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직 과증식

Search Result 392,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Culturing the Human Dental Pulp cells in the Collagen Matrix and on the ground tooth surface (콜라젠 기질(COLLAGEN MATRIX)과 마모된 치아표면에서의 치수세포 배양에 관한 연구)

  • Park, Sang-Hyuk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8 no.5
    • /
    • pp.419-424
    • /
    • 2003
  • 이 연구의 목적은 원래의 치수조직과 유사한 조직을 재생하기 위한 pulp tissue engineering의 한 방법으로 건전한 조직으로부터 배양된 치수세포와 쥐의 조섬유세포(NIH 3T3 cell)를 Rat tail type I collagen solution에서 3차원적으로 관찰하기 위한 것으로, 콜라젠 젤의 수축량과 세포의 증식 량을 비교하였으며, 또한 마모된 사람치아의 표면과 배양용기에서 두 세포의 증식 량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콜라젠 젤에 NIH 3T3 세포를 배양한 경우 그 수축량은 최소였으나, 치수세포를 배양한 경우 그 수축량은 현저하였다. 2. 서로 다른 수의 치수세포를 콜라젠 젤에서 배양시킨 경우 세포 수가 많을수록 수축량이 증가하였으며, 세포가 없는 콜라젠 젤은 수축하지 않았다. 3. 치수세포를 콜라젠 젤에서 18일간 배양시킨 후 세포의 증식은 거의 없는 반면, NIH 3T3 세포는 계속 증식하였다. 4. 마모된 사람 치아 표면과 배양 용기에서 치수세포와 NIH 3T3세포를 배양한 경우 NIH 3T3세포가 치수세포에 비해 빠르게 증식 하였으며 , 특히 사람 치아의 표면에서 NIH 3T3세포가 현저히 빠른 증식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치수세포를 type I collagen gel에서 3차원 적으로 배양 후 치수조직의 재생을 유도하는 pulp tissue engineering에 관한 연구에 발판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RESPONSES OF GINGIVAL AND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OT VARIOUS DENTIN CONDITIONED SPECIMENS IN VITRO (다양한 상아질 처리방법에 따른 치은 및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의 반응에 관한 시험관내 연구)

  • Lim, Jae-Hyung;Kim, Jung-Keun;Chung, Chin-Hy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25 no.1
    • /
    • pp.99-110
    • /
    • 1995
  • 치주치료의 궁극적 목표인 치주조직 재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치주조직 재생에 주된 역할을 하는 치주인대세포와 치근면 탈회에 의한 신부착 효과에 관한 많은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광범위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어떤 치근면 처리가 신부착 형성에 가장 효과적인지는 아직 논란의 대상으로 남아있다. 이에 저자는 결합조직 부착에 의한 재생에 필수적인 치은 및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의 부착 및 증식을 tetracycline-HCL(TC)과 citric acid(CA)로 각각 처리된 상아질 표면에서 비교관찰하여 치주조직 재생에의 기여도를 추정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교정치료를 위하여 본원에 내원한 환자의 제일 소구치의 건강한 치은조직을 채취하고, 발치 후 효소처리에 의한 치주인대세포를 얻은 후 각각 세포배양하였다. 상아질 절편은 $3{\times}3{\times}0.2mm^3$로 준비하고 TC과 CA처리군으로 나눈 후 각각 치은 및 치주인대 섬유아세포를 부착시키고 초기부착은 8시간까지, 증식은 7일까지 고나찰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각 군의 세포 부착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되었다. 2. 모든 군에서 7일째 빠른 증식상을 보였다. 3. 초기 부착시 치은과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의 반응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반면에 치은과 치주인대 섬유아세포는 증식속도에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치은 섬유아세포가 좀 더 빠른 성장을 보였다. 5. 치근면 탈회에 따라 초기부착과 증식상에서 모두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6. CA는 초기부착에서, TC는 증식장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했다.

  • PDF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with Embryogenic Tissue Lines in Pinus densiflora (소나무 배발생조직 라인 별 체세포배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

  • Kim, Yong Wook;Shin, Han Na;Moon, Heung Ky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0 no.3
    • /
    • pp.449-454
    • /
    • 2011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growth rate among 15 embryogenic tissue lines (ETLs), comparison of maturation on somatic embryos (SEs) with 13 ETLs and efficiency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gelrite on SEs germination in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In comparison of ETLs growth rate (folds) with 15 lines, the 05-4 line (5.3 folds) showed the highest rate, on the other hand, the lowest one was recorded in the line of 05-37 (1.4 folds). The 13 ETLs were tested for the extent of SEs production. The best production was recorded in the line of 05-4 (39.8/90 mg F.W.). However, most of ETLs, except 5 lines (05-4, 12, 21, 29 and 37), did not produce SEs at all, therefore, big differences in the ability of SEs production existed among the ETLs tested. Effects of various gelrite concentrations for SEs germination with 3 ETLs were also compared. The highest result was obtained from 0.2% gelrite concentration with 05-4 line (47.3%), there was a inclination that the rate of germination was gradually declined over 0.2% gelrite concentration with the 05-4 and 29 lines. respectively. In contrast, in the line of 05-37, no SEs germination occurred on medium with 0.1 or 0.2% gelrite. In conclusion, the growth rate, SEs production and germination frequency were appeared to deeply depended on the ETLs.

A Rat Pylorus Stricture Model to Create Stent-induced Granulation Tissue Formation (백서 날문부에서 스텐트 유도 조직 과증식 형성을 위한 전임상 모델에 관한 연구)

  • Kim, Min-T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6 no.5
    • /
    • pp.559-565
    • /
    • 2022
  • In this study, we intend to develop a granulation tissue formation model. As a pilot experiment, a contrast agent was injected into the pylorus in 3 rats, the normal pylorus lumen size was confirmed, and a stent was placed. Stent migration was confirmed in to the duodenum within 1 week. In this experiment, stent was sutured and fixed to induce granulation tissue formation after gastrostomy under a fluoroscopic guidance. Twenty rats were divided into Healthy Group / Gastrostomy Group. After anesthesia of the Gastrostomy Group, an abdominal incision was performed, and gastrostomy was performed under a fluoroscopic guidance, and a stent was placed into the pylorus. In order to prevent stent migration due to peristalsis, suture between the pylorus and the proximal end of the stent was performed. Postoperative behavior and weight changes were monitored daily. Four weeks after surgery, gastrointestinal fluoroscopy imaging was performed and rats were sacrifices. To evaluate the degree of granulation formation, the stent was sectioned transversely. Gastrostomy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Healthy Group in granulation area ratio (all p<.001).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level of tissue overgrowth formation for preclinical evaluation of the pylorus stricture model through gastrostomy is appropriate as a research evaluation tool.

The Feasibility of Cathepsin B Level in Preoperatively Screening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and Nodular Hyperplasia (갑상선암 및 결절성 증식증 환자의 수술전 스크리닝을 위한 cathepsin B의 발현 양상)

  • Choi, Young-Sik;Kim, Young-Ok;Kim, Woo-Mi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9 no.11
    • /
    • pp.1514-1521
    • /
    • 2009
  •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cathepsin-B levels in preoperatively screening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we assigned these patients to either the thyroid cancer group (n=32) or the nodular hyperplasia group (n=7). Five healthy volunteers served as controls (n=5). We quantified cathepsin-B expressions in cancerous lesions with follicular carcinoma and hyperplastic lesions with nodular hyperplasia, and compared the degrees to those of normal thyroid tissue, which was obtained from matched contralateral lobe. The activity of serum cathepsin B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thyroid carcinoma ($284.87{\pm}79.32$, ${\times}10^{-2}\;mU$) and those with nodular hyperplasia ($255.45{\pm}95.68$, ${\times}10^{-2}\;mU$) than compared to normal control ($168.94{\pm}15.10$, ${\times}10^{-2}\;mU$) (p<0.05). Based on the results of immunoassay, the concentrations of cathepsin B in the thyroid cancer group ($15.50{\pm}7.86\;ng/ml$) and the nodular hyperplasia group ($17.64{\pm}7.49\;ng/ml$)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4.85{\pm}0.61\;ng/ml$). The degree of cathepsin-B mRNA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ancerous or hyperplastic lesions than normal thyroid tissues from matched contralateral lobe with follicular carcinoma or non-neoplastic thyroid disease.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activity of serum cathepsin B is a useful indicator in screening patients with nodular hyperplasia or neoplastic thyroid disease and it may be involved in the abnormal proliferation of cells.

A Mouse Colon Model to Investigate Stent-Induced Tissue Hyperplasia (쥐 대장에서 스텐트 삽입 후 발생하는 조직 과증식 모델 형성을 위한 연구)

  • Kim, Min T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4 no.4
    • /
    • pp.439-44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stent placement and the evaluation of tissue hyperplasia caused by bare metallic stent placement in a mouse colon model. In a pilot study, C57BL/6 mouse were used to verify diameter of colon. Mean diameter size was 4.05 mm. Twenty C57BL/6 mic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o assess differing stent diameters (Group A, 5 mm diameter; Group B. Group B, 4 mm diameter). Follow-up, 1-week fluoroscopic imaging, 4-week endoscopic imaging were obtained. Mice were sacrificed 4-week after stent placement. Microscopic findings were evaluated. Stent placement was technically successful except one mouse in Group A. Data from the mouse was omitted. During follow-up, five mice in Group A died within 7 days after stent placement, and one stent in Group B was migrated into the rectum. The incidence of stent-related complication was 60% and 10% between group A and Group B, respectively. Gross and Endoscopic findings showed tissue hyperplasia through the mesh, and all the stents had become incorporated into the wall of the colon. Microscopic findings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lonic stent placement was technically feasible, and stent-induced tissue hyperplasia was evident in a mouse model. With stent large size, there was the highest incidence of colon perforation.

Early and Atypical Radiologic Presentations of Pulmonary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A Report of Two Cases (폐 랑게르한스 조직구 증식증의 비전형적 영상 소견: 2예에 대한 보고)

  • Kyunghwa Ryu;Bo Da Nam;Jung Hwa Hwang;Dong Won Kim;Young Woo Park;Hong Chul Oh;Soo Bin Par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82 no.3
    • /
    • pp.756-763
    • /
    • 2021
  • Pulmonary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PLCH) is a rare, multi-systemic disease primarily affecting young male adults with a history of smoking. The two patients with PLCH in our report showed relatively early and atypical radiologic presentations at initial evaluation. On chest CT, PLCH presents variable radiologic features depending on the evolutional stage of the disease. Atypical CT features of PLCH may render precise radiologic diagnosis difficult and usually require lung biopsy for a confirmation of the diagnosis. Our case review is aimed at raising the awareness of radiologists on the atypical CT features of PLCH, to help make accurate radiologic diagnosis and prevent unnecessary and invasive diagnostic procedures.

신선 과채류 편의 식품의 미생물 오염방지 및 조절방법

  • Hong, Seok-In;Lee, Eun-Sil;Kim, Dong-Man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3 no.2
    • /
    • pp.3-13
    • /
    • 2000
  • 신선 과일, 채소 편의식품의 주요 특징으로는 박피, 절단 등에 의한 식물조직의 손상, 최소가공에 따른 제품의 불확실한 미생물 안전성, 식물 조직의 활발한 물질대사, 제품 종류의 제한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제품에서는 미생물이 증식하기 쉬우나 실제 미생물의 거동은 식물조직의 대사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또한 생체의 호흡과 필름 포장재의 기체투과도에 의해 좌우되는 포장내부 환경기체에도 영향을 받는다. 수확후 감염은 과일, 채소와같은 원료 농산물의 주요 손실요인으로(Harvey, 1978;Lund, 1983) 신선 과채류 편의식품의 경우 절단면의 노출과 포장내부의 고수분 함량 등에 의해 미생물 감염의 위험은 더욱 더 증가할 수 있다. 특히 대부분의 신선 편의식품이 어떠한 가열처리도 없이 그대로 이용되므로 식품유래 병원균의 오염과 저장중 이들의 증식은 각별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재 과채류 편의식품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미생물 오염 방지 또는 조절 방법에대해 설명하고 이의 적용과 관련한 주의사항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임상가를 위한 특집 2 - 구강악안면영역에서 양성 종양의 영상진단

  • Kim, Gyeong-A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47 no.10
    • /
    • pp.637-646
    • /
    • 2009
  • 양성 종양(benign tumor)을 언급하기에 앞서 과오종(hamartoma) 및 과다 형성(hyperplasia)과의 차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양성 종양은 기원조직과 유사한 조직이 이상 증식하는 것으로 서서히 성장하지만 일반적으로 치료하기 전까지 이상 증식을 지속하는 진성 신생물을 일컫는다. 이에 비해 과오종은 정상 조직이 무질서하게 과증식하는 것으로 일정기간 후에는 성장을 멈추기 때문에 진성 신생물로 간주하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과오종이 양성 종양에 포함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치아종은 정상적인 치성 조직의 성장이 완료되는 시기와 거의 동일한 시기에 성장을 멈추지만 양성 종양으로 분류된다. 과다 형성은 조직의 세포가 정상적인 배열 양상을 보이면서 세포의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지속적인 성장 양상을 보이지만 그 성장이 제한적이므로 양성 종양과는 구별된다. 양성 종양은 일반적으로 무통성으로 서서히 성장하기 때문에 종양의 크기가 증가하여 안면 종창이나 동통 등을 유발하는 경우에 발견될 수 있으며, 방사선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기도 한다. 방사선검사는 병소의 위치, 범위, 특징 및 병소와 인접 해부학적 구조와의 관계 등 많은 방사선학적 진단 정보를 제공한다. 일부 종양은 방사선사진에서 매우 특징적인 소견을 나타내기 때문에 방사선학적 소견으로 예비 진단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진단정보를 제공하기도 하는 반면 어떤 종양들은 방사선사진에서 관찰되는 소견이 매우 유사하여 진단에 어려움을 주기도 한다. 따라서 종양의 확진을 위해서는 생검이 필수적이며, 방사선검사는 반드시 생검에 앞서 진행되어야만 정확한 방사선학적 진단을 할 수 있다. 양성 종양은 각각의 특징적인 방사선학적인 소견을 나타내지만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양성 종양의 특징이 존재하므로 이러한 일반적인 특징을 관찰하여 병소가 양성인지 악성인지를 감별할 수 있다. 첫째, 양성 종양은 대개 호발하는 부위가 있으므로 종양의 발생부위는 감별 진단을 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치성 병소는 치아가 형성되는 하악관 상방의 치조돌기에서, 혈관성 및 신경성 병소는 하악관 내에서, 연골성 종양은 하악과두와 같이 연골세포가 잔존되어 있는 부위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둘째, 양성 종양은 대체로 명확한 경계와 피질골성 변연을 보이며, 종종 병소가 결체조직으로 둘러싸여 있어 병소 주위에 방사선투과성 띠가 관찰되기도 한다. 셋째, 양성 종양은 일반적으로 인접 주위 조직에 압력을 가하면서 서서히 성장하기 때문에 인접 치아의 변위 또는 흡수, 피질골의 비박, 팽융 등의 소견을 보이며 피질골의 천공은 드물다. 방사선학적으로 양성 종양의 병소 내부는 방사선투과상으로 관찰되거나, 방사선불투과상으로 관찰되거나, 방사선투과상과 방사선불투과상이 혼재된 상으로 관찰된다. 저자는 이 지면에서 이러한 방사선학적 특징을 기초로 하여 구강악안면영역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을 분류하고 각각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