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직-공중관계성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초

소셜 미디어를 통한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참여동기가 조직-공중관계성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Using Social Media on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and Brand Loyalty)

  • 이준섭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39-159
    • /
    • 2017
  • 본 연구는 기업이 소셜 미디어 사회공헌활동을 수행할 때 참여자들의 참여동기인 공감성과 흥미성, 사회공헌활동 수행기업과 참여자 간의 조직-공중관계성, 그리고 수행기업에 대한 브랜드 충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한다. 설문응답 자료를 확인요인분석한 결과, 공감성과 흥미성 등 2개의 참여동기 요인이 도출되었다. 또한, 수행기업과 참여자 간의 신뢰, 충실성, 통제상호성, 친밀성 등 4개의 조직-공중관계성 요인이 도출되었다. 제안된 연구모형은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감성은 신뢰, 충실성, 통제상호성, 친밀성 등 모든 조직-공중관계성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흥미성은 신뢰와 충실성 등 두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는 다른 조직-공중관계성 요인인 충실성, 통제상호성, 친밀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각각의 조직-공중관계성 요인은 브랜드 충성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관련 중소기업 종사자들의 조직-공중관계성과 외부평판 및 직무만족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External Reputation and Job Satisfaction of Workers in Small and Medium-sized IT Enterprises)

  • 김정근;박응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125-135
    • /
    • 2017
  • 본 연구는 IT 관련 중소기업 종사자 221명을 대상으로 조직-공중관계성과 외부평판 및 직무만족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SPSS 21 프로그램과 AMOS 21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신뢰도 분석 및 구조모형분석을 통해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IT 관련 중소기업 종사자들의 조직-공중관계성과 외부평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조직-공중관계성은 외부평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IT 관련 중소기업 종사자들의 조직-공중관계성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조직-공중관계성은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IT 관련 중소기업 종사자들의 외부평판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외부평판은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IT 관련 중소기업 종사자들의 직무만족을 높여 실질적인 조직효과성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기반 기부활동 기업에 대한 조직-공중관계성이 기업이미지와 기업 평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of Corporate Donation via SNS on Corporate image and Reputation)

  • 김정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29-38
    • /
    • 2017
  • 본 연구는 기업의 SNS 기반 기부활동에 참여한 SNS 이용자 228명을 대상으로 조직-공중관계성과 기업이미지 및 기업평판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SPSS 21 프로그램과 AMOS 21프로그램을 이용, 상관관계 분석과 신뢰도 분석, 그리고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NS 이용자의 조직-공중관계성과 기업이미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조직-공중관계성은 기업이미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 이용자의 조직-공중관계성과 기업평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조직-공중관계성은 기업의 평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SNS 이용자의 기업이미지와 기업평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기업이미지는 기업의 평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향후 기업의 소셜네트워크 기반 마케팅 전략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셜 미디어를 통한 지자체 PR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분석 : 부산광역시 블로그 '쿨부산'을 대상으로 (The Effect of PR Communication of Local Government through Social Media : Focusing on the Official Blog of Busan Metropolitan City, 'Cool Busan.')

  • 선혜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0-29
    • /
    • 2018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블로그 '쿨부산'을 대상으로 지자체 PR커뮤니케이션이 지자체와 공중간의 관계성과 지자체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공중관계성의 매개역할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소셜 미디어 정보특성 중 '상호작용성'과 '흥미성'은 조직-공중관계성과 지자체 이미지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조직-공중관계성의 하위요인들 중 '균형성'이 지자체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자체 소셜 미디어 정보특성의 지자체 이미지에 대한 영향력에 있어 조직-공중관계성의 매개역할이 입증되었다.

군 간부와 지역사회 주민 간 조직-공중 관계성과 군 가족복지지원 욕구 인식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Perception on the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officials and the Locals, and the Perception on the Support Military Family Welfare)

  • 정미경
    • 사회복지연구
    • /
    • 제45권2호
    • /
    • pp.65-97
    • /
    • 2014
  • 본 연구는 군 간부와 지역사회 주민 간 조직-공중 관계성과 군 가족복지지원 욕구 인식 및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대상은 군 간부 217명, 지역주민 191명이며, 2014년 2월 10일부터 2월 28일까지 약 3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에 대한 군 조직-공중 관계성은 군 간부의 인식(M=5.39)이 지역사회 주민의 인식(M=4.99)보다 더 긍정적이지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6.93, p<.001). 또한 모든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상호인식의 일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군 가족복지에 대한 지역사회지원 인식에 있어서 군 간부의 인식(M=5.38)이 지역사회 주민의 인식(M=4.76)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t=6.93, p<.001)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공중 관계성의 변화가 군 가족복지지원 욕구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회귀계수 ${\beta}=.82$(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지역사회 주민의 군 조직-공중 관계성 인식은 군 가족복지지원 욕구 인식에 유의미한 예측력이 있으며, 지역사회 주민의 조직-공중 관계성 인식이 높을수록 군 가족복지지원 욕구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미디어, 관계성과 이미지회복전략이 공중의 위기커뮤니케이션 수용에 미치는 영향: 신문과 트위터(Twitter) 비교 분석 중심 (The Impact of the organization's crisis communication via social media on the public's crisis perception)

  • 김민지;김영욱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1권
    • /
    • pp.134-158
    • /
    • 2013
  • 위기 상황에서 다수의 공중들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활용하여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용자 측면에서 소셜미디어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소셜미디어가 조직의 위기관리에서 어떠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디어 유형에 따라 조직-공중 관계성과 조직이 위기 상황에서 내세우는 이미지회복전략의 차이가 공중의 위기커뮤니케이션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신문과 트위터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위기상황을 제시한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삼원변량분석(3-way ANOVA) 결과, 미디어 유형과 이미지회복전략 변인은 공중의 위기인식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미디어 유형, 조직-공중 관계성, 이미지회복전략 세 변인은 공중의 위기커뮤니케이션 수용에서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미디어 유형에 따라 공중의 위기인식과 수용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조직의 위기관리에서 소셜미디어의 영향력이 검증되었으며 이를 적절히 활용하기 위한 조직의 차별화된 전략의 필요성이 드러났다.

  • PDF

대한민국 공군 장병을 대상으로 한 위점막 조직 호산구 증가증과 유문나선균 간의 관계 연구 (Relationship between gastric mucosal eosinophilia and the presence of Helicobacter pylori in Republic of Korea Air Force soldiers)

  • 김현수;이상화;이석;최원호;김지호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4-38
    • /
    • 2012
  • 호산구는 염증 반응에 의해 활성화되며, 주로 기생충 감염이나 알러지 질환 등에 대한 면역 작용을 담당한다고 알려져 있다. 호산구 증가증은 약물 반응, 알러지, 국소적인 기생충 감염 등에 의한 경우가 많지만, 자가면역성 질환이나 종양에 의한 경우도 있다. 최근 연구를 통해 위염의 대표적인 원인균 중 하나인 유문나선균 역시 위점막에서 나타나는 조직 호산구 증가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밝혀지고 있으나, 유문나선균에 의한 호산구 증가증 발생 기전이나 빈도는 아직까지 확립되지 않고 있다. 위점막 내 호산구 침윤과 동반되는 위염은 복통, 오심, 구토, 설사, 장폐색 등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위식도 역류, 염증성 장질환 등의 발생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위염 및 다양한 관련 질환에 의한 증상은 공중 근무자들의 임무 수행 능력을 저하시켜 항공기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항공의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며, 실제로 호산구성 위염이나 유문나선균 감염의 치료 여부가 공중 근무자에게 일시적 또는 영구적 비행임무정지를 부과할 수 있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공군 장병 환자를 대상으로 내시경을 통해 얻은 위점막 조직 내 호산구수를 측정하고, 이를 위점막 표면의 유문나선균 존재 유무와 관련지어 보았다. 111명 중 20명의 환자에서 한 고배율 시야 당 30개 이상의 호산구가 관찰되었고, 63명의 환자의 위점막 표면에서 유문나선균을 확인하였다. 또한 위점막 내 호산구의 밀도와 유문나선균의 존재 간의 관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한민국 공군 장병을 대상으로 하여 조직 호산구 증가증과 유문나선균의 빈도 및 상호 관계를 최초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추후 유문나선균이 어떤 기전으로 위점막 조직 내 호산구의 증가에 관여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시민들의 위기의식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Citizens' Sense of Crisis on Trust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 어용;김덕호;정종수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3-174
    • /
    • 2023
  • 본 연구는 공중보건 비상사태 발생 시 시민들의 위기의식과 신뢰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위기의 영향은 개인, 사회, 국가에 따라 다르다. 정부의 위기관리는 특히 '공공성'이라는 측면에서 비정부기구와 매우 다른 것이 국민의 책임의식을 해소하기 위한 관료제를 수반하기 때문이다. 전염병 확산 단계에서 사람들은 부정적인 감정에 쉽게 빠지게 되며, 중대사고 발생 후 대중의 부정적인 감정을 줄이는 것은 중대사고로 인한 조직의 피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시민들의 위기의식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기반으로 공중보건 위기상황의 관리를 최적화하고 시민들의 정신건강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지침을 제공해야 한다고 판단 된다.

  • PDF

전기통신정책과 전파관리의 발전방향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lecommunications Policy and Radio Administration in Korea)

  • 왕지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9-20
    • /
    • 1981
  • 통신부에서 직접 경영하는 공중전기통신사업은 1982년 1월 1일을 기하여 한국전기통신공사가 전단하게 됨에 따라 통신부의 행정조직은 혁신적으로 개정되리라 한다. 체제에, 통신과학을 전정하는 입장에서 우리나라 통신행정의 핵심이 될 전기통신정책과 전파감리의 발전을 위하여 가장 중요한 조직창조와 인사개혁의 양측면을 적극 공론함으로써 그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비교연구로서는 공중전기통신사업을 일본전신전화공사에 의한 영업과 우정성에 의한 감리로서 모범적으로 운행하고 있는 일본국의 사례를 택하였으며, 국내외의 관계문헌과 최신의 자료에 의하여 고찰하였다.

  • PDF

인터넷을 활용한 테러 대응의 법사회학적 접근 - 예방 홍보 관리방안을 중심으로 - (The Approach of Sociology of Law on Counter-Terrorism using Internet)

  • 박용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25-234
    • /
    • 2007
  • 본 연구는 오늘날 뉴테러리즘 환경 하의 테러대응체제를 구축하기 위하여, 그 중에서도 특히 테러 피해의 최소화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대응책 중의 하나인 예방홍보에 대한 중요성을 일깨우고,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여 준다는 목적을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아 이를 법사회학적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공공매체를 통한 정부기관의 홍보는 국민들의 참여를 촉진시키고 인식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테러발생의 환경 변화에 따른 테러예방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고도 정보화 사회에 적합한 테러예방 홍보수단으로서 국민에게 한 발짝 다가설 수 있는 적극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써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테러 대응체제로서 경찰조직과 공중과의 관계성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양자의 관계정립의 활성화 통하여 효율적인 테러예방을 위한 홍보방안들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여기에는 오늘날 인터넷이 갖는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어떻게 하면 테러예방 홍보효과를 극대화할 것인가에 궁극적인 목적을 가지고 e-CRM의 도입 등을 통한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대국민 홍보활동을 강화하여 언론매체 등을 활용하여 정부차원의 대테러 정보자료의 배포 범위의 확대를 통한 정보서비스 활동의 필요성과 기타 테러예방 홍보의 관리전략들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