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직 유효성

Search Result 458,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조직공정성과 조직문화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개인의 집단주의 성향에 대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Kim, Dae-Hyeon;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0a
    • /
    • pp.155-182
    • /
    • 2009
  • 본 연구는 조직공정성과 조직문화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인의 집단주의 성향이 조직공정성, 조직문화유형과 조직유효성간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전문건설업체 현장 관리자의 조직유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도출 제시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공정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검정의 결과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검정의 결과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급과 직종에 따라 조직공정성, 조직문화유형, 조직유효성에 대한 인식 차이에 관한 가설검정의 결과도 모두 유의적인 것으로 검정되었다. 둘째, 개인의 집단주의 성향이 조직공정성과 조직유효성간의 관계, 조직문화유형과 조직유효성간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에 관한 가설검정도 모두 유의하지 못하여 기각되었다.

  • PDF

Ident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related variables and organization at effectiveness (외식업체의 조직유효성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관련 요인 규명)

  • 이해영;양일선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05a
    • /
    • pp.97-97
    • /
    • 2003
  • 오늘날 조직의 활동이 복잡해지고 외부환경과의 상호작용이 활발해짐에 따라 조직유효성을 측정하기 위한 기준이 다양해졌고 특히 조직의 목표가 연속적이고 조직의 산출물이 유형적 물질이 아닌 외식산업에서의 조직유효성 측정이라는 난제는 조직연구분야에서 핵심논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급격한 기업 내ㆍ외부의 환경 변화로 인하여 기존의 단면적인 측면으로 평가되는 유효성 지표보다 조직 전반에 대한 거시적인 입장에서 평가될 수 있는 유효성 지표를 도출하기 위해서 조직전반의 운영 과정 및 성과가 모두 포함되는 종합적 품질경영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다수 제기되고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 Factors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up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University Libraries (대학도서관의 조직구조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김명옥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8.08a
    • /
    • pp.133-136
    • /
    • 1998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효율적인 조직구조의 형성방안을 위하여 대학 도서관 조직구조의 상황변수, 기본변수, 구조형태 및 조직유효성 간에 상호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 것으로서 이론적인 배경을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계한 후에 실증적인 검증을 시도하였다. 이 검증을 위하여 상황변수는 환경, 기술, 규모, 전략유형, 권력유형을 채택하고, 기본변수는 복잡화, 공식화, 집권화를 채택하였으며, 구조형태는 단순조직, 기능별조직, 분관조직, 주제별조직(I)(II)로 구분하였고, 조직유효성 변수는 능률성, 유연성, 정보자료관리 및 만족성을 채택하였으며, 만족성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으로 세분하였다. 연구결과 조직구조의 상황변수, 기본변수 및 구조형태는 상호간에 영향을 주며, 궁극적으로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주지만 그 내용은 극히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모든 측면에서 조직유효성이 높은 조직은 없고,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형태는 극히 미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사회적기업가의 리더십과 역할스트레스, 의사소통,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Son, Jeong-Hw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69-74
    • /
    • 2019
  • 사회적기업이란 영리기업과 비영리기업의 중간형태로서 사회적기업육성법에서는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의 사회적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 혹은 판매 등의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으로서 고용노동부 장관의 인증을 받은 기업을 말한다. 현재 사회적기업은 2019년 3월말 기준 2,154개의 기업이 활동하고 있다. 사회적기업의 양적증가에 따라서 사회적기업가 리더십과 조직의 존재가치를 설명하는 조직유효성이 중요하다. 조직유효성의 증가하기 위해서,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요인들 중에서 어떤 요인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기존연구는 사회적기업 조직유효성에 대한 조직문화, 리더십 등 조직 관련 개별요인과 조직유효성과의 관계 파악에 한정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션을 추구하는 사회적가치와 지속가능성을 위한 경제적가치를 추구하는 사회적기업의 특성에 따른 역할 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뿐 아니라 리더십, 의사소통, 조직문화의 개별적 요인 뿐 아니라 통합적인 적용을 하고자 한다.

  • PDF

An Effect of Organizational Environment and Commitment on the Operational Risk-Based Internal Control Commitment in Banks (조직환경 및 유효성이 은행의 운영리스크 내부통제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Chung, Hae-Won;Kim, Hyun-Soo;Ahn, Yeon-Shick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3-8
    • /
    • 2007
  • 지난 2004년 6월 24일에 공표된 신BIS 자기자본규제제도에 의거 회원국 은행들에 대한 체계적인 위험관리가 강화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2009년부터 모든 은행이 신BIS기준을 도입및 적용할 예정이다. 신BIS협약은 운영리스크(부적절한 내부절차, 직원, 시스템)에 대해서도 리스크를 측정하여 은행의 소요 자기자본에 반영토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은행의 조직환경 변수들이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들이 또한 내부통제절차의 상시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 소재 은행원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함으로써 은행들이 효율적인 내부통제를 통해 금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은행자산의 건전성에 기여하기 위한 지침을 제시하는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모형에서 예상한 바와 같이 조직환경이 내부통제유효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조직몰입도나 집단응집력과 같은 조직유효성을 매개로 하여 내부통제유효성에 더욱더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은행내 중간관리자의 성향에 따라 개별조직 구성원들의 행동양식이나 가치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장기적인 안목에서 양질의 리더십, 조직문화 그리고 분위기 등 조직환경을 리드해 나갈 수 있도록 관리자들에 대한 교육훈련 및 소양교육을 지속적으로 펼쳐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 PDF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University Libraries (대학도서관의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 Yoon Hy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1 no.2
    • /
    • pp.139-175
    • /
    • 1997
  • This study attempts to assess university library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o develop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construct.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riteria can be reduced to fifteen factors. Second, four distinct clusters of libraries are identified, each showing a unique effectiveness profile. Thir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number of users, full-time staff, unit and position to which respondents belong. The investigation shows tha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university libraries is, indeed,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implying that no single measure of effectiveness Is sufficient to describe an organization.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 factors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up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university libraries (대학도서관의 조직구조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김명옥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15 no.2
    • /
    • pp.119-136
    • /
    • 199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uniersity libraries in Korea. This study models emphasized the situational factors, fundamental factors and types of organiz tional effectiveness. environment, technology, size, strategy, and power were taken as situational factors of organizational structure ; fundamental factors were complexity, formalization, and centralization ; organizational structures were diveded into simple organization, functional organization, departmental organization, subject divisional organization(I), (II). Efficiency, flexibility, information service and satisfaction were taken as effectiveness factors and satisfaction was subdivided in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this study, situational factors, fundamental factors and types of organizational structures influence one another, ultimately affect the level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presents no organization of hig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n all levels.

  • PDF

A Study o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Job Stress in R&D Personnel on thei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ing on IT Enterprises in Seoul- (연구개발 인력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관계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 IT벤처기업을 중심으로-)

  • Yoo, Peter;Yang, Hae-Soo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8 no.6
    • /
    • pp.1695-1705
    • /
    • 2007
  • This study is a research on the influential factor of R&D (Research and Development) personnel's job stress on thei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defined its purposes as the following in order to find out in detail what effect the R&D personnel's job stress has and what difference it makes with respect to the relation with thei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a result of testing the 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members' job stress and thei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his empirical research,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job stres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as an important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it was revealed that job stre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ccording to organizational members' personal characteristics. Third,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members' job stress has a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inally, it was found that each variable such as role-conflict, role-ambiguity and career development has a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dependently.

  • PDF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Enterpris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Learning Organization Activity (학습조직활동이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Yoo, Ji-Chul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0.11a
    • /
    • pp.473-482
    • /
    • 2010
  • 지식기반경제사회에서 지식을 습득하고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인적자원이야 말로 기업의 핵심경쟁력 이라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디지털시대로 특징지어지는 21세기에는 지식이야말로 기업의 경쟁우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기업은 디지털시대에 있어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학습조직의 활성화는 기업의 경쟁에 있어서 중요한 핵심요소가 된다. 그러나 대부분 기업들이 학습활동을 하면서도 학습조직의 활성화가 기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조직의 활성화가 기업조직의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기업학습조직 활성화에 지속적 학습, 시스템적 사고, 조직몰입 등이 기업조직의 유효성에 유의하게 판단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Enterpris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Learning Organization Activity. (학습조직활동이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Yoo, Ji-Chul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 /
    • v.11 no.4
    • /
    • pp.287-292
    • /
    • 2009
  • 지식기반경제사회에서 지식을 습득하고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인적자원이야말로 기업의 핵심경쟁력 이라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디지털시대로 특징지어지는 21세기에는 지식이야말로 기업의 경쟁우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기업은 디지털 시대에 있어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학습조직의 활성화는 기업의 경쟁에 있어서 중요한 핵심요소가 된다. 그러나 대부분 기업들이 학습활동을 하면서도 학습조직의 활성화가 기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조직의 활성화가 기업조직의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기업학습조직 활성화에 지속적 학습, 시스템적 사고, 조직몰입 등이 기업조직의 유효성에 유의하게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