.

Numerical simulation of wave transformation with the internal wave maker (내부조파를 활용한 파랑 변형 수치모의)

  • Ha, Tae-Min;Cho, Y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3-43
    • /
    • 2011
  • 최근 컴퓨터 기술의 발전으로 수심방향으로 완전한 운동방정식인 Navier-Stokes 방정식을 이용하는 3차원 수치모형에 의한 연구가 기초과학 분야인 수학에서부터 공학은 물론 의학 분야까지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다. 3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연구는 이론적으로 매우 우수하긴 하나 정확도 높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매우 조밀한 격자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아직까지 막대한 계산시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으나 근래의 컴퓨터 기술이 엄청난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적용 가능성은 계속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해안공학 분야에서도 3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복잡한 해안구조물로 인한 파랑변형 및 구조물의 안전성 등을 검토할 때 기존의 평면 2차원 수치모형이나 연직 2차원 수치모형으로는 재현이 힘들어 상대적으로 수치모형을 활용한 연구의 효용성이 낮았던 것에 비해 3차원 수치모형을 활용할 경우 복잡한 지형 및 구조물의 형상을 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파랑변형을 다루는 수치모형실험을 수행할 때 외부조파를 사용할 경우 구조물이나 지형에 의해 반사되어 나온 파랑이 조파지점에 도달할 때 실험영역으로 재 반사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내부조파기법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었으며, 2차원 수치모형을 중심으로 그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Navier-Stokes 방정식 모형의 경우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Navier-Stokes 방정식 모형에서 내부조파기법을 도입하여 목표 파랑을 조파하였다. 수치모형은 Navier-Stokes 방정식을 엇갈림 격자체계에서 계산하는 유한차분모형으로 자유수면 추적에는 2차 정확도의 VOF(volume-of-fluid) 기법을 사용한다. 수치모형실험 결과를 일정한 수심을 전파하는 정현파의 해석해와 비교하였으며, 수치모형실험 결과가 비교적 정확하게 목표 파랑을 조파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 PDF

Internal Wave-Maker using Momentum Source Term of RANS Equation Model (RANS 방정식의 운동량 원천항을 이용한 내부조파)

  • Choi, Jun-Woo;Ko, Kwang-Oh;Yoon, Sung-Bu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1 no.2
    • /
    • pp.182-190
    • /
    • 2009
  • For RANS equation model using VOF scheme Lin and Liu (1999) developed internal wave-maker method to generate target wave trains by using designed mass source functions of the continuity equation. By using this method studies on various numerical wave experiments has been achieved without the problem caused by wave reflection due to an external wave-maker. In this study, the wave-maker method to generate target wave trains by using a momentum source function was proposed. The computational results obtained by applying the mass and momentum source functions into FLUENT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To see its applicability, the hydraulic experiment of Luth et al. (1994) were numerically simulated and their measurements are compared with the computations, and the vertical variations of computed results were shown and investigated.

Discrete Application of Wave Board Transfer Function in Time Domain (시간영성에서 조파판 전달함수의 이산적 적용)

  • 전인식;박우선;오영민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5 no.2
    • /
    • pp.133-142
    • /
    • 1993
  • In a computer-controlling wave generating system. it is sometimes necessary to incorporate the discrete transfer operation of wave board into control circuit in order to control the system in a more delicate way. A numerical filter simulating the transfer operation of wave board in time domain is designed in the form of a discrete recursive filter. The filter was applied to some example board inputs f3r either regular or irregular wave conditions in order to evaluate the filter performance. The filter output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oretical analysis or the discrete convolution method. showing their excellent agreements. The discrete realization of the filter presented hen is in fact of the bilinear transformation. It was shown that the transformation always avoids the aliasing errors, being surely applicable with a sufficient accuracy even for the band-unlimited transfer function of wave board.

  • PDF

Internal Generation of Waves on an Arc In A Rectangular Grid System (직사각형 격자체계에서의 원호형 내부조파)

  • Lee Chang-Hoon;Choi Hyuk-Jin;Kim Duk-G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8 no.1
    • /
    • pp.1-14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the techniques developed using the line source method to internally generate waves on an arc in a rectangular grid system. For five different types of wave generation layouts, quantitative experiments were conduct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the propagation of waves on a flat bottom, the refraction and shoaling of waves on a planar slope, and the diffraction of waves to a semi-infinite breakwater. Numerical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the extended mild-slope equations of Suh et al. (1997). The fifth type of wave generation layout, consisting of two parallel lines connected to a semicircle, showed the best solutions, especially for a small grid siz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